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씨네스코프]
[씨네스코프] 2024 한국영화아카데미 졸업 영화제 참관기, 졸업, 또다른 시작
‘화룡점정’이란 슬로건 아래 치러진 올해 한국영화아카데미(KAFA) 졸업 영화제가 메가박스 성수점에서 3월8일부터 10일까지의 일정을 마쳤다. 짧지만 뜨거운, 작지만 큰 축제가 끝났다. “오랫동안 준비한 영화의 마지막 점”을 찍는다는 의미의 슬로건이라곤 하지만 KAFA의 졸업 영화제는 또 다른 시작점이기도 하다. 이제 막 영화 만들기의 세계에 들어선 신진
글: 이우빈 │
사진: 오계옥 │
2024-03-15
-
[씨네스코프]
[씨네스코프] ‘이 조합 칭찬해’, <패스트 라이브즈> 셀린 송 감독, 정서경 작가 GV 현장 스케치
셀린 송 감독과 정서경 작가의 CJ ENM 비저너리 인사이트 토크 ‘<패스트 라이브즈> 응원할 결심’이 지난 2월29일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진행됐다. CJ ENM 비저너리 인사이트 토크는 자신만의 독창적인 오리지널리티로 비전을 제시하는 인물들과 함께 향후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영감을 제공하는 토크 프로그램이다. <헤어질 결심> &l
글: 박수용 │
2024-03-08
-
[씨네스코프]
[씨네스코프] 원주 아카데미 후원의 날, 극장은 사라졌지만 서로가 남았다
1월13일 토요일 원주 상지대학교 민주관에서 ‘원주 아카데미 후원의 날’이 열렸다. 극장 보존에 힘써왔던 아카데미의 친구들(이하 ‘아친’) 주최로 열린 이번 행사는 지난해 10월 말 원주시에 의해 극장이 강제 철거된 뒤 치러졌던 11월 전국 규탄대회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원주시로부터 시위 및 농성 등에 따른 업무방해죄로 고소, 고발당한 26명의 시민과
글: 이유채 │
사진: 오계옥 │
2024-01-19
-
[씨네스코프]
[씨네스코프] ‘고 이선균 배우의 죽음을 마주하는 문화예술인들의 요구’ 성명서 발표 기자회견
“다시는 이러한 비극이 반복되지 않기를 바란다.” 29개 문화예술 단체가 구성한 문화예술인연대회의(가칭)는 1월12일 오전 11시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고 이선균 배우의 죽음을 마주하는 문화예술인들의 요구’ 성명서 발표회를 열어 이선균 배우의 수사 과정에 대한 수사당국의 진상 규명 촉구, 언론 및 미디어의 자정 및 보도 목적에 부합하지
글: 이우빈 │
사진: 백종헌 │
2024-01-19
-
[씨네스코프]
[씨네스코프]“이선균 방지법” 제정을 위해 힘쓰겠다
“다시는 이러한 비극이 반복되지 않기를 바란다.” 29개 문화예술 단체가 구성한 문화예술인 연대회의(가칭)는 1월12일 오전 11시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故 이선균 배우의 죽음을 마주하는 문화예술인들의 요구’ 성명서 발표회를 열어 故 이선균 배우의 수사 과정에 대한 수사당국의 진상 규명 촉구, 언론 및 미디어의 자정 및 보도 목적에
글: 이우빈 │
사진: 백종헌 │
2024-01-12
-
[씨네스코프]
[인터뷰] 서스펜스도 즐거움도 충만한, 옴니버스영화 <더 킬러스>(가제)의 감독들
-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소설 <살인자들>을 읽을 때 어떤 감정을 느꼈고, 어떤 이미지를 떠올렸나.
이명세 “헨리네 식당 문이 열리고 두 사람이 들어왔다. (…) 밖은 어두워지고 가로등에 불이 켜졌다.” 소설의 초반 몇줄을 읽으며 시각적 상상력에 불이 켜졌다.
장항준 처음 읽을 때 ‘쓰다 말았나?’ 생각했지만 읽다 보니 많은 영감을 불러일
글: 배동미 │
2024-01-12
-
[씨네스코프]
[씨네스코프] 이명세 감독의 귀환
사올라, 담레이, 하이쿠이, 이른바 ‘트리플 태풍’이 몰려오면서, 아직 비가 쏟아지진 않지만 흐리고 후텁지근한 2023년 8월29일. 서울 중구의 남산 드라마센터 내 차려진 <무성영화> 2회차 현장은 덥고 습했다. 20여명의 스탭이 <나이트호크>에 영감을 받은, 통유리된 창문 하나 없는 식당으로 꾸며진 세트에서 카메라와 붐 마이크를
글: 배동미 │
사진: 최성열 │
2024-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