-
[스페셜1]
<씬 시티> 미리 보기 [1]
미국 펄프 문화의 최전선
로버트 로드리게즈 감독은 프랭크 밀러의 코믹북 <씬 시티>의 영화화를 공식 발표하면서 자신이 원작만화와 작가의 오랜 팬임을 자처했다. 꼭 그렇게 공언하지 않더라도 로드리게즈의 <씬 시티> 영화화는 이상할 것이 없다. 로드리게즈는 미국의 펄프 문화를 즐겨왔고 그 자신이 같은 분야의 생산자임을 즐기는 감독이다
글: 박혜명 │
글: 김도훈 │
2005-06-21
-
[스페셜1]
인사이트 비주얼, 강종익 [2] - 빅 프로젝트2
우린 오직 영화만 한다
CG맨들이 으레 그렇듯이 강종익 또한 미대 출신이다. 홍익대 광고디자인학과 89학번인 그는 “고등학교 2학년 때까지만 하더라도 미술은 그저 취미로만 생각했다”. 미술 선생님으로부터 “미대에 진학하는 게 어떻겠냐”는 권유를 받고서야 그는 자신의 ‘재능’을 깨달았다. 돌이켜보면, 남다른 손재주는 순전히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다.
사진: 손홍주 │
사진: 정진환 │
글: 이영진 │
2005-06-21
-
[스페셜1]
인사이트 비주얼, 강종익 [1] - CG 10년의 역사
나의 아름다운 디지털 필름 스튜디오
“Be The Real.” 인사이트 비주얼의 모토다. 이들은 가짜를 진짜처럼, 이미지를 실제처럼 만들어야 한다. 물론 처음부터 펼쳐놓은 블루 스크린이 마술융단이고, 똑딱이는 마우스가 요술지팡이였던 건 아니다. 한국영화 CG에 투신한 지 10년. 인사이트 비주얼 강종익 대표는 한국영화 CG 역사와 함께한 인물이다. 그가
사진: 정진환 │
글: 이영진 │
2005-06-21
-
[스페셜1]
<권태>의 세드릭 칸
프랑스영화의 권태를 돌파하다
세드릭 칸은 별안간 나타난 프랑스의 젊은 감독이다. 영화학교 출신도 아니고, 프랑스영화의 지적 전통 안에 서 있지도 않다. 그러나 그의 영화는 정체하고 있는 프랑스영화에서 삐죽 솟은 희망이다. 그의 세 번째 장편영화 <권태>(1998)가 뒤늦게 한국에서 개봉하는 것을 계기로 <씨네21>은 공식적으로는
글: 정한석 │
2005-06-21
-
[스페셜1]
로버트 알드리치 회고전 [2] - 상영작 소개
랜섬
자신이 연출했던 TV시리즈 <차이나 스미스>의 캐릭터를 약간 변형해 만든 누아르영화. 11일 동안 촬영한 초저예산영화지만 팽팽한 구성이 돋보인다. 사립탐정 마이크 캘러헌은 옛 연인 프레네시로부터 남편 줄리언을 범죄 집단에서 구해달라는 부탁을 받는다. 줄리언은 세계적인 물리학자를 납치하는 범죄에 참여하고 있었던 것. 레즈비언을 암시하는 장면
글: 문석 │
2005-06-21
-
[스페셜1]
로버트 알드리치 회고전 [1]
장르를 사랑한 남자, 장르를 파괴한 남자
장르의 컨벤션이라는 우상과 보수적인 가치를 파괴하길 서슴지 않았던 로버트 알드리치 감독의 회고전이 6월18일부터 28일까지 서울아트시네마에서 열린다. 꽉 짜여진 장르영화의 틀로 영화를 익힌 뒤 훗날 이를 비틀고 전복했던 그는 미국 평단에서는 크게 인정받지 못했지만, 프랑스에서는 장르 전복, 자유로운 스타일, 풀
사진: 이혜정 │
글: 문석 │
2005-06-21
-
[스페셜1]
영화 찍다 탄생한 커플들
영화 찍고 때로 연애하니 어찌 기쁘지 아니한가
“난 주연을 맡은 남녀 배우에게 반드시 하룻밤을 같이 보내라고 한다. 화학작용은 그만큼 중요하다”라고, 블록버스터 전문인 어느 할리우드 감독은 말했다. 하지만 굳이 그러지 않아도 알아서들 짜릿하게 눈 맞아 뜨거운 사랑으로 촬영장을 불태운 커플들이 있으니, 바로 이들. 일도 하고 연애도 하고, 참 얄밉고도 부럽
글: 한미미 │
2005-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