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집장이독자에게]
[이주현 편집장] 칸의 영화들, 수입 됐나요?
칸영화제가 5월27일 폐막했다. 여전히 마음은 칸에서 배회 중인 듯한 송경원, 김소미 기자는 시차 적응에 실패했다며 다크서클을 주렁주렁 달고 출근했다. 영화 보랴 기사 쓰랴 사람들 만나랴 정신없이 바쁜 와중에도 두 사람은 칸영화제 공식 굿즈 중 하나인 에코백 선물을 잊지 않았다. 칸영화제 출장자의 에코백 선물은 어느덧 <씨네21>의 전통 아닌
글: 이주현 │
2023-06-02
-
[편집장이독자에게]
[이주현 편집장] NO ROOM FOR RACISM
지금 세계 축구계는 레알 마드리드 소속 선수 비니시우스 주니오르를 향한 인종차별 문제로 떠들썩하다. 지난 5월22일 스페인 프리메라리가 발렌시아와 레알 마드리드의 경기 도중 발렌시아의 홈 팬들이 레알 마드리드의 공격수 비니시우스를 향해 인종차별적 발언을 퍼부었다. 비니시우스는 관중과 설전을 벌였고 경기 막판엔 상대 선수들과 몸싸움을 하다 퇴장까지 당했다.
글: 이주현 │
2023-05-26
-
[편집장이독자에게]
[이주현 편집장] 영화제의 빛과 그림자
세계 영화인들의 대축제, 제76회 칸영화제가 5월16일 개막했다. ‘과거의 오늘’을 상기시켜주는 SNS는 지난해 이맘때 내가 칸에 있었음을 친절하게 알려준다. 칸영화제 역사상 처음으로 시도된 온라인 티켓 예매 시스템에 적응하느라 애먹었던 기억도, <헤어질 결심> <슬픔의 삼각형> <클로즈>를 보고 나온 뒤 벅차고 설레고 행
글: 이주현 │
2023-05-19
-
[편집장이독자에게]
[이주현 편집장] 감사 일기
어린이날, 어버이날, 스승의 날, 부처님오신날 등이 모여 있는 5월은 지출이 늘어나는 달이지만 감사의 말을 전하기 좋은 달이다. 어버이날, 어머니에게 전화를 드렸다. 어머니는 본인의 딸로 태어나줘서 고맙다는 말을 해주었고 나 역시 나의 어머니여서 감사하다는 말을 전했다. 나의 사회적 자아는 <브로커>의 “태어나줘서 고마워”처럼 진지한 대사에 저
글: 이주현 │
2023-05-12
-
[편집장이독자에게]
[이주현 편집장] 전주를 기억하게 하는 사람들
10년 전, 수행이 필요했던 저연차 기자 시절. 백흥암에서 수행 중인 비구니들의 삶을 기록한 다큐멘터리 <길 위에서>를 감명 깊게 보고 이창재 감독을 인터뷰했다. 이후로도 감독의 차기작에 늘 관심은 기울이고 있었지만 대면할 기회는 좀처럼 없었다. 그러다 올해 전주국제영화제(이하 전주영화제)에서 10년 만에 그를 다시 만났다. 다큐멘터리 <
글: 이주현 │
2023-05-05
-
[편집장이독자에게]
[이주현 편집장] <씨네21>과 비평의 자리
한권의 잡지를 만드는 데에는 생각보다 방대한 인력과 노동량과 자본이 투입된다. 매주 한숨과 스트레스의 파티를 벌이고 나면 이 일이 지속 가능한 일인지 수지타산이 맞는 일인지 자문하게 될 때도 있지만 그럼에도 우리는 매주 잡지를 만든다. 끊임없이 자신을 연마하며, 이 일이 지속 가능해질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며.
주먹을 불끈 쥐고 서두를 쓴 이유는 14
글: 이주현 │
2023-04-28
-
[편집장이독자에게]
[이주현 편집장] 게임과 영화의 만남, 슈퍼스타와 <씨네21>의 만남
까마득한 과거가 되었을 뿐 사장된 기억을 꺼내 보니 나도 한때는 수면과 식사를 거르고 게임에 몰두하던 때가 있었다. 모니터를 뚫고 들어갈 듯 <스타크래프트>와 세이클럽 맞고에 빠져 지낸 게 내 게임 역사의 마지막 페이지를 장식하고 있다. 계속해서 누적된 패배와 사이버 세상에서 모은 고액의 고스톱 머니를 탕진한 슬픔 때문에 다시는 게임에 손을 대
글: 이주현 │
2023-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