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스페셜] 반복되는 하루의 딜레마 - <하루> 조선호 감독
본격적인 타임루프물 영화가 등장했다. <하루>(제작 라인필름·배급 CGV아트하우스)는 끊임없이 반복되는 하루하루마다 사랑하는 이들의 죽음을 막기 위해 분투하는 이들의 이야기다. <더 웹툰: 예고살인>(2013), <원스 어폰 어 타임>(2008) 등 다양한 장르영화의 조감독을 거친 조선호 감독은 장편 데뷔작으로 타임루프물
글: 이예지 │
사진: 최성열 │
2016-12-26
-
[스페셜1]
[스페셜] 자각몽으로 사건을 해결할 수 있을까 - <루시드 드림> 김준성 감독
영화 <루시드 드림>(제작 로드픽처스·배급 NEW)으로 들어가는 첫 번째 단계는 자각몽과 공유몽의 차이를 아는 거다. 자각몽은 자기 꿈속으로 들어가 꿈을 의도대로 꾸미는 것으로, 훈련을 통해 실제로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공유몽은 이론적으로만 가능한 것으로, 꿈꾸는 사람의 뇌파 주파수를 적절히 맞추면 그 사람의 꿈에 타인이 의도적으로 접근할
글: 윤혜지 │
사진: 오계옥 │
2016-12-26
-
[스페셜1]
[스페셜] 돈의 움직임을 따라서 - <원라인> 양경모 감독
한큐에 해결된다. <원라인>(제작 미인픽쳐스, 곽 픽쳐스·배급 NEW)은 모든 것을 속여내 돈을 빌리는, 일명 ‘작업 대출’의 세계를 그리는 하이스트무비다. <원라인>으로 상업 장편영화 연출에 데뷔하는 양경모 감독은 “이야기와 인물이 생동하는, 사람과 돈에 관한 이야기”를 쓰고 싶었다고 밝혔다. 인간의 근본적인 욕망을 건드릴, ‘돈
글: 윤혜지 │
2016-12-26
-
[스페셜1]
[스페셜] 염치를 모르는 사회에 산다는 것 - <해빙> 이수연 감독
‘얼음이 녹고 시체가 떠오른다’는 것은 <해빙>(제작 위더스필름·배급 롯데엔터테인먼트)의 강력한 모티브였다. “영원히 덮어둘 수 있는 것은 없다. 해결하지 않고 묻어둔 것들은 언젠가는 귀환하게 마련”이라는 이수연 감독의 지론대로, 떠오른 시체는 이 사회 혹은 한 개인이 대면하지 않고 억압해두었던 문제들에 대한 강력한 메타포다. 미제 살인사건으
글: 이예지 │
사진: 손홍주 │
2016-12-26
-
[스페셜1]
[스페셜] 매형과 처남, 의기투합하다 - <보안관> 김형주 감독
검찰도, 형사도 아니다. ‘로컬 수사극’을 지향하는 <보안관>(제작 영화사 월광, 사나이픽처스·배급 롯데엔터테인먼트)은 한 오지랖 넓은 ‘부산 아재’의 좌충우돌 수사기를 다룬다. 세련된 외모와 수더분한 말투로 동네 주민들을 빠르게 접수하는 외지인, 그는 과연 범죄자일까? <군도: 민란의 시대>의 조감독 출신인 김형주 감독은 자신이
글: 장영엽 │
사진: 백종헌 │
2016-12-26
-
[스페셜1]
[스페셜] 교도소에서 생긴 일 - <더 프리즌> 나현 감독
“교도소가 하나의 캐릭터다.” 나현 감독의 데뷔작 <더 프리즌>(제작 큐로홀딩스·배급 쇼박스)은 제목 그대로, 교도소 자체가 주인공이기도 한 영화다. “이른바 ‘교도소 영화’의 전형적인 포맷이 있다. 억울하게 누명을 쓴 주인공, 죄수들을 억압하는 교도관, 교도관 몰래 탈옥을 시도하는 죄수들. 그런 교도소 영화들의 전형적인 설정을 뒤집어보고 싶
글: 윤혜지 │
사진: 최성열 │
2016-12-26
-
[스페셜1]
[스페셜] 배우들이 좀더 자유롭게 놀 수 있도록 - <임금님의 사건수첩> 문현성 감독
동명의 만화를 원작으로 한 <임금님의 사건수첩>(제작 영화사 람·배급 CJ엔터테인먼트)은 촬영 내내 현장 분위기가 좋기로 소문이 자자했다. 2016년 여름, 촬영 현장을 취재하러 갔을 때도 현장이 유쾌했다. 카메라가 돌아갈 때는 감독, 배우 할 것 없이 의견을 자유롭게 주고받았다. 매일 촬영이 끝나면 촬영 장소 근처 맛집에서 이선균이 주도한
글: 김성훈 │
사진: 오계옥 │
2016-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