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씨네스코프]
[cine scope] 그리스 신화 속 괴물이 나타났다
“바꿀게요. 그냥 슬픈 눈으로 소머리눈을 볼게요.”
숨차게 뛰어들어와 소머리인간을 바라보는 아리아드네의 등장신을 찍다가 한지혜 감독이 연기를 조금 수정하겠다며 던진 말이다. 이어지는 말이 재밌다. “아, 최악의 디렉션인데. 슬픈 눈이 뭐야, 슬픈 눈이.” “좋은데”, “좋아요”, “좋습니다”라며 2~3테이크 만에 오케이 사인을 내던 한지혜 감독은 이번
글: 이주현 │
사진: 이혜정 │
2009-12-08
-
[씨네스코프]
[cine scope] 높은 하늘 위로 날아올라볼까
“우유빛깔 이상미. 핸섬가이 황찬빈. 문지르, 아비가일 잘한다.”
누가 시킨 것도 아닌데, 무대 위에서 ‘에일리언 밴드’가 연주할 때마다 스탭들은 아이돌그룹 팬클럽이 울고 떠나갈 정도로 환호를 보낸다. 이뿐만이 아니다. 카메라가 멈췄다 싶으면 스탭들은 너나할 것 없이 배우들에게 달려가 함께 셀카를 찍고 잡담을 나눈다. 평소 같으면 욕 서너 바가지 먹어도
사진: 이혜정 │
글: 김성훈 │
2009-12-01
-
[씨네스코프]
[cine scope] 교도소 그녀들의 반란
“나마에! 나마에!” 오케이 사인이 떨어지자 무대 위 합창단원들은 드라마 <베토벤 바이러스>의 강마에에 빗대 나마에를 외친다. 합창단 지휘에 푹 빠져 촉촉하게 물기까지 머금었던 문옥(나문희)의 눈가에 수줍은 웃음이 번진다. 죄수복을 벗고 진주색 드레스를 곱게 입은 청주여자교도소 5호방 사람들, 정혜(김윤진), 연실(박준면), 화자(정수영), 유미
사진: 최성열 │
글: 이주현 │
2009-11-17
-
[씨네스코프]
[cine scope] 눈물나게 푸르른 20대
어느 해체된 그룹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보는 것 같다. 다만, 장르가 힙합이라는 점이 낯설게 느껴진다. 10월18일, <청춘그루브>의 두 주인공인 래퍼 창대(봉태규)와 민수(이영훈)가 ‘타협’을 하기 위해 만났기 때문이다. 타협은 불의에 저항하고 출세와 담 쌓는 힙합과 가장 거리가 먼 단어, 아니던가. 그런데 과거에 무슨 사연이라도 있었는지 두 사
사진: 오계옥 │
글: 김성훈 │
2009-11-10
-
[씨네스코프]
[cine scope] 감히 누가 누굴 용서하는가
“밥 먹고 합시다.” 10분 정도 지났을까. 스탭들이 밥차로 향했다. 같이 식판을 받아 데이블에 앉았는데 유독 류승범만 수저를 들지 않는다. “아까 빵을 먹어서요.” 물컵을 앞에 두고 앉은 모습이 왠지 조심스럽다. 몇개의 작은 역할들을 제외하면 2007년 <라듸오 데이즈> 이후 2년 만의 영화. 그는 이번 영화에서 토막살인 용의자 이성호를 맡았다
사진: 손홍주 │
글: 정재혁 │
2009-11-10
-
[씨네스코프]
[cine scope] 김정은 vs 진구, 최고의 김치맛은?
하늘엔 무, 배추 떠 있고, 식탁엔 김치꽃이 피었다. 이곳은 어디? 제1회 2009 김치대전이 열리는 현장은 아니고, 영화 <식객: 김치전쟁>의 촬영현장이다. 공기밥만 있었더라면 슬쩍 했을지도 모르겠다. 파프리카 김치, 오이롤말이 김치, 깻잎마늘 김치 등 이것이 과연 김치 맞나 싶은 것들이 김칫보에 다소곳이 담겨져 있었다. 김치도둑이 되어도 좋으
사진: 최성열 │
글: 이주현 │
2009-11-03
-
[씨네스코프]
[cine scope] 세상을 찌르는 칼처럼
“식사하고 갑니다!” 제작부장의 말이 떨어지자 창 든 엑스트라들이 우르르 일어선다. 오전 11시가 조금 넘었는데 벌써 점심이라니. 꼭두새벽부터 촬영에 들어가서인가. 듣고 보니 관광객을 위한 농악대 공연 때문에 촬영을 더이상 진행할 수 없어서란다. 촬영장 바깥에선 한국민속촌을 찾은 외국 관광객이 셔터를 누르느라 정신없다. 연기 피어오르는 관아와 조선 의상을
글: 이영진 │
사진: 이혜정 │
2009-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