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영화로 수다 떨며 늙고 싶다”
필모그래피
<데드풀>(2016)
<스포트라이트>(2016)
<사울의 아들>(2015)
<캐롤>(2015)
<맥베스>(2015)
<시카리오: 암살자의 도시>(2015)
<나의 어머니>(2015)
<러덜리스>(2014)
<셀마>(2014)
<미스터 터너>
글: 이주현 │
사진: 최성열 │
2016-03-15
-
[스페셜1]
“최대한 쉽고 간결하게”
필모그래피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4월 개봉예정)
<클로버필드 10번지>(4월 개봉예정)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2015)
<인터스텔라>(2014)
<라이프 오브 파이>(2012)
<다크 나이트 라이즈>(2012)
<프로메테우스>(2012)
<어벤져스>(2012
글: 윤혜지 │
사진: 김정태 │
2016-03-15
-
[스페셜1]
꿀잼 자막의 내부자들
관객 친화적 번역가 <데드풀> 번역 황석희
자막이 보여줄 수 있는 모든 것 <도쿄 트라이브> 번역 정구웅
장르를 넘나드는 멀티테이너 <로마 위드 러브> 번역 윤혜진
표준을 제시한다 <인터스텔라> 번역 박지훈
글: 씨네21 취재팀 │
2016-03-15
-
[스페셜1]
이세돌 기사 vs. 알파고
관련기사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이학박사 정재승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연구교수, 입자물리학자 이종필
단국대학교 의학대학 교수, 기생충학자 서민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공학박사 노준용
부산대학교 물리교육학과 교수, 양자물리학자 김상욱
글: 정지혜 │
글: 디지털미디어팀 │
2016-03-08
-
[스페셜1]
왜 영화 속 과학자들은 천재거나 괴짜일까
FICTION
영화 속 과학자들은 평범하지 않다. 흥미를 위해서라곤 하지만 일반인의 이해 범주를 넘어선 부분이 많다. 그래서 어떤 이들에게는 미치광이로, 존경의 의미를 담아선 천재로 불린다. 어떨 땐 이상한 행동을 하지 않으면 천재가 아닌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FACT
“일반인들에게 과학자 이름을 대보라고 하면 아마도 아인슈타인이나 스티븐 호킹
글: 송경원 │
글: 디지털미디어팀 │
2016-03-08
-
[스페셜1]
<매트릭스>는 상상에 불과한가
FICTION
<매트릭스>는 인간이 기계를 위해 일종의 배터리 역할을 하고 있는 디스토피아 세계다. 인간들은 자신이 기계에 사육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모른 채 가상현실 속을 살아간다.
FACT
“가상과 현실의 경계가 무엇인지부터 정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맥스웰의 도깨비 원리’라는 이론이 있는데, 근본적으로 정보가 무엇인지에 대해 연구
글: 송경원 │
글: 디지털미디어팀 │
2016-03-08
-
[스페셜1]
<마션>이 차마 표현하지 못한 디테일
관련기사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이학박사 정재승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연구교수, 입자물리학자 이종필
단국대학교 의학대학 교수, 기생충학자 서민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공학박사 노준용
부산대학교 물리교육학과 교수, 양자물리학자 김상욱
글: 송경원 │
글: 디지털미디어팀 │
2016-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