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씨네21 리뷰]
<양의 나무> 극비 프로젝트로 마을에 오게 된 6명의 이방인
한적한 바다마을 우오부카, 이곳의 젊은 시청직원 츠키스에(니시키도 료)는 담당과장으로부터 마을에 이주하게 된 6명의 정착을 돕는 일을 맡게 된다. 이들 6명의 이방인은 정부가 운영하는 극비 프로젝트로 마을에 오게 된 사람들이다. 하지만 츠키스에는 이들이 어떻게 이 마을에 오게 됐는지 전혀 알지 못한다. 이들의 과거가 조금씩 밝혀지던 어느 날 마을에서 변사
글: 홍은애 │
2018-10-17
-
[씨네21 리뷰]
<배반의 장미> 네 사람의 아주 특별한 하루
인터넷 자살 클럽에 닉네임 ‘최후의 불꽃’ 병남(김인권)이 긴급 공지를 올린다. 자살을 실행하자는 병남의 글에 닉네임 ‘인생은 미완성’ 심선(정상훈), ‘행복은 성적순’ 두석(김성철)이 모인다. 이들은 목욕탕 함께 가기 등 소소한 버킷리스트를 실행한 뒤 죽음을 맞이할 모텔로 함께 간다. 술을 마시며 각자의 사연을 이야기하다 자살을 하려던 순간, 자살에 동
글: 박지훈 │
2018-10-17
-
[씨네21 리뷰]
<데스 위시> 브루스 윌리스가 가족을 위해 다시 총을 잡았다
브루스 윌리스가 가족을 위해 다시 총을 잡았다. 외과의사 커시 박사(브루스 윌리스)는 사랑하는 아내 루시(엘리자베스 슈)와 딸 조던(카밀라 모로네)과 함께 평범하고 행복한 나날을 보내던 도중, 무장 강도의 습격을 받고 일상이 무너져버린다. 평생 사람 살리는 일을 해오던 커시 박사는 느닷없이 덮쳐온 불행 앞에서 좌절하기보다는 왜 자신에게 이런 일이 생겼는
글: 김현수 │
2018-10-17
-
[씨네21 리뷰]
<퍼스트맨> 인류 최초로 달을 여행한 미국인 우주비행사 닐 암스트롱
달에 착륙한 뒤 지구로 무사 귀환한 인간. 사람들은 그를 영웅이라고 불렀다. 1961년, 인류 최초로 달을 여행한 미국인 우주비행사 닐 암스트롱의 이야기다. <퍼스트맨>은 한때 세계에서 가장 유명했던 남자의 초현실적 체험을 감각적으로 서술해 나간다. <라라랜드>(2016)로 국내에 선풍적인 반향을 불러일으킨 데이미언 셔젤 감독과 라이
글: 김소미 │
2018-10-17
-
[국내뉴스]
배우가 본업인 출연진들의 영화 속 모습
양꼬치엔 칭따오! 특파원 정상훈이 영화 <배반의 장미>로 관객들을 찾아왔다. <배반의 장미>는 함께 죽기 위해 결성된 클럽 멤버들의 소동을 그린 영화로, 정상훈은 한물 간 시나리오 작가, 심선 역을 맡았다.
미국의 유명 코미디쇼 <SNL>(Saturday Night Live)의 국내 버전, <SNL 코리아&g
글: 김진우 │
2018-10-16
-
[스페셜1]
[부산에서 만난 영화인들⑱] <여명> 히로세 나나코 감독, 배우 야기라 유야 - 회색의 인간에 대하여
<여명>은 해가 뜰 무렵의 희망을 이야기하는 스릴러다. 삶을 포기하려던 한 청년 신이치(야기라 유야)는 중년 남자의 손에 의해 목숨을 구한다. 비밀을 가진 인물들이 만나면서 생긴 긴장감이 영화의 전반을 지배한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아무도 모른다>(2004)로 2004년 칸국제영화제 남우주연상을 받은 배우 야기라 유야는 신이치
글: 전효진 │
사진: 김희언 │
2018-10-17
-
[스페셜1]
[부산에서 만난 영화인들⑰] <국화와 단두대> 배우 기류 마이, 간 하나에 - 세상을 바꾸고 싶다
일본에는 ‘여자력’이라는 말이 있다. 여성스러움을 위한 노력을 뜻하는 말로, 가령 스커트가 10벌 이상 있다거나 손수건과 휴지를 꼭 갖고 다니는 덕목(?)을 의미한다. <국화와 단두대>는 ‘여자력’과는 거리가 먼, 현재 일본의 사고보다 더 진취적인 여성상을 보여준다. 1923년 관동 대지진 이후 혼란스러웠던 일본에서 인기를 끌었다는 여성 스모단
글: 임수연 │
사진: 박종덕 │
2018-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