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아유]
<나의 특별한 형제> 안지호 - 특별한 소년
<건축학개론>(2012)의 이제훈, <카트>(2014)의 도경수 등으로 이어지는 ‘명필름의 남자들’ 계보에 가장 어울리지 않는 수식어는 아마 ‘마초’일 것이다. 명필름과 조이래빗이 공동 제작한 <나의 특별한 형제>에서 어린 세하(신하균)로 분한 안지호는 이들의 16살 시절 같은 배우다. 실제로 <카트>의 최철웅
글: 임수연 │
사진: 최성열 │
2019-05-09
-
[스페셜2]
[작가 3인을 만나다③] <올해의 미숙> 만화가 정원 - 자전적인 이야기는 쓰지 않는다
성인이 된 미숙은 언니 정숙의 투병을 지켜보며 과거를 떠올린다. 그 과거에는, 좋아했던 친구가 미숙의 상황을 소설로 써 큰 상을 받은 일도 포함되어 있다. “내 이야기였다. 시인인 아버지가 엄마를 죽도록 패는 이야기. 허벅지를 매일 꼬집는 언니가 동생을 죽도록 패는 이야기.” ‘프롤로그’는 있지만 ‘에필로그’는 없는 <올해의 미숙>은 섣불리 넘
글: 이다혜 │
사진: 오계옥 │
2019-05-09
-
[스페셜2]
[작가 3인을 만나다②] <무구함과 소보로> 시인 임지은 - 여성이 화자로 전면에 등장하기를, 새롭고 방대하기를
임지은의 시와 현실 사이에는 아주 얇은 막이 있다. 그 막을 통과하면 어떤 것도 전과 같지 않다. 시간 감각이 혼란스러워지고, 경계가 사라져 질문이 질문을 낳는다. 본 대로 읽으라는 말에 “woowoolhae”라고 우물거리고 “미안해, 행복해지고 싶어”라고 덧붙인다. 임지은의 시가 영토로 삼은 곳은 우리가 잘 아는 매일의 시간, 거기에 음악적인 언어의 기
글: 이다혜 │
사진: 오계옥 │
2019-05-09
-
[스페셜2]
[작가 3인을 만나다①] <가만한 나날> 소설가 김세희 - 일상의 감정들을 써나가겠다
소설집 <가만한 나날>에 수록된 해설집(신샛별 문학평론가가 썼다) 제목은 ‘우리의 모든 처음들’이다. 처음은 설렘만 동반하는 게 아님을, 모든 낯섦과 불편함에 우리가 얼마나 떨었고 무방비했는지 당시의 감정들이 고스란히 기록되어 있다. 별일 없어 보이는 일상의 감정은 내내 파문을 일으키고, 그것들이 우리와 사회를 연결하고 있음을 써내려가는 김세희
글: 김송희 │
사진: 오계옥 │
2019-05-09
-
[스페셜2]
첫 책 낸 작가 3인을 만나다 ① ~ ③
첫 단행본을 통해 시대와 세대를 절묘하게 연결지은 세 작가가 있다. 소설집 <가만한 나날>의 김세희 작가, 시집 <무구함과 소보로>의 임지은 작가, 만화 <올해의 미숙>의 정원 작가가 그들이다. 자신이 속한 세대에 대한 손쉬운 딱지붙이기 대신 구체적인 삶의 경험을 말하는 <가만한 나날>의 힘, 상상하는 즐거
글: 씨네21 취재팀 │
사진: 오계옥 │
2019-05-09
-
[디스토피아로부터]
아직 괜찮지 않습니다
얼마 전 우연한 기회에 글쓰기 관련 특강을 한 꼭지 맡아 하게 됐다. 글쓰기라니, 내가 들어야 할 강의인데 나 같은 사람이 무슨 강의를 하나 뒤늦은 후회를 했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다. 이제 와서 감독을 꿈꾸게 된 멋진 계기나 나만의 창작론 같은 걸 만들어낼 수도 없고 해서, 그냥 수업 내내 실상 나라는 사람이 예술과 글쓰기와 얼마나 거리가 먼 사람인지,
글: 윤가은 │
일러스트레이션: 다나 │
2019-05-08
-
[김혜리의 영화의 일기]
[김혜리의 영화의 일기] 사중주
시네마는 집단 체험의 예술이지만 장민승 감독과 음악가 정재일의 명상적 중편 <오버 데어>는 혼자만의 관람도 권할 만하다. 2015년부터 2년간 제주의 자연을 촬영한 영상과 사진이 때로는 안개로 매개된 디졸브로, 때로는 단호한 컷으로 연쇄되는 <오버 데어>는 화면 안 소리를 배제하고 정재일의 음악으로 사운드트랙을 채웠다. 고드프리 레지
글: 김혜리 │
2019-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