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설 연휴, 집에서 무슨 영화 볼까? 강동원·박정민·이제훈·조성희 등 영화인 29명의 홈시네마 추천작
연휴는 짧고 볼 수 있는 작품은 많다. <씨네21>은 독자 여러분의 선택을 돕기 위해 평소 영화, 드라마를 많이 보며, 관람에 있어 각자의 뚜렷한 기준과 취향을 지닌 영화인들에게 최근에 인상적으로 본 추천작 세편을 받았다. 극장용 영화든 OTT 시리즈든 DVD나 블루레이든 플랫폼을 가리지 않고 집에서 볼 수 있는 작품이 선정 기준이다. 영화는
글: 씨네21 취재팀 │
2021-02-10
-
[스페셜1]
집에서 영화를 즐길 때 필요한 홈시어터 장비, 무엇이 있을까?
“초보자인데 프로젝터는 어디 브랜드가 좋나요?” 홈시어터 커뮤니티에 심심찮게 올라오는 문의다. 극장처럼 큰 화면과 풍성한 소리를 즐기고 싶은데 누구에게 물어봐야 할지 모르는 사람들이 그만큼 많다. ‘홈(시어터를)알(지)못(하는 사람)’을 위해 프로젝터, 스크린, 사운드바 등 홈시어터 시스템을 소개한다.
프로젝터
빛이 있어야 상이 맺힌다. 암전일수록 색
글: 김성훈 │
2021-02-10
-
[스페셜1]
홈시어터 열풍 리포트- 집으로 극장을 끌어들이다
집이 곧 복합문화공간이 되는, 아니 되어야만 견딜 수 있는 나날이 반년 넘게 이어지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홈루덴스족(유희하는 인간을 뜻하는 호모루덴스(Homo Ludens)의 첫 단어를 홈(Home)으로 바꾼 신조어로 집에서 놀이를 즐기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표현.-편집자)은 과감하게 혹은 절박하게 소비생활을 이어가는
글: 남선우 │
2021-02-10
-
[스페셜1]
조성희 감독이 밝힌 '승리호'의 레퍼런스들
<승리호>에서 1980~90년대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의 기운을 감지했다면 <승리호>의 모체를 정확히 찾아낸 것이다. 조성희 감독은 처음부터 “어린이들도 좋아할 수 있는 신나는 오락영화, 1980~90년대 할리우드영화처럼 액션이 많은 우주 활극”을 만들고 싶다고 생각했다. 그가 시나리오를 쓰면서 계속 들었던 음악은 영화 <백 투 더
글: 임수연 │
2021-02-06
-
[스페셜1]
'승리호' 탑승에 필요한 6가지 핵심 키워드
1. 한국 최초의 본격 우주 SF
우주는 영화가 가장 사랑하는 무대 중 하나다. 장대한 우주를 바탕으로 하는 모험담은 최초의 SF영화라 해도 무방한 1902년 조르주 멜리에스의 <달세계 여행>을 시작으로 영화사의 첫 페이지를 장식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 영화 중에서는 우주를 무대로 한 작품이 거의 없었는데 비주얼을 구현하기 쉽지 않다는 현실적
글: 송경원 │
2021-02-06
-
[스페셜1]
[스페셜] 한국 최초 우주 블록버스터 '승리호' 스탭들이 말하는 제작 과정과 주요 레퍼런스
<승리호>가 마침내 출항한다. 한국을 대표하는 SF가 되겠다는 포부로 시작된 <승리호>는 2월 5일 넷플릭스 공개를 앞두고 있다. 극장 개봉 의지를 끝까지 피력했음에도 코로나19로 인해 OTT를 통해 선보일 수밖에 없는 점은 아쉽지만 <승리호>는 좋은 콘텐츠란 어떤 형태로 만나도 그 빛을 잃지 않는다는 사실을 새삼 증명한다
글: 씨네21 취재팀 │
2021-02-06
-
[국내뉴스]
문화체육관광부 2021년 업무계획 발표
코로나19로 인한 위기 극복, 예술인 고용보험 제도의 안정적인 정착, OTT 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등.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장관 박양우)의 올해 업무 계획 중에서 영화 및 영상 콘텐츠와 관련된 정책은 위의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을 것 같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위기 극복과 급성장한 OTT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은 팬데믹 시대 갑작스럽
글: 김성훈 │
사진: 씨네21 사진팀 │
2021-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