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씨네스코프]
[씨네스코프] 전라도와 경상도의 포복절도 사돈맺기
하늘 같이 까마득한 상견례 자리에 ‘버섯’이 말썽이다. 장인어른, 장모님께 잘 보이려 옷도 갖춰입고 예쁜 말도 외웠건만 예비사위 온다고 요리 한번 해본 적 없는 장모님(김수미)이 나선 게 화근이었다. “아까운 재료 다 베린네!”(고모 역·김정란) 요리 솜씨를 뻔히 아는 예비 신부 다홍(이시영)의 식구들은 젓가락 멈추고 원망의 눈빛을 보내는데, 잔뜩 긴장
글: 장영엽 │
사진: 백종헌 │
2011-01-04
-
[씨네스코프]
[씨네스코프] 그렇게 밴드 메이트는 태어났다
12월10일에서 11일로 넘어가는 새벽 홍대 근처의 한 공연장. 무대 위 ‘2008 What a Sweet Day’라는 알림판이 세워져 있다. 새벽 2시가 넘어 스윗 소로우(인호진, 성진환, 김영우, 송우진)의 공연 리허설이 진행됐다. 스윗 소로우 멤버들은 자신들의 달콤한 사랑 노래 <사랑해> 반주가 흘러나오자 본격적으로 분위기를 타기 시작했다
글: 이주현 │
사진: 최성열 │
2010-12-21
-
[씨네스코프]
[씨네스코프] 정조시대 명탐정 납시오
김명민은 코미디 연기조차 진지했다. 그는 <조선명탐정: 각시투구꽃의 비밀>(이하 <조선명탐정>) 촬영 중 “노비들을 구해내다가” 갈비뼈에 금이 가는 부상을 입었다. 영화 관계자들은 김명민이 또 한번 캐릭터에 빙의됐다고 말했다. 김탁환 작가의 소설 <열녀문의 비밀>을 바탕으로 하는 <조선명탐정>에서 김명민은 정조의
글: 이주현 │
사진: 최성열 │
2010-12-07
-
[씨네스코프]
[씨네스코프] 키스해주세요, 야옹이에게
거사를 앞둔 현장은 조심스럽다. 촬영장에서 약 20m 떨어진 스테이션 안에서 지휘하던 임순례 감독이 카메라 옆에 바짝 붙었다. 스탭들은 말수를 더욱 아낀다. 분위기만 보면 키스신 정도 될 법한데, 어째 좀 이상하다. 슛 들어가기 전부터 카메라 앞을 지키고 있는 배우 전국환, 최보광과 달리 이들과 함께 있어야 할 또 다른 배우는 좀처럼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글: 김성훈 │
사진: 최성열 │
2010-11-30
-
[씨네스코프]
[씨네스코프] 차승원과 추성훈이 한판 뜬 이유?
‘선수’끼리 만났다. 차승원 대 추성훈, 추성훈 대 차승원. 물론 격투기 경기장이 아니다. 온기 하나 없는 사각의 화장실에서 두 남자는 서로를 잡아먹을 듯이 노려보고 있다. 보통 사람보다 덩치 하나가 더 큰 두 사람 덕분에 세트장은 유난히 가득 차 보인다. ‘네가 죽어야 내가 사는’ 일촉즉발의 상황에서 시간이 잠깐 지났을까. 약속이라도 한 듯 두 남자의
글: 김성훈 │
2010-11-30
-
[씨네스코프]
[씨네스코프] 변화를 꿈꾼 그 치열함에 건배
‘명예회복 양미리 구이’가 한 접시에 1만원, ‘원직복직 소원 어묵’이 한 그릇에 오천원. 노릇노릇 익어가는 고소한 양미리 냄새, 냉한 뱃속을 뜨뜻하게 덥힐 어묵 국물 냄새, 코끝을 간질이는 막걸리 냄새가 한데 섞여 서울 금천구 가산동 기륭전자 옛 사옥 앞 골목을 휘감았다. 그러나 모금함은 텅텅. 기쁜 날, 함께 음식을 나누며 왁자하게 떠들다보니 주인장은
글: 이주현 │
사진: 백종헌 │
2010-11-23
-
[씨네스코프]
[씨네스코프] 훨씬 거시기 하죠~잉
나당연합군 총사령관 이적 역할을 맡은 이대연. ‘김유신과 신라군을 모조리 체포하라’고 호통을 칠 줄 알았는데, 그의 커다란 입이 토해낸 건 무슨 말인지 알아먹을 수 없는 중국어였다. 촬영 시작 전 ‘이북 사투리’로 농담을 나누는 고구려 장수 무리에 섞이지 않고 한편에서 무엇을 열심히 외운다 싶었는데 그게 바로 중국어 대사였다. 이준익 감독의 <평양
글: 이영진 │
사진: 최성열 │
2010-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