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영화제 45관왕 <벌새> 김보라 감독의 해외영화제 순방기 연재 ➋
지난 <씨네21> 1237호에 <벌새> 김보라 감독의 해외영화제 탐방기 그 첫 번째 이야기가 실렸다. 베를린국제영화제, 이스탄불국제영화제, 키프로스국제영화제에서 벌어진 일들에 이어 이번에는 뉴욕 트라이베카영화제에서 홍콩아시안영화제까지, 대륙을 횡단하며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김보라 감독이 <벌새>로 경험한 지난
글: 김보라 │
2020-03-12
-
[스페셜1]
[2010년대 최고의 한국영화들⑤] 10개의 키워드로 되돌아본 2010년대 한국 영화산업
10년이면 강산이 한번 바뀐다고 하지만, 하루가 멀다 하고 급변하는 한국 영화산업은 강산이 적어도 세번 이상 바뀐 듯하다. <씨네21>은 지난 10년 동안 충무로에서 벌어진 크고 작은 사건과 변화들을 되돌아보았다.
1. 필름에서 디지털로
2010년이 되기 전에 심상치 않은 변화가 벌어지고 있었다. 듣도 보도 못한 디지털카메라 한대가 <
글: 김성훈 │
2020-03-12
-
[스페셜1]
[2010년대 최고의 한국영화들④] 감독으로 읽는 2010년대 한국영화의 흐름
2018년 <카이에 뒤 시네마>의 평론가 뱅상 말로사와 인터뷰를 진행하며 작은 충격을 받은 적이 있다. 2010년 이후 데뷔한 한국 영화감독 중 자신이 아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그는 “2000년부터 화산이 분출하듯이 한국에서 새로운 작가들이 많이 나왔다. 그런데 2007년 이후 갑자기 활동을 정지했다”고 평했다. 물론 이건 해외 한 평
글: 송경원 │
2020-03-12
-
[스페셜1]
[2010년대 최고의 한국영화들③] 기자들이 놓치기 싫었던 영화 5선
2010년대 영화들을 되짚어보는 건 <씨네21> 기자들에게도 즐거운 시간이었다. 동시에 이중 10편을 골라야 한다는 것 때문에 괴로움에 시달린 시간이기도 했다. 10편의 영화는 시대를 읽은 지표와 작품성을 고루 반영한 결과지만 그 어떤 잣대를 들이밀어도 주류가 되기 힘든, 사각지대의 영화들도 있다. 하지만 그렇게 주목받기 힘든 영화들이야말로 영
글: 씨네21 취재팀 │
2020-03-12
-
[스페셜1]
[2010년대 최고의 한국영화들②] 11위 이후의 영화들 <파수꾼> <철의 꿈> <김군>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2>…
때론 무엇을 선택했느냐보다 무엇이 선택받지 못했느냐가 진실을 더욱 명확하게 전달할 때가 있다. 2010년대 한국영화를 정리하면서 10편의 영화로 압축한다는 것은 애초에 무모한 짓이다. 이야기할 영화는 너무 많고, 영화는 본래 성적순 줄 세우기가 될 수 없다. 그럼에도 굳이 이 작업이 필요했던 것은 재발견을 위해서다. 어떤 영화들은 온전히 감상하기 위해서
글: 송경원 │
2020-03-12
-
[해외뉴스]
<기생충>, 아카데미 작품상·감독상·각본상 등 6개 부문 후보 올라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이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편집상, 미술상, 국제장편영화상(외국어영화상) 등 총 6개 부분 후보에 올랐다.
미국 영화예술과학 아카데미는 1월 13일(현지시각) 아카데미상 최종 후보작을 발표했다. 영화 <기생충>은 아카데미 최고의 영예인 작품상 후보로 <포드 V 페라리
글: 심규한 │
2020-01-14
-
[스페셜1]
[2010년대 최고의 한국영화들①] <씨네21> 편집부가 선정한 2010년대 한국영화 베스트10
<씨네21>은 2020년을 맞아 오늘 한국영화의 위치를 확인하고 다시금 정확한 좌표 설정을 시도하고자 한다. 2010년대 우리를 뒤흔든 10편의 영화를 선정함에 있어 몇 가지 기준이 있었다. 내적, 그리고 미학적 완성도도 중요하지만 2010년대 한국영화사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를 첫 번째 기준으로 세웠다. 이를 위해 최소한의 원칙을 한 가지 두
글: 송경원 │
글: 김소미 │
글: 이주현 │
2020-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