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제72회 칸국제영화제 결산⑦]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 “이 영화는 그냥 내 인생의 일부에서 튀어나왔다”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9번째 영화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가 올해 칸에서 첫 공개되던 5월 21일 오후, 상영관 근처에는 영화제 기간을 통틀어 가장 많은 인파가 몰려들었다. 타란티노 감독이 직접 기자들에게 스포일러 방지를 부탁하는 편지를 보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영화가 공개되기 전부터 1960년대 할리우드를 뒤흔들었던 희대의 살인
글: 김현수 │
2019-06-05
-
[스페셜1]
[제72회 칸국제영화제 결산⑥] <리틀 조> 예시카 하우스너 감독, “이 영화를 통해 진실의 다른 측면을 자세히 들여다보길”
예시카 하우스너 감독의 <리틀 조>는 인간에게 행복감을 안겨주는 기능을 지닌 꽃을 개발하던 과학자들이 오히려 그 꽃으로부터 서서히 인간성을 잠식당하게 되는 이야기를 다룬다. 설정만 들어서는 프랑켄슈타인 혹은 신체강탈을 소재로 한 <외계의 침입자>(1978) 같은 영화가 연상된다. <리틀 조>가 독특한 지점은 올해 칸영화제
글: 김현수 │
2019-06-05
-
[스페셜1]
[제72회 칸국제영화제 결산⑤] <포트레이트 오브 어 레이디 온 파이어> 셀린 시아마 감독, “다양한 목소리가 그들 자신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몇몇 여성감독들은 정말로 훌륭하다. 나는 그들에게 더 자주 빛을 비추고 싶다.” 지난 3월 작고하기 전, 아녜스 바르다는 <할리우드 리포터>와 인터뷰에서 자신이 주목하는 여성감독들의 이름을 언급했다. 프랑스 감독 셀린 시아마는 그중에서 가장 먼저 호명된 이름이었다. 그는 소녀와 사랑에 빠진 소녀의 이야기를 다룬 데뷔작 <워터 릴리스>
글: 장영엽 │
2019-06-05
-
[스페셜1]
[제72회 칸국제영화제 결산④] <영 아메드> 다르덴 형제 감독, “삶에 대한 개인의 의지가 그를 억압하는 광기보다 강력하다”
다르덴 형제의 감독상 수상은 72회 칸영화제 폐막식의 이변 중 하나였다. 워낙 쟁쟁했던 올해 경쟁부문의 각축전 속에서, <영 아메드>는 평단과 언론의 관심으로부터 한발 물러나 있던 작품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영화는 복합적이고도 모순적인 삶의 양상을 통해 사회적, 정치적, 윤리적 문제를 집요하게 탐구하는 리얼리스트 다르덴 형제의 여전한 저력
글: 장영엽 │
2019-06-05
-
[스페셜1]
[제72회 칸국제영화제 결산③] 제72회 칸국제영화제 폐막,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 만장일치로 황금종려상 수상
“심사위원들이 편두통을 앓아야 했다는 것. 그것이 바로 올해 영화제의 단점이다.” 프랑스 일간지 <르몽드>는 지난 5월 25일 막을 내린 72회 칸영화제를 결산하며 이렇게 말했다. 국적에 관계없이 모두가 입을 모아 ‘최고의 라인업을 선보인 한해’였다고 말하는 2019년 칸영화제 경쟁부문 상영작 중 어떤 영화에 손을 들어줄 것인지는 심사위원들에게
글: 장영엽 │
2019-06-05
-
[스페셜1]
[제72회 칸국제영화제 결산②] <기생충> 봉준호 감독, “봉준호 자체가 장르”라는 말 감격스럽다
-정말 멋진 영화였다. 칸영화제에 오기 전, <기생충>이 “한국 사람이 봐야 뼛속까지 이해할 수 있는 영화”라고 했다. 그런데 칸에서 이 영화를 본 모두가 다 좋아했다. 당신은 왜 이 영화가 한국적이라고 생각했나,
=미리 엄살을 좀 떨었다. 그 말을 국내 제작보고회 때 했는데, 일단 칸영화제에서 먼저 영화가 소개되지만, 나중에 한국에서 개봉
글: 장영엽 │
2019-06-05
-
[스페셜1]
[제72회 칸국제영화제 결산①]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 제72회 칸국제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
봉준호 감독이 한국영화 100년 역사의 새 장을 열어젖혔다. 지난 5월 25일 오후 7시(현지시각) 팔레 드 페스티벌의 뤼미에르 극장에서 열린 72회 칸영화제 폐막식에서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이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한국영화가 칸영화제에서 본상을 수상한 것은 2010년 이창동 감독의 <시>가 각본상을 수상했던 63회 이후 9년 만
글: 김현수 │
2019-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