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참여로 이어지는 분노
‘힘들다’는 중론에 피하고 싶었다. <경계도시2>를 끌어안고 보낸 세월의 여파가 여전히 남은 터라, 참혹한 현실은 물론이고 현실보다 잔인한 텍스트 역시 외면하고 싶었다. 지독한 다큐멘터리를 만든 인간이 별 소리를 다 한다는 타박이 들리는 듯하지만, 모자란 인간이니 사실이 그렇다.
<남영동1985>와의 대면은 가을비 내리는 강남에서였
글: 홍형숙 │
2012-11-27
-
[스페셜1]
그도 까까머리 시절 그 노래를 불렀을까
“넓고 넓은 바닷가에 오막살이 집 한채. 고기 잡는 아버지와 철모르는 딸 있네.”
왜 하필 <클레멘타인>이었을까. 영화 속 고문기술자 이근안은 김근태 코에 수건을 덮고 물을 부으면서 이 곡을 휘파람으로 불었다.
내 고등학교 시절, 일제시대 때 지은 커다란 강당 2층에 음악실이 있었다. 강당 옆 아카시아 꽃들이 하얗게 늘어지고, 향기가 교실 창
글: 김형태 │
2012-11-27
-
[스페셜1]
“박근혜 후보가 이 영화를 봤으면 한다”
지난 1월, <부러진 화살>이 개봉할 당시 <씨네21>은 <의뢰인>을 연출한 손영성 감독에게 정지영 감독의 인터뷰를 부탁했다. 그때 인터뷰 장소에 도착한 정지영 감독은 “오늘 이 약속 때문에 참석하지 못한 곳이 있었다”고 말했다. “오늘이 김근태 의원의 영결식이더라고. 아침 8시에 영결미사로 시작해서 10시에 청계5가에서 노
글: 강병진 │
사진: 오계옥 │
2012-11-27
-
[스페셜1]
여기가… 남영동… 입니까?
“그 비명들은, 사람들이 바뀌면서 계속되던 비명은 송곳같이, 혹은 날카로운 비수처럼 번쩍거리는 그런 것이 아니었습니다. 돼지기름처럼 끈적끈적하고 비계처럼 미끄덩미끄덩한 것이었습니다. 살가죽에 달라붙은 그 비명은 결코 지워질 수 없는 그런 것이었습니다.” 서울 용산구 갈월동 88번지. 과거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들었던 수많은 비명에 대해 고(故) 김근태 의원은
글: 강병진 │
2012-11-27
-
[스페셜1]
이제 당신이 칠성판에 오를 차례입니다
5공 시절, 수많은 이들이 고문을 당했던 남영동 대공분실 건물은 현재 경찰청 인권보호센터로 운영 중이다. 고 김근태 의원과 박종철 열사 등이 이곳에서 당한 고문의 기록과 함께 그들이 있었던 고문실의 모습이 재현돼 있다. 불과 20년 정도밖에 지나지 않은 과거가 그렇게 먼 기억처럼 전시 중이다. 정지영 감독의 신작 <남영동1985>는 전시관의 유리
글: 씨네21 취재팀 │
2012-11-27
-
[스페셜1]
21세기의 프랑스영화를 조망하다
11월13일부터 12월9일까지 서울아트시네마에서 열리는 ‘우리 시대의 프랑스영화 특별전’ 17편의 상영작 중 6편을 여기 소개한다. 비교적 그동안 상영 기회가 적었거나, 있었다 해도 조금 더 주목받았으면 하는 마음이 드는 작품들 위주로 골랐다.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 지금까지, 프랑스영화의 현재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다고 말해도 될 것 같다(이번 특별전
글: 이지현 │
2012-11-20
-
[스페셜1]
필름의 소셜리즘은 소유권을 부정하는 것에 있다
장 뤽 고다르의 근작 <필름 소셜리즘>이 개봉할 예정이다. 자세한 논의는 아마 개봉 이후에나 가능할 것이다(나는 이 영화를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처음 보았고, 지난해 여름 서울아트시네마에서 다시 볼 기회가 있었다). 그러므로 우선 머릿속에 떠오르는 세 가지 다른 이야기를 통해 우회하고 싶다.
첫 번째 이야기. 올해 프랑스 대선에서 논란의 중심에
글: 김성욱 │
2012-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