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기획] 어린 시절은 끝나지 않았다,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트리비아, 미야자키 하야오의 말들
빛처럼 달려나가는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의 도입부에서 우선 화면의 리듬을 지배하는 것은 소년 소녀들의 잽싼 동작을 역동적으로 처리하는 미야자키 하야오 애니메이션 특유의 ‘달리는 리듬’이다. 2층 계단을 순식간에 뛰어올라 어머니의 병원에 불이 난 상황을 목격한 마히토는 아버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그길로 전쟁의 포화로 물든 거리를 달음박질
글: 김소미 │
2023-11-03
-
[스페셜2]
[기획] ‘미래소년 코난’에서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까지, 미야자키 하야오가 걸어온 궤적
워커홀릭의 애니메이터, 올 라운더 감독이 되다
<미래소년 코난> <루팡 3세: 칼리오스트로의 성>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예술가에게는 인생을 바꾼 작품이 있기 마련이다. 미야자키 하야오에게는 고등학교 3학년 때 봤던 도에이동화의 <백사전>(1958)이었다(특히 파이냥이라는 여자주인공에게 반했다고 한다). 이
글: 임수연 │
2023-11-03
-
[스페셜2]
[인터뷰] 한발 더 나아간 완성도를 추구하며, 혼다 다케시 작화감독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작화로 유명한 혼다 다케시는 <벼랑 위의 포뇨> <털벌레 보로>를 거쳐 마침내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의 작화감독을 맡아 무려 7년을 이 한편의 작품에 매진했다. 스즈키 도시오 프로듀서가 꼭 필요한 인재로 점찍어 어렵게 초빙한 그는 미술관에 걸려도 손색이 없을 이번 작품을 통해 자신의
글: 송경원 │
2023-11-03
-
[스페셜2]
[인터뷰] 미야자키 하야오의 심경이 오롯이 반영됐다, 스즈키 도시오 프로듀서
스튜디오 지브리에는 세명의 천재가 있다. 다카하타 이사오 감독,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 스즈키 도시오 프로듀서. 이들은 지브리뿐 아니라 오늘날 일본 애니메이션의 기틀을 만든 사람들이다. 이중 스즈키 도시오 프로듀서는 지브리의 살림꾼이자 꿈을 현실로 만들어온 실질적인 개척자다. 스즈키 도시오는 길이 없으면 새로 만들어가며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g
글: 송경원 │
2023-11-03
-
[스페셜2]
[기획] 세계와 나 그리고 지브리 애니메이션,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와 미야자키 하야오의 세계
대중적이지 않다. 스토리가 불친절하고 난해하다. 지나치게 많은 상징과 의미들이 부담스럽다. 제목부터 가르치려 드는 것 같다. 1930년 일본의 군수업자를 배경으로 하여 태평양 전쟁을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점이 불편하다. 남편이 아내 사후 처제와 결혼한다는 몇몇 설정이 낯설고 이상하다.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에 쏟아지는 혹평과 아쉬움은 당연
글: 송경원 │
2023-11-03
-
[스페셜2]
[기획]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에 이르러 미야자키 하야오와 스튜디오 지브리를 돌아보다
10월25일 한국 개봉과 동시에 첫날 25만명을 동원해 역대 일본 애니메이션 오프닝 최고 성적을 기록한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는 은퇴를 번복해온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이 <바람이 분다> 이후 10년 만에 내놓은 복귀작이다.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가장 자전적이고 정신적인 작품인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는 지금까지
글: 씨네21 취재팀 │
2023-11-03
-
[스페셜2]
[기획] 메이킹보다 테이킹, 어둠의 결을 포착하다, <한 채> 허장, 정범 감독
“두 사람이라서 오히려 정확한 초점과 거리를 맞출 수 있었다.” <한 채>는 복지 사각지대에서 위장 결혼과 아파트 분양이라는 첨예한 소재 뒤로 사람의 그림자와 온기가 드리운 영화다. 자극적으로 흐를 수 있었던 이야기를 절제된 영상과 연출력으로 표현한 허장, 정범 감독은 “세상에 쓸모 있는 영화”를 만들고 싶다며 수줍지만 단호한 목소리를 이어갔다.
글: 송경원 │
2023-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