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OME > News & Report > Report > 씨네스코프
[씨네스코프] 고려인들의 장밋빛 인생
윤혜지 사진 오계옥 2013-09-13

다큐멘터리 <열린 도시> 촬영현장

김정 감독이 타슈켄트 식당의 직원인 김갈리나씨를 인터뷰하고 있다. 김갈리나씨는 촬영현장의 러시아어 통역과 김알렉스씨의 인터뷰까지 도맡아준 중요 인력이기도 했다. 그녀는 인터뷰를 하기 전, “카메라에 예쁜 모습으로 나와야 한다”며 화장을 새로 하고 의상도 갈아입는 성의를 보여줬다.

“감독님이 나보다 더 어려요? 그럼 내가 언니네!” 처음엔 김정 감독과의 인터뷰를 쑥스러워하던 김허스베타씨는 서로의 나이를 알고 난 뒤 눈에 띄게 적극적인 모습으로 돌변했다.

“영화배우 뺨치는 외모”를 자랑하는 김허스베타씨의 큰아들. 함께 사진에 담긴 김허스베타씨의 미모도 만만치 않다.

다큐멘터리 <거류>와 극영화 <>에 이어 김정 감독은 <열린 도시> 프로젝트에서도 이주와 공간의 테마를 이야기한다. “이주 공간에 대한 성찰과 함께 처참하지만 강한 생명력을 보여주는 이주민들의 역사를 현재의 시점에서 그려내고 싶다.”

안산 땟골마을 한복판에 낯선 언어로 쓰인 간판을 단 허름한 식당이 눈에 띈다. 문을 열자 거짓말처럼 다른 세계가 눈앞에 펼쳐진다. 스피커에선 가사를 알아들을 수 없는 애절한 노래가 흘러나오고, 익숙지 않은 향의 음식 냄새가 코를 간지럽힌다. 식당 구석에 놓인 카메라를 보고 제대로 찾은 듯해 안도하는 순간 김정 감독이 환하게 웃으며 인사를 건넨다. “어서 오세요. 타슈켄트에.”

고려인 부부가 문을 연 우즈베키스탄 식당 ‘타슈켄트’는 다큐멘터리 <열린 도시> 프로젝트의 촬영현장이기도 하다. 김정 감독과 박기웅 촬영감독, 강진석 프로듀서, 배강범 조감독까지 넷으로 꾸린 단출한 촬영팀이다. 감독은 한쪽 구석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식당 손님들의 식사 장면과 고려인 직원 김갈리나씨의 일하는 모습을 찍고 있다. 그때 조선족 김씨가 다가와 “여긴 무엇하러 왔냐”며 갑자기 심문을 시작한다. 무시로 식당을 드나들며 안면을 익혀둔 감독이 김씨를 설득해 도로 자리에 앉힌다. “여전히 공안을 두려워해” 카메라 앞에서 예민하단다.

손님들이 빠져나간 뒤 감독은 식당 안주인 김허스베타씨를 인터뷰한다. 아들 사진을 본 감독이 “영화배우처럼 잘생겼다”고 칭찬하자 함박웃음을 짓던 그녀의 눈가가 금세 촉촉해진다. “아들 둘이 모두 입양아다. 카자흐스탄에서 일하고 있는 큰아들이 몹시 보고 싶다”며 복잡한 가계도를 설명해준다. 처음의 의도대로 고려인들이 놓인 현실의 한 단면이 성공적으로 카메라에 담길 뻔했지만 분위기가 무거워지자 감독은 인터뷰를 그만두고 카메라를 뒤로 뺀다. 영업에 방해가 되면 안된다는 감독의 지시로 스탭들이 식당 바깥에 테이블을 마련한다. 김갈리나씨와의 인터뷰를 위해서다. “러시아로 이주한 서산 김씨의 후손”이라는 김갈리나씨는 “종친을 찾으러 한국에 왔다”고 한다. “가족사를 되짚어가며 한국에서 생활하는 동안 고려인과 한국인이 함께 찾는 식당을 열고 싶다”는 꿈도 생겼다. 이날따라 심기가 불편해 보였던 식당 바깥주인 김알렉스씨의 인터뷰는 흐지부지됐다. 그와 가까워지기 위해 촬영팀은 식당을 매일같이 찾는 모양이지만 굳게 닫힌 마음의 문은 쉬이 열리지 않는 것 같다. “촬영 제1원칙대로 성실하게 찍는 수밖에 없겠다”고 감독은 단단히 각오를 다진다.

김정 감독의 카메라는 현재 안산 땟골마을과 원곡동 다문화거리를 탐사하고 있다. 가을엔 중국 광저우의 초콜릿시티를, 12월엔 김허스베타씨의 딸 나타샤를 따라 타슈켄트로 가 중앙아시아 고려인 청년들을 촬영할 계획이다. 최종 완성본은 내년 하반기에 공개된다.

관련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