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인터뷰] “딱 두 발짝 앞서가보자”, 변승민 클라이맥스스튜디오 대표
수백억원대 텐트폴 영화일수록 작은 시도가 큰 차이로 다가온다. 그래서 어떤 영화는 그 한끗 차이를 만들어내려는 제작진의 뚝심과 설득의 과정을 궁금하게 만든다. 편집의 리듬, 캐릭터의 감수성, 장면화 방식 등에 있어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창작의 역량을 지지한 제작자 변승민 클라이맥스스튜디오 대표의 안목 역시 돌아보게 한다. 클라이맥스스튜디오는 2
글: 김소미 │
사진: 최성열 │
2023-08-11
-
[스페셜2]
[기획] 클리셰는 피하고, 재난의 현실성은 높였다, ‘콘크리트 유토피아’ 제작기
말 그대로 일심동체다. <콘크리트 유토피아>의 주요 제작진은 엄태화 감독이 요청한 영화 고유의 설정과 흐름을 지키기 위해 하나의 마음으로 움직였다. 각자의 방법론은 다를지라도 지향점은 같았던 셈이다. 이로써 대재난을 마주한 디스토피아 세계의 사실적 외견과 <콘크리트 유토피아>만의 특이한 장르적 컨셉이 안정적으로 공생할 수 있었다. &l
글: 이우빈 │
2023-08-11
-
[스페셜2]
[인터뷰] “인간 군상 풍자극”에서 “아포칼립스 스릴러”까지, ‘콘크리트 유토피아’ 엄태화 감독
엄태화 감독은 동전의 경계 위에 선 창작자다. 그는 인간, 공간 나아가 사물의 양면을 탁월하게 포착한다. <잉투기>에선 디지털 공간이 젊은이들의 도피처인 동시에 그들이 타락해가는 곳이었고, <가려진 시간>에선 시간이 멈춘 공간의 이중성을 그렸다. 세 번째 장편이자 가장 큰 예산이 투입된 <콘크리트 유토피아>에서도 모순 속에서
글: 송경원 │
2023-08-11
-
[스페셜2]
[기획] 회색빛의 낙원, ‘콘크리트 유토피아’가 던지는 재난 속 생존 투쟁의 질문들
한국의 아파트는 (일상을) 사는 곳이 아니라 (재태크를 위해) 사는 곳이다. 거주지로서의 가치보다 미래 자산의 가치를 우선하는 아파트 문화는 어느 순간부터 계급의 척도, 불평등의 증거로서 한국 사회의 어두운 면을 대변한다. 아파트 한채를 마련하면 ‘행복한 나의 집’이 시작될 것 같은 희망을 품고 발버둥치지만 현실은 콘크리트처럼 차갑고 거칠다. <콘크
글: 송경원 │
2023-08-11
-
[스페셜2]
[기획] 유토피아의 베테랑들, ‘콘크리트 유토피아’
대재난 이후 유일하게 살아남은 한 아파트에서 벌어지는 군상극을 야심찬 프로덕션으로 구현한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올여름 빅4로 묶인 대작 중 ‘엔터테이닝’의 강박으로부터 어쩌면 가장 독립적이고 개성 있는 한방을 보여주는 영화다. 회화적 미감이 묻어나는 장면들, 대한민국 아파트 공화국의 평범한 생존자들을 바라보는 정념과 풍자의 시선은 이 재난
글: 씨네21 취재팀 │
2023-08-11
-
[스페셜2]
[인터뷰] 수평적 존재가 수직적 존재로 거듭나기 위해, ‘다섯 번째 흉추’ 박세영 감독
- 영화는 크게 몇장의 챕터로 구성돼 있다. 그리고 챕터를 나누는 인터 타이틀이 곰팡이의 출생 전후 디데이(D-day)다. 디데이로 챕터를 구획한 이유가 무엇인가.
= 이 작품은 인간이 주인공인 보통의 성장 영화 문법을 따르면 안될 것 같았다. 영화가 곰팡이의 성장 영화라서 곰팡이의 출생 이전과 사망 직전까지를 다루기 때문이다. 이때 곰팡이는 인간처럼
글: 정재현 │
사진: 백종헌 │
2023-08-10
-
[스페셜2]
[기획] ‘다섯 번째 흉추’, 그로테스크한 사랑의 아름다움
<다섯 번째 흉추>를 연출한 박세영 감독의 작품 세계는 ‘물건의 로드무비’로 요약할 수 있다. 한 남자의 중고물품 거래기를 그린 <캐쉬백>과 알 수 없는 자들이 알 수 없는 수취인에게 성한 물건을 배달해야 하는 <갓스피드>까지, 박세영 감독은 줄곧 한 사람에게서 다른 사람으로 물건이 전해지는 이야기를 영화로 만들어왔다. &
글: 정재현 │
2023-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