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씨네21 리뷰]
<리틀 포레스트: 사계절> 요리가 소환하는 기억과 사유
<리틀 포레스트: 사계절>은 <리틀 포레스트: 여름과 가을>(2014)과 <리틀 포레스트2: 겨울과 봄>(2015)을 재편집해 탄생한 영화다. 이치코(하시모토 아이)가 고향 코모리로 돌아와 자급자족 농촌 생활을 시작하며 최선을 다해 한끼를 만들어 먹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이런 이치코의 삶은 ‘슬로 라이프’라든지 ‘킨포크
글: 박지훈 │
2018-03-28
-
[씨네21 리뷰]
<퍼시픽 림: 업라이징> 끝나지 않은 전쟁, 진화하는 적에 맞서라!
“다음엔 더 크게 만들어!” 고철을 조립해 자체생산 로봇을 만든 적 있던 신참 조종사 아마라(케일리 스패니)가 불미스러운 일로 훈련소에서 쫓겨나는 순간, 이를 안타깝게 지켜보던 동료가 작별 인사 대신 외치는 말이다. 기예르모 델 토로가 연출한 전작 <퍼시픽 림>(2013)은 크기가 거의 모든 것을 말하는 영화였고, 후속작 <퍼시픽 림: 업
글: 김소미 │
2018-03-28
-
[씨네21 리뷰]
<7년의 밤> 폭력이라는 명제 앞에서 그들이 가지는 각각의 부성애
악과 더 악한 악이 충돌해 이루는 서스펜스. 정유정 작가의 <7년의 밤>은 비극적 사고 이래 긴 시간 동안 펼쳐지는 인물들의 연결고리를, 흡인력 있는 전개로 2011년 출간 이래 50만부의 판매고를 올린 베스트셀러다. 빠른 호흡의 원작은 ‘영화 같은’ 긴장감을 형성했고, 그만큼 탐낼 만한 원작으로 회자됐다. 2015년 크랭크인 후 한참 만의 개
글: 이화정 │
2018-03-28
-
[내 인생의 영화]
조서연의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 현생은 불한당원으로
감독 변성현 / 출연 설경구, 임시완, 김희원, 전혜진 / 제작연도 2016년
내 취향의 정점에는 항상 갱스터영화가 있었다. 남자들이 총을 쏘고 사람을 죽이는 동서고금의 영화들 속에서 허우적대는 동안, ‘페미니스트가 이런 걸 좋아해?’라는 고민은 늘 나를 따라다녔다. 그에 대해 자세히 쓰기는 힘들지만, 남성 동성사회를 기반으로 한 갱스터영화는 어김없이
글: 조서연 │
2018-03-28
-
[김혜리의 영화의 일기]
[김혜리의 영화의 일기] 추파
스티븐 소더버그의 <로건 럭키>는 극중 대사가 자칭하듯, 블루칼라 인물들이 주도하는 ‘오션스 세븐 일레븐’이다. 레이싱 경기장의 현금을 싹쓸이할 결심을 한 지미(채닝 테이텀)가 냉장고에 붙여둔 십계명은, 다양한 직군 종사자에게도 유용해 보인다. 시험삼아 잡지 기사 작성에 지미의 규칙을 적용해보았다. 1) 쓰기로 결심한다. 2) 취재계획을 세운다
글: 김혜리 │
2018-03-28
-
[스페셜2]
<플로리다 프로젝트> 김시내 오드(AUD) 대표 - 영화 속 세상을 구현한 영화 바깥의 세계
-영화 배지 판매 수익 전액을 미혼모를 위해 기부한다.
=무니 역의 브루클린 프린스가 ‘세상의 모든 핼리와 무니에게 상을 바친다’는 수상소감을 말했을 때, 우리도 뭔가 좋은 일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 싶었다. 이것 또한 영화의 힘인 것 같다.
-숀 베이커 감독과 브루클린 프린스도 한국에 이런 쇼룸이 오픈한 걸 아나. 어떤 반응을 보이던가.
=이
글: 이주현 │
2018-03-28
-
[스페셜2]
합정동에 문 연 <플로리다 프로젝트> 쇼룸 방문기
“여기 사장님 바뀌었어요?” “어린이 책방이나 키즈 공간으로 바뀐거예요?” 서울 마포구 합정동의 조용한 주택가 골목. 평범한 벽돌 건물 1층 입구엔 컵케이크와 ‘퓨처랜드’ 모텔 입간판이 세워져 있다. 핑크색 출력 시트지를 바른 계단과 외벽은 이곳의 정체를 더욱 아리송하게 만든다. 물론 이곳은 컵케이크 가게도 아니고, 모텔도 아니고, 플로리다는 더더욱 아니
글: 이주현 │
사진: 최성열 │
2018-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