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비평]
'인비저블맨'의 공포의 근원을 숙고하다
감독을 겸업하는 배우들은 대개 스타 출신으로 기억된다. 클린트 이스트우드, 로버트 레드퍼드, 케빈 코스트너, 멜 깁슨은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을 연출해 감독상까지 거머쥔 인물들이다. 21세기 들어 일어난 현상은 다르다. 지금은 감독으로 성공하기 위해 꼭 배우의 이름을 걸 필요가 없는 시대다. 2016년, 17년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 <스포트라이트&
글: 이용철 │
2020-04-16
-
[영화비평]
영화를 향한 사랑과 응원의 데뷔작 '찬실이는 복도 많지'
김초희 감독의 장편영화 데뷔작 <찬실이는 복도 많지>는 존경하는 영화감독과 함께 좋아하는 영화를 만드는 데 모든 것을 바쳤던 찬실(강말금)이 감독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마주하게 된 현실을 암담하고 비극적으로 보여주기보다는 솔직하고 코믹하게 다룬 영화다.
<찬실이는 복도 많지>는 “영화는 숫자가 아니야! 영화는 별 하나, 별 둘도
글: 홍은애 │
2020-04-16
-
[music]
[Music] 소리를 탐구하다 - 윱 베빙
지난 3월 ‘도이체 그라모폰’이 주최한 온라인 스트리밍 콘서트에서 그는 단연 튀는 존재였다. 세계 최고 클래식 레이블의 연주자들이 ‘피아노의 날’을 맞이해 하는 행사라는데, 그랜드피아노가 아닌 가정용 업라이트피아노로, 베토벤이나 브람스의 곡이 아닌 자작곡을 연주하다니. 스타 피아니스트들의 라이브를 공짜로 듣고 그들의 집 구경도 하는, 코로나 시대에 맞이한
글: 최다은 │
2020-04-16
-
[액터/액트리스]
[액터] '킹덤' 시즌2 허준호 - 단련된 카리스마
최근의 허준호에 관한 검증된 사용법 중 하나는 그를 ‘비장의 무기’로 등장시키는 것이다. 2016년에 영화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 드라마 <뷰티풀 마인드>로 6년여의 공백을 깨고 나타난 허준호의 새로운 전성기는 그렇게 시작됐다. 주인공에게 실질적인 힘을 실어주거나 정신적 지주로 기능하는 조력자의 예(영화 <천문: 하늘에
글: 김소미 │
사진: 최성열 │
2020-04-16
-
[디스토피아로부터]
코로나19 시대의 선거 유감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선거공보물이 도착했다. 두툼한 분량이지만 다 읽는 데 긴 시간이 필요치 않았다. 후보자명과 정당명을 유권자에게 빠르고 확실하게 주지시키겠다는 실용적 목적으로 제작된 이 선거공보들을 읽는 심사는 답답하다. ‘미래, 기회, 경제, 통합, 위기, 국민, 개혁, 혁명’ 등의 단어를 사용하지 않은 정당이 없고, 모든 문장에 느낌표가 남발된다
글: 오혜진 │
일러스트레이션: 다나 │
2020-04-15
-
[해외통신원]
[로마] 이탈리아 영화인들, 생존과 자가격리 주제로 다양한 작업 준비 중
코로나19 때문에 이탈리아가 몸서리치고 있다. 3월 5일 이탈리아 전국에 휴교령이 내려졌고 4일 뒤부터는 전국에 적색경보가 내려지면서 영화관을 비롯한 모든 상업 활동과 야외 활동이 중단됐다. 이탈리아 박스오피스가 중단되는 초유의 사태가 빚어진 이유다. 외출 통제령과 동시에 로마 시내 거리는 말 그대로 텅 비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이 길을 경호원도 없이
글: 김은정 │
2020-04-14
-
[TView]
<부부의 세계>, 거짓과 헌신으로 유지되는 세계
가정의학과 전문의로 지역사회에서 명망을 쌓고, 사랑하는 남편과 아들이 곁에 있는 삶. 완벽하다고 여겼던 세계가 완벽한 기만이었음을 알게 된 지선우(김희애)는 외도한 남편 이태오(박해준)의 가슴에 의료용 가위를 꽂는다. 선우의 상상 속에서다. JTBC 드라마 <부부의 세계>를 보며 선우가 느끼는 환멸에 공감하는 한편, 완벽함의 기준에 의문이 생겼
글: 유선주 │
2020-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