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
씨네21 추천도서 <성 인권으로 한 걸음>
오래전 학교에는 ‘순결캔디’를 나눠주는 사람이 종종 나타났었다. 대체 학생이 왜 사탕을 먹으며 순결을 맹세해야 하는지 알 수 없었고, 알고 보니 어느 종교의 성교육 행사였다는데, 아무튼 그런 시절이 있었다. 2020년이 된 지금,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성교육은 얼마나 달라졌을까. <성 인권으로 한 걸음>을 읽어보면 아직 갈 길이 먼 것 같다
글: 진영인 │
사진: 백종헌 │
2020-06-16
-
[도서]
씨네21 추천도서 <철도원 삼대>
황석영의 <철도원 삼대>의 시작은 현재 시점, 고공농성 중인 노동자 이진오의 상황에서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그의 할아버지 이백만의 이야기로 시간이 쏜살같이 거슬러 올라간다. 여자 삼대라면 같은 성을 공유하기 거의 불가능한 한국에서, 이백만, 이일철, 이지산으로 이어지는 철도 노동자 삼대와 이백만의 증손 이진오까지, 이씨 집안 남자들이 어떻게 살
글: 이다혜 │
사진: 백종헌 │
2020-06-16
-
[도서]
씨네21 추천도서 - <씨네21>이 추천하는 6월의 책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이미 일어난 일을 어떻게 파악하고 언어화할 것인지에 대한 통찰일 것이다. 단정짓고 구분하는 언어가 아니라 서로 맞잡은 손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혹은 그 손을 언제 놓아버렸는지를 직시하는 언어. <씨네21>이 이달에 소개하는 책은 그러한 사유를 제공하는 책들이다. <철도원 삼대
글: 씨네21 취재팀 │
사진: 백종헌 │
2020-06-16
-
[해외통신원]
[로마] 6월 15일부터 영화관 영업 재개… 할리우드영화와 이탈리아영화도 줄줄이 개봉
영화인들에게 이런 암흑의 시대가 또 있을까? 이탈리아 관객이 마지막으로 영화관을 찾은 것은 지난겨울이었다. 계절이 바뀌고 또 한번의 계절이 바뀔 무렵 어둠의 세월에 한줄기 광명 같은 소식이 희망처럼 다가왔다.
이탈리아 정부는 6월 15일부터 영화관을 순차적으로 연다는 소식을 발표했다. 이에 영화관들은 관객 맞을 준비가 한창이다. 이탈리아 정부가 발표한
글: 김은정 │
2020-06-16
-
[TView]
Mnet 'GOOD GIRL: 누가 방송국을 털었나', 슬릭의 용기가 가진 힘
Mnet이 ‘악마의 편집’을 위해 슬릭을 섭외했을 것 같지는 않다. 오히려 서바이벌 프로그램 <언프리티 랩스타> 때 ‘여적여(여자의 적은 여자)’ 구도를 연출하며 얻은 부정적 이미지를 만회하고 시대의 변화에 발맞춰 여성 시청자들에게 손을 내밀기 위해서였을 것이다. 그래서 <GOOD GIRL: 누가 방송국을 털었나>(이하 <굿 걸
글: 최지은 │
2020-06-16
-
[후아유]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 전미도 - 어쩌면 이제 시작
“내 꿈을 이루며 사는 지금 이 순간이 너무 신기하다.” 배우 전미도는 예상보다 빠르게 찾아온 스포트라이트의 순간을 한껏 즐기고 있었다. 그가 연기한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의 채송화 신경외과 교수는 맡은 수술과 업무를 완벽히 해내 후배들의 귀감이 되는 인물이다. 침착하면서도 따뜻한 면모를 지녀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고, 이익준 교수(조정
글: 조현나 │
사진: 백종헌 │
2020-06-16
-
[씨네21 리뷰]
'바다로 가자' 실향민 1세대인 아버지의 이야기를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
<경계에서 꿈꾸는 집>(2013), <영원한 거주자>(2015) 등 분단과 경계를 주제로 다큐멘터리 작업을 해온 김량 감독이 이번엔 실향민 1세대인 아버지의 이야기를 카메라에 담는다. 아버지의 고향은 함경남도 단천군 여해진의 바닷가 마을. 아버지는 한국전쟁 이후 가족을 고향에 두고 홀로 남으로 내려와 결혼을 하고 가정을 꾸렸다. 전쟁
글: 이주현 │
2020-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