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2018 겨울 블록버스터 한국영화③] <스윙키즈> 제작기 - 이안나 프로듀서, 김지용 촬영감독, 박일현 미술감독에게 듣다
제작 난이도를 상, 중, 하로 나누자면 강형철 감독의 신작 <스윙키즈>는 단연 상에 해당된다. 1950년대 한국전쟁 당시 이데올로기의 격전기였던 거제 포로수용소를 고스란히 재현해야 했고, 가격이 비싸고 사용 허가를 받기 까다로운 음악을 무려 10곡이나 확보해야 했으며, 1950년대의 공기와 빛을 카메라에 담아내야 했기 때문이다. 영화를 제작한
글: 김성훈 │
2018-12-19
-
[스페셜1]
[2018 겨울 블록버스터 한국영화②] <마약왕> 우민호 감독 - 파멸의 인물을 통해 보여준 부패의 시대
“신나게 찍었다.” 우민호 감독은 몸은 힘들지만 <마약왕>이 배우와 스탭 모두가 만족한 현장이었다고 말한다. 지난해 10월 장장 6개월간 100회차 촬영을 마친 <마약왕>은 1970년대 초 부산 지역에 실재했던 거대 마약 유통 사업의 중심에 있던 ‘마약왕’ 이두삼(송강호)의 10여년간의 행적을 그린 시대극이다. 이두삼의 성공과 몰락
글: 이화정 │
사진: 최성열 │
2018-12-19
-
[스페셜1]
[2018 겨울 블록버스터 한국영화①] <마약왕> 제작기 - 김진우 프로듀서, 고락선 촬영감독, 조화성 미술감독에게 듣다
1970년대 초, 부산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마약왕의 존재는 시대의 격동 속에서 태어난 돌연변이와 같았다. <마약왕>은 배우 송강호의 압도적인 부피감이 만들어낸 인물 이두삼을 통해, 오로지 그 시절에만 가능했던 성공과 몰락을 그린다. 제작진에겐 일반적인 고증으로 대체할 수 없는, 소위 ‘마약왕’만의 세계를 상상하는 일이 주요 과제였다. 김진우 프
글: 김소미 │
2018-12-19
-
[스페셜1]
2018년 겨울 블록버스터 한국영화 <마약왕> VS <스윙키즈> ① ~ ④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눈에 띄는 한국영화 기대작들이 겨울 블록버스터 시장에서 정면 승부를 벌인다. 우민호 감독의 <마약왕>은 1970년대를 마약 사업으로 풍미한 남자를, 강형철 감독의 <스윙키즈>는 한국전쟁 당시 포로수용소에 갇힌 탭댄스의 신동을 주인공으로 내세웠다. 이름만으로 장르가 된 송강호의 묵직한 누아르, 그리고 세대교체에 도
글: 씨네21 취재팀 │
2018-12-19
-
[해외통신원]
[뉴욕] 뉴욕 브로드웨이 연극 <더 라이프스팬 오브 어 팩트>
사실(팩트)과 진실. 저널리즘에 바탕을 둔 기사와 에세이의 차이는 무엇일까. 화려한 캐스팅이 눈에 띄는 뉴욕 브로드웨이의 새로운 연극 <더 라이프스팬 오브 어 팩트>는 정확하고 윤리적인 사실과 작품성을 위한 문학적 사실 왜곡에 대해 이야기한다. 지난 9월부터 공연을 시작한 이 작품은 지금까지 약 900만달러의 박스오피스 수익을 올리며 화제가 되
글: 양지현 │
2018-12-18
-
[내 인생의 영화]
[내 인생의 영화] 마민지 감독의 <헤드윅>
감독·출연 존 카메론 미첼 제작연도 2001년
질풍노도의 중학교 2학년 시절, 나는 한창 만화책에 빠져 있었다. 하굣길에는 늘 대여점에 들러 대여섯권의 만화책을 빌렸고, 귀에 꽂은 이어폰에서는 엑스재팬과 디르 앙 그레이 같은 비주얼록 음악이 흘러나왔다. 가방에는 여의도 중소기업전시장에서 열리던 서울코믹월드에서 심혈을 기울여 산 코팅 굿즈가 주렁주렁 매
글: 마민지 │
2018-12-18
-
[도서]
씨네21 추천도서 <착한 여자의 사랑>
앨리스 먼로의 소설은 평범한 일상에서 시작된다. 여느 때와 같은 주말 강둑에 올라간 소년들(<착한 여자의 사랑>), 해변을 산책하다 아지트로 향하는 절친한 두 여자(<자카르타>), 집의 배관을 고치러 온 남자에게 쿠키와 차를 권하는 부인(<코데스섬>), 고속도로를 이동하는 차에서 상상력을 발휘해 외계인놀이를 하는 아이들(&
글: 김송희 │
사진: 오계옥 │
2018-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