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스페셜] ⑤ '학생 5' 복합적이고 복합적인 - 안선영
-첫인상이 서늘하다는 말, 많이 들을 것 같다.
=엄청 많이 듣는다. 무표정하게 있으면 차가운 인상이라더라. 그런 말을 들을 때마다 억울하다. 따뜻한 사람인데! (웃음)
-그런 느낌이다. 학창 시절 여자 후배들에게 인기 많았을 것 같은 도도한 선배. 영화 <갈래>에서도 친구가 짝사랑하는 대상으로 출연한다.
=실제로는 굉장히 조용하고 눈
글: 장영엽 │
사진: 백종헌 │
2017-06-26
-
[스페셜1]
[스페셜] ④ 단호하고 단단하게 - 박예영
-연기의 시작은.
=건국대학교 영화과(09학번)에 입학하면서. 연기를 하지 않으면 평생 후회할 것 같아서. 무작정 원서를 냈고 운 좋게 합격했다.
-데뷔의 순간은.
=단편 <월동준비>. 이 영화로 제12회 미쟝센단편영화제, 제14회 대구단편영화제 등 영화제라는 곳에 처음 가봤다.
-어릴 땐 어떤 아이였나.
=드라마 보며 연기 따라하
글: 정지혜 │
사진: 백종헌 │
2017-06-26
-
[스페셜1]
[스페셜] ③ 제대로 고민하기 - 박수연
-원래 경희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했다.
=중학생 때도 연기를 하고 싶다는 마음이 있었다. 엄마가 하고 싶은 건 어른이 된 후 하라고 해서 이름 있는 대학에 가야겠다는 마음으로 계속 공부만 했다. 윤리 과목에 자신이 있어서 철학과에 지원했는데 생각한 것과 전혀 다른 걸 배우게 됐다. (웃음)
-그러다 연극영화학을 복수전공했는데.
=4학년 때 연극영화과
글: 임수연 │
사진: 백종헌 │
2017-06-26
-
[스페셜1]
[스페셜] ② 재밌어서 좋아, 연기 - 문혜인
-대학의 연극 동아리에서 연기를 시작했다.
=고교 시절, 속내를 잘 드러내지 않는 내게 대학 가면 연극이나 미술을 해보라고 권유한 문학 선생님의 영향이 컸다.
-해보니 연기가 재밌던가.
=정말! (웃음) 노래할 때 연기하듯 몰입하는 자우림의 김윤아씨 팬으로서 일상생활에선 꺼내 쓰지 않는 감정을 써보고도 싶었다.
-고고미술사학 전공자다.
=어릴
글: 정지혜 │
사진: 백종헌 │
2017-06-26
-
[스페셜1]
[스페셜] ① 욕심이 많아도 괜찮아 - 김시은
-베트남 여행 다녀왔다고.
=여행에 꽂혔다. 앙코르와트를 보고 싶어 캄보디아에 갔다가 베트남 호이안과 다낭을 여행했다.
-단편 <당신도 주성치를 좋아하시나요?>는 홍콩에서 찍었던데.
=주성치와 양조위를 각각 조금씩 닮은 상대역 곽민규의 소개로 출연하게 됐다. 민규, 감독님과 함께 달랑 셋이서 홍콩에 갔다.
-영화 속 대사를 빌리면
글: 김성훈 │
사진: 백종헌 │
2017-06-26
-
[스페셜1]
[스페셜] 앞으로의 활약이 기대되는 여성배우 7인
독립영화계도 여성배우들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가까운 예로는 지난해 개봉한 <연애담>(감독 이현주)의 이상희, 류선영 배우를 들 수 있겠다. 독립영화계에 유례가 없는 팬덤 문화를 만들어 낸 장본인들이다. 단편 작업을 꾸준히 해온 <춘몽> <꿈의 제인>의 이주영 배우 또한 여성배우로 살아간다는 것에 대한 뚜렷한
글: 씨네21 취재팀 │
사진: 백종헌 │
2017-06-26
-
[스페셜1]
[스페셜] 하리리, 모영, 나부락 등 아시아 혹은 홍콩 여성 액션배우들의 세계와 한국의 경우
앞서 따로 언급한 정패패와 혜영홍을 제외하고, 빼놓을 수 없는 배우가 바로 정패패에 이어 쇼 브러더스를 대표하는 라이벌이었던 하리리와 리칭이다. 한국에서 <철낭자>라는 제목으로 개봉한 하리리의 대표작 <봉비비>(1991)에서, 하리리는 성폭행을 당해 억울하게 죽은 언니의 복수를 실행하는 검객이었다. <철수무정>(1969),
글: 주성철 │
2017-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