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통신원]
[베이징] 무더위를 날릴 풍자와 현실 인식, <서홍시수부>팀이 재회해 만든 코미디 영화 <인형 뽑기>
여름 무더위를 웃음으로 날릴 시원한 코미디영화가 등장했다. 선텅과 마리 주연의 <인형 뽑기>가 개봉 첫주 일요일 하루 관객수 540만명을 기록한 데 이어 상영 일주일 만에 박스오피스 15억위안을 넘어서며 중국 관객들에게 통쾌한 웃음을 선사 중이다. 극 중 선텅과 마리가 분한 부부는 금수저로 태어났다. 어느 날 이들은 문득 자신들이 지닌 막대
글: 한희주 │
2024-07-29
-
[해외통신원]
[런던] 수작업 애니메이션의 맛, 8월부터 10월까지 런던에서 만날 수 있는 다양한 스톱모션애니메이션 행사
영국영화협회(BFI)의 2024 여름 시즌 프로젝트인 ‘스톱모션: 대형 스크린에서 만나는 수작업 애니메이션’의 티켓 판매가 시작됐다. 8월1일부터 9일까지 BFI 사우스뱅크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엔 1933년 제작된 <킹콩>을 포함해 <아르고 황금 대탐험> <치킨 런> <유령신부> <코렐라인: 비밀의 문>
글: 손주연 │
2024-07-08
-
[해외통신원]
[델리] 공포영화가 싫더라도 <문즈야>는 봐야, 인도 총선 기간에 화제를 모은 영화 <문즈야>
인도는 지난 4월 중순부터 6주간 총선으로 전국이 들썩였다. 이번 총선은 9억7천만여명의 유권자를 대상으로 한달 반 동안 이어진, 인도 역사상 최대 규모의 선거였다. 인도에선 흥행이 기대되는 블록버스터영화도 선거 기간을 피해 개봉 시기를 잡는 것이 불문율이다. 그래서 선거 기간은 어느 때보다 인도영화의 별미를 맛보기 좋은 시기다. 대형 작품의 그늘에 가려
글: 정인채 │
2024-06-24
-
[해외통신원]
[파리] 장애 담론을 다룬 코미디영화 ‘어 리틀 섬싱 엑스트라’, 올해 두 번째 프랑스 천만 영화 탄생하나
2022년에 방영된 두편의 한국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와 <우리들의 블루스>는 그간 미디어에서 주목도가 적었던 장애 담론을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그리고 장애인과 함께 사는 사회의 법적, 제도적 필요성을 보다 활발히 논의할 기회를 제공했다. 지난 5월1일, 프랑스에서도 이같은 현상을 보여주는 영화 한편이 개봉했다. 지적장애인
글: 최현정 │
2024-06-17
-
[해외통신원]
[뉴욕] 셔더의 작지만 강한 한방, AMC엔터테인먼트 산하 SVOD 셔더에 주목하라
미국 극장가의 침체가 이어지는 중이다. 미국 여름 블록버스터 흥행 시즌은 5월 말 메모리얼데이 연휴가 시작점이다. 하지만 올해 5월 말 미국 극장가의 관객수는 처참했다. 기대를 모았던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가 개봉 주말 2630만달러의 박스오피스를 기록하는 데 그쳤고, 전체관람가 영화인 <가필드 더 무비>와 <이프: 상상의
글: 양지현 │
2024-06-10
-
[해외통신원]
[LA] 코미디의 톡 쏘는 매력, 넷플릭스, LA에서 제2회 ‘넷플릭스 이즈 어 조크’ 페스티벌 개최
LA 전역에 폭소가 만발했다. 넷플릭스는 지난 5월2일부터 12일까지 11일간 개최된 제2회 ‘넷플릭스 이즈 어 조크’ 페스티벌에서 스탠드업 코미디를 중심으로 한 500개 이상의 오픈 코미디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이번 페스티벌은 할리우드 볼과 크립토닷컴 아레나처럼 만명 이상 수용 가능한 대형 공연장은 물론 코미디로 이름 높은 소극장과 유서 깊은 영화관까지
글: 안소연 │
2024-05-20
-
[해외통신원]
[로마] 마르게리타 비카리오 감독의 '글로리아!', 여성과 재능과 시대
<글로리아!>를 이해하기 위해선 작중 배경이 되는 이탈리아의 역사를 먼저 살필 필요가 있다. 19세기를 맞이하기 1년 전, 당시 이탈리아는 나폴레옹 점령하에 회오리바람에 나부끼는 깃발처럼 위태로웠다. 로마는 나폴레옹 휘하에서 프랑스군의 지배를 받았으며 당시 교황인 비오 6세는 프랑스군에 투항하길 거부하다 감금지에서 생을 마감한다. 곧이어 새
글: 김은정 │
2024-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