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현장리스트 02. 웬만해선 그들보다 웃길 수 없다
새해를 이틀 앞둔 지난 12월30일, 삼척 덕산항 패류 임시 보관장 앞 항구. 신정원 감독의 신작 <점쟁이들>에서 이곳은 ‘울진리’란 마을이다. 몇 십년 묵은 악령이 의문의 사건사고를 끊임없이 일으키는 이곳에 전국 각지의 엄청난 점쟁이들이 모여 한판 굿을 벌인다. 악령의 거대한 힘에 많은 점쟁이들이 도망치고 5명의 점쟁이와 1명의 기자가 남는다
글: 강병진 │
사진: 최성열 │
2012-01-24
-
[스페셜1]
현장리스트 01. “돈에 중독돼서, 끊기가 무섭거든…”
“이 작품이 5천만원이라네요.” 촬영장 한편에서 수군거림이 들린다. 폭포가 담긴 유화가 스탭들의 분주한 움직임 속에 방치돼 있는가 싶더니, 얼른 스탭 한명이 다가와 다칠세라 고이 그림을 모셔간다. <돈의 맛> 촬영이 한창인 파주 헤이리 세트장. 오늘 촬영장소는 영화 속에 묘사된 대한민국 상위 1%, ‘슈퍼 리치’ 백 회장 가문의 서재다. 대리석
글: 이화정 │
사진: 손홍주 │
2012-01-24
-
[스페셜1]
촬영현장이라는 '쌩얼'의 맛
2012년 지구가 멸망한다 해도 현장은 아랑곳하지 않는다. 스타 감독들의 귀환과 장르의 다변화로 기대작들의 풍년인 임진년. 촬영장만큼 바쁘고 활기찬 곳이 또 있을까. 경기도 파주와 양수리에서부터 강원도 덕진, 저 멀리 제주도까지 전국에 켜진 ‘촬영 중’ 사인을 찾아 나섰다. <하녀>에 이은 부자의 실체, 임상수 감독의 <돈의 맛>,
글: 이화정 │
사진: 손홍주 │
글: 강병진 │
사진: 최성열 │
글: 장영엽 │
사진: 조석환 │
글: 김혜리 │
글: 김도훈 │
사진: 백종헌 │
글: 신두영 │
사진: 오계옥 │
2012-01-24
-
[스페셜1]
[밀레니엄] 2편도 핀처가 찍을까
스티그 라르손은 누구인가?
1954년 8월15일에 태어난 스티그 라르손은 반나치 공산주의자였던 외할아버지의 손에서 자라 일찍부터 정치운동가의 길을 걸었다. 극우주의에 대한 그의 저항심은 1977년 그가 스웨덴의 대형 통신사에서 일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드러났다. 1980년대의 스웨덴은 특히 인종주의적 살인이 빈번했던 시기여서 기자들 사이에서 스티그의 극우
글: 이후경 │
2012-01-17
-
[스페셜1]
[밀레니엄] 비교! 스웨덴판 vs 미국판
스티그 라르손의 소설 <밀레니엄> 시리즈는 스웨덴에서 먼저 영화로 완성됐고 뒤이어 할리우드에서도 만들어졌다. 국내에서는 스웨덴 버전과 미국 버전이 한주를 사이에 두고 개봉했다. 두 작품을 놓고 비교해보자. 1번은 스웨덴 감독 닐스 아르덴 오플레브의 연출작 <밀레니엄 제1부: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 2번은 미국 감독 데이비드 핀처
글: 정한석 │
2012-01-17
-
[스페셜1]
[밀레니엄] 배우들이 말하는 캐릭터 혹은 데이비드 핀처-2
-소설에서 영화로 옮겨진 자신의 캐릭터를 어떻게 생각하나.
=원작 소설은 물론 대본에서도 캐릭터가 무척 명확하게 표현됐기 때문에 큰 기대를 했다. 모든 에센스가 들어가 있다. 물론 소설 속의 모든 디테일까지 포함시키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내 캐릭터는 아주 명확하게 대본에 쓰여 있었다. 배우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대본이다.
-어떤 점이 그렇게 마음에 들
글: 양지현 │
2012-01-17
-
[스페셜1]
[밀레니엄] 배우들이 말하는 캐릭터 혹은 데이비드 핀처-1
-어떻게 이 역할을 자기 것으로 만들었나.
=원작 소설을 참조했다. 책에 모든 것이 나와 있었다. 우리의 목표는 원작 소설과 가장 근접하게 작품을 만드는 것이었다.
-여러 준비과정이 있지 않았나.
=물론이다. 트레이닝과 리서치를 많이 했다. 모터사이클과 컴퓨터, 스케이트보드 타기, 킥복싱 등을 연습했고, 책을 많이 읽었다. ‘헬프그룹’을 방문해 많은
글: 양지현 │
2012-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