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가장 아름다운 라이트세이버가 탄생했다”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에서 연기한 카일로 렌은 마스크를 쓰고 등장한다. 마스크 연기를 처음 경험했는데 어떻든가.
=마스크 뒤에서 연기하는 건 쉽지 않았지만 도전 자체는 신선하게 느껴졌다. 마스크란 제약이 생기면서 다른 극적인 가능성이 열리더라. 마스크 뒤에 숨은 캐릭터가 또 있다고 생각하니 흥미로웠다. 다스 베이더도 마찬가지지만 마스크
글: 김현수 │
2015-12-23
-
[스페셜1]
“젊은 여성이 세상과 싸워나가는 이야기다”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의 촬영은 주로 어디에서 이뤄졌나.
=다양한 로케이션 촬영은 우리에겐 정말 중요한 문제였다. 최대한 다양한 장소에서 촬영해 ‘진정성’을 표현하고 싶었으니까. 요새 블루 스크린에서 촬영하는 수많은 영화들과는 다르게 찍고 싶었다. <스타워즈> 시리즈의 규칙까지는 아니지만 전작들이 늘 그렇게 실제 장소에 가서
글: 김현수 │
2015-12-23
-
[스페셜1]
시스냐? 제다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영화 개봉 전까지 예고편과 스틸컷 외에 아무런 정보가 공개되지 않은 탓에 팬들은 영화의 줄거리와 캐릭터 설정 등에 대한 다양한 추측을 늘어놓으며 개봉일을 기다리는 중이다. 각종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를 찾아다닐 여력 없는 독자들을 위해 이번 영화에 관한 루머를 모아봤다. 영화를 보지 못한 이들의 입소문이니 스포일러 걱정은 접어두고 재미로 보길 권한다.
글: 김현수 │
2015-12-23
-
[스페셜1]
포스의 귀환
<스타워즈> 시리즈의 화려한 부활인가. 10여년 만에 다시 시리즈의 부활을 알려온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를 향한 전세계 관객의 관심이 어마어마하다. 조지 루카스 감독의 손을 떠나 디즈니와 J. J. 에이브럼스 감독과 만난 <스타워즈> 시리즈는 앞으로 어디까지 뻗어나갈 것인가. 그보다 먼저 과연 이번 영화에서는 어떤 이야
글: 김현수 │
2015-12-23
-
[스페셜1]
세상 모든 것의 이름을 찾아
“아이의 이름은 미아다. 혹은 민아이거나, 미나이거나, 민하일 수도 있고, 아미이거나, 유미이거나, 윤미일 수도 있지만, 어쨌거나 아이는 미아라고 불리고, 아이 스스로도 자신의 이름을, 미아라고 생각한다.” 한유주의 첫 장편소설 <불가능한 동화>에서 등장인물의 이름을 소개하는 대목이다. 그녀의 소설은 대부분 화자가 마치 결정장애라도 있는 듯 자
글: 김현수 │
사진: 백종헌 │
2015-12-15
-
[스페셜1]
울다가 웃다가
“내가 지향하는 문학은 바로 ‘항문발모형’(肛門發毛形) 문학이다.” 지난 2010년 단편소설 <시티투어버스를 탈취하라>로 등단할 당시, 최민석 작가는 이렇게 말했다. 항문발모형이란 대체 무엇인가. 그건 (독자들이) 울다가 웃어서 엉덩이에 털이 나는 작품을 써보겠다는 작가의 굳은 의지를 표현한 말이었다. 물론 그의 글을 읽고 정말로 그곳에 털이
글: 장영엽 │
사진: 백종헌 │
2015-12-15
-
[스페셜1]
위로의 운명
‘타자의 소설.’ 조해진의 첫 번째 소설집 <천사들의 도시>에서 문학평론가 신형철은 ‘조해진의 소설을 읽는 코드 중 하나’를 그렇게 말해뒀다. 에이즈에 감염된 여자(<그리고, 일주일>), 시력을 잃은 연극배우와 죄지은 것 없이 전과자가 돼버린 남자(<기념사진>), 한국 남자와 결혼한 뒤 버림받은 우즈베키스탄의 고려인 여자(
글: 정지혜 │
사진: 손홍주 │
2015-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