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씨네21> 사진으로 보는 윤여정의 영원한 전성기
<바람난 가족>(2003)으로 16년 만에 스크린에 복귀한 윤여정을 <씨네21>도 그해에 만났다. 그날 이후 열여덟해, 50대에 정점을 갱신한 그 시점부터 70대에 접어든 지금까지, 지침도 망설임도 없이 천변만화했던 그녀의 시간들을 모았다.
01_2003년 391호 기획
윤여정 스토리
김기영 감독의 미개봉 유작 <천사여 악
글: 김소미 │
글: 남선우 │
사진: 씨네21 사진팀 │
2021-04-27
-
[스페셜2]
1970년부터 2021년까지 윤여정의 어록, 데뷔작 '화녀'를 찍기 전부터 '미나리'로 아카데미 노미네이트 소감을 남기기까지
데뷔작 <화녀>를 찍기 전부터 <미나리>로 아카데미 노미네이트 소감을 남기기까지, 50여년의 윤여정 배우의 말들을 모았다. 솔직하고 거침없지만, 진정 어른으로서의 미덕을 갖추고 적절한 위트도 잊지 않는다. 그의 말들이 오래 기억되는 건 그런 연유일 것이다.
“저는 결코 미인이 아니죠, 김기영 선생님도 저를 퍼니페이스(funnyfac
글: 조현나 │
사진: 씨네21 사진팀 │
2021-04-27
-
[이경희의 SF를 좋아해]
[이경희의 SF를 좋아해] 세상에서 가장 실감나는 SF 액션 게임
훌륭한 비디오게임을 가져다 적당히 영상으로 각색해 팔아먹어보고자 했던 영화계의 시도는 마치 게임 오버를 반복하는 초보 게이머처럼 비슷비슷한 실수를 반복하며 지금껏 이어져왔다. 저 끔찍한 우베 볼의 영화들은 논외로 친다 하더라도 우리는 무수한 실패 사례를 손쉽게 떠올릴 수 있다.
가장 게으르고 끔찍한 방식은 대전격투 게임을 영상으로 만들어보려는 시도였던
글: 이경희 │
2021-05-06
-
[오지은의 마음이 하는 일]
[오지은의 마음이 하는 일] 마감이 힘들어도
마감이라는 것을 한 지 몇년이 되었을까. 내 인생의 첫돈을 받고 하는 마감은 번역이었다. 20대 초반, 어찌어찌 일본에서 2년을 살고, 중반에 어찌저찌 돌아와서 복학을 하였다. 당연한 말이지만 돈이 필요했다. 할 줄 아는 것이 일본어라서 관련 번역과 통역 일이 들어오면 전부 맡았다. 패션지 번역을 하면서 그놈의 모-드라는 말은 대체 어떻게 번역해야 할지
글: 오지은 │
2021-05-06
-
[정종화의 충무로 클래식]
[정종화의 충무로 클래식] 플래시백의 고전 '장군의 수염'
제작 태창흥업주식회사 / 감독 이성구 / 상영시간 101분 / 제작연도 1968년
1950년대 후반까지의 한국영화가 고전 할리우드영화의 장르와 문법을 소화하는 데 몰두하고 나름의 길을 찾는 데 성공했다면 1960년대 초부터는 서구의 누벨바그를 의식해 기성영화계에 도전하는 신인감독들이 등장했고 그들은 충무로 상업영화 시스템 속에서도 영민하게 모던 시네마
글: 정종화 │
2021-05-03
-
[국내뉴스]
“엄마가 열심히 일해서 받았다.” 윤여정, 한국 배우 최초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수상
아카데미가 한국 배우 최초로 윤여정 배우에게 여우조연상 프로피를 안겼다. 26일 오전 9시, 미국 LA 돌비 극장과 유니온 스테이션에서 열린 93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윤여정 배우가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
배우 브래드 피트의 시상으로 연단에 오른 윤여정 배우는 “이 상을 받았다는 사실을 믿을 수 없네요. 저에게 투표해주신 분들에게 감사합니다.”라며
글: 김현수 │
2021-04-26
-
[디스토피아로부터]
[정소연의 디스토피아로부터] 차별금지법을 제정하자
한 편의점이 ‘페미니스트가 아니한 자’를 찾는 채용 공고를 게시했다. 이 공고는 삭제되었지만, 이와 같은 차별은 끝이 없다. 많은 사람들이 애써 분노하고, 잘못을 지적하고, 민원을 넣고, “물의를 일으켜 송구하다”는 뒤끝 나쁜 결과를 본다. 차별은 잘못이 아니라 ‘논란’으로 남고, 이 일을 잊기도 전에 다음 차별 사건이 또 발생한다. 또 분노하고 잘못을 지
글: 정소연 │
2021-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