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통신원]
[뉴욕] 호러영화 풍년 맞은 미국, 신작 <바바리안> 특히 주목
올해 미국은 호러영화의 풍년이다. 올 상반기에 미 극장가에서는 <스크림>(<스크림 5편>)을 비롯해 스트리밍 플랫폼 훌루에서 공개된 <프레시>, 70년대를 배경으로 한 <엑스>, 마이카 먼로가 주연한 <왓처>, MZ세대를 풍자한 <바디스 바디스 바디스>, 에단 호크의 첫 악역으로 유명해진 &l
글: 양지현 │
2022-09-26
-
[해외통신원]
[베를린] 1988년 제38회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된 한국 단편영화 6편 상영회 열려
지난 8월6일 저녁 베를린 아르제날 극장에서는 특별한 상영회가 열렸다. 1988년 제38회 베를린국제영화제(이하 베를린영화제) 포럼부문에 선보였던 한국 단편영화들을 다시 보며 회고하는 자리였다. 베를린영화제에서 포럼부문은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영화를 소개하는 섹션이다. 당시 베를린영화제 포럼부문에 선보인 한국 단편영화들은 소규모 자본으로 대학생들이 직접 제작
글: 한주연 │
2022-09-05
-
[해외통신원]
[L.A.] 스트리밍과 SNS의 전성시대
2022년 7월 미국 스트리밍 시청률 케이블TV 시청률 처음으로 추월⋯
소셜 미디어 광고 시장 수입도 TV 넘어설 것으로 예상
미국에서 코드 커팅(유료방송 해지 및 OTT 신규 가입)은 현상이 아닌 기정사실화되고 있다. 지난 8월16일 정보분석기업 닐슨미디어가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2022년 7월 미국의 스트리밍 시청률이 케이블TV 시청률을 넘어섰다.
글: 안현진 │
2022-08-29
-
[해외통신원]
[로마] 영화제는 역사의 바람을 타고
제14회 ‘람페두사영화제-북쪽의 바람’
7월24일부터 8월6일까지 열려
마시모 치아바로는 이탈리아 영화배우이다. 80년대 이탈리아영화계의 아이돌로 명성을 날렸던 그는 1987년 니콜 키드먼과 함께 <로마의 호주인>을 찍기도 했으며 그동안 24편의 영화를 촬영했다. 그는 2004년 이탈리아의 람페두사섬으로 향했다. 람페두사는 이탈리아 시칠리아
글: 김은정 │
2022-08-22
-
[해외통신원]
[베이징] 중국 청년영화의 미래
중국 극장가의 여름은 불볕더위도 녹일 수 없는 한파가 계속되는 분위기다. 코로나19로 인한 봉쇄 조치가 풀리고 엔터테인먼트 시설 이용이 정상화되면서 다시 활기를 띨 것이라 기대한 것과 달리 2022년의 여름은 이례적으로 성수기라고 부를 수 없을 만큼 조용하다. 그런 가운데 관객의 발길을 잡아끄는 영화들이 있다. 주이룽 주연의 휴먼 드라마 <인생대사&g
글: 한희주 │
2022-08-15
-
[해외통신원]
[델리] 올여름 인도 극장가의 선택은?
이른 더위로 뜨거웠던 인도 극장가의 선택은 코미디 공포물이었다. 최근 인도에서 가장 준수한 성적을 거둔 외화가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였다면, <불 불라이야2>는 그 자체로 전작의 멀티버스를 보여줬다. 악샤이 쿠마르가 주연한 전작 <불 불라이야>는 말라얄람어영화 <화려한 자물쇠>의 리메이크로, 원한을
글: 정인채 │
2022-08-08
-
[해외통신원]
[파리] 프랑수아 오종, <페터 폰 칸트>로 파스빈더를 스크린에 부활시키다
분노, 금기, 저항, 동성애…. 일년에 4~5편, 많게는 9편에 이르는 작품들을 무서운 속도로 창작했던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37살에 요절하기까지 파스빈더의 놀라운 창작력과 재능은 그를 뉴 저먼 시네마의 중요한 인물 중 하나로 남게 했다. 그리고 또 한 사람. 신성모독, 동성애, 근친상간 등 금기와 욕망의 문지방을 아슬아슬 오가며 매년 한편꼴로 장편영화
글: 최현정 │
2022-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