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외계어도 통역이 되나요? <미키 17> 속 도로시가 현실 세상에 필요한 이유
*<미키 17>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미키 17>에서 가장 많이 반복되는 대사는 아마도 이 말일 것이다. “미키, 죽는 기분은 어때?” 외계 행성에 정착하는 인류를 위해 위험한 실험을 대신하는 ‘익스펜더블’은 한마디로 죽음 노동자다. 반복해 죽음으로써 미키(로버트 패틴슨)는 숭고한 노동의 가치를 실현한다. 사실 미키가 이 자리를
글: 이자연 │
2025-02-26
-
[스페셜2]
영화 <미키 17>은 원작에서 무엇을 가져왔나, 원작 소설 <미키 7>과 영화 <미키 17>의 차이점은
소설가 에드워드 애슈턴의 하드코어 SF소설을 원작으로 한 <미키 17>은 봉준호 감독의 취향과 관점으로 세밀하게 각색되었다. 평소 인터뷰 자리에서 자신을 “작가이자 감독”이라고 일컫는 만큼 그는 원재료가 무엇이든 자기만의 색깔로 새로운 세계관을 축조해낸다. 그렇다면 이번 <미키 17>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까. SF 문학과 영화를 가로지
글: 이자연 │
2025-02-26
-
[스페셜2]
스케일이 커져도 결국은 인간에 대한 이야기, <미키 17> 내한 기자간담회
오랜 기다림 끝에 마침내 공개된 봉준호 감독 신작 <미키 17>의 국내 개봉을 앞두고 2월20일 오전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내한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이번 행사에는 봉준호 감독과 배우 나오미 애키, 스티븐 연, 마크 러펄로, 최두호 프로듀서가 함께했다. 동명의 SF소설을 원작으로 삼은 <미키 17>은 사업 실패로 거액의 채무를 떠안은
글: 최현수 │
사진: 오계옥 │
2025-02-26
-
[스페셜2]
진화의 시대를 횡단하는 죽음의 난장, 봉준호의 영화 세계에서 <미키 17>을 말하기
<미키 17>에서 죽음은 미키(로버트 패틴슨)의 정체성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그는 인류의 진화와 발전이라는 명목하에 자행되는 험한 일을 도맡고, 더러는 누군가를 대신해 죽는 ‘익스펜더블’이다. 업무를 자원한 건 거창한 포부 때문이 아니라 단지 가혹한 지구의 삶을 빨리 청산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설명서를 제대로 읽지 않은 건 그의 큰 실
글: 김소희 │
2025-02-26
-
[스페셜2]
지금 여기, 우리가 사는 세계를 말하기 위한 상상력, <미키 17>을 향한 상찬과 비판의 그럴 만한 이유들
“어떤 방향성을 취하고 싶었는지 명확하지 않다. 개봉이 계속 연기된 이유일 수도 있다.” 봉준호 감독의 신작 <미키 17>이 75회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첫 공개되자 다채로운 반응이 쏟아졌다. 자본주의와 계급을 향한 날카로운 비판, 봉준호 감독 특유의 풍자와 유머에 대한 호평이 다수였지만 <BBC>나 <할리우드 리포터>처럼
글: 송경원 │
2025-02-26
-
[스페셜2]
[특집] “미키, 죽는 건 어떤 기분이야?” 봉준호 감독 단독 일대일 심층 인터뷰, 원작 소설과의 차이, <미키 17>의 A TO Z
봉준호 감독의 여덟 번째 장편영화 <미키 17>이 드디어 공개됐다. 멀지 않은 미래를 상상한 SF와 봉준호 세계관 최초의 로맨스, 특유의 블랙코미디까지 그의 친숙한 장기와 새로운 시도가 조화롭게 뒤섞이며 별세계를 펼쳐낸다. 마카롱 가게를 쫄딱 말아먹은 미키(로버트 패틴슨)는 자신을 끝까지 추격할 거라는 빚쟁이를 피해 외계 행성 니플하임으로 도망
글: 씨네21 취재팀 │
2025-02-26
-
[스페셜2]
[인터뷰] ‘그 벌판에서 우리가 되찾는 것은’, <미키 17> 봉준호 감독 베를린국제영화제 인터뷰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자가 차기작으로 자체 경신 제작비 최대의 SF영화를 선보이는 전례 드문 이벤트를 워너브러더스가 허투루 넘길 리 만무하다. 수완 좋은 스튜디오 일원들은 미키만이 아니라 ‘디렉터 봉’까지 상공으로 띄워 올려 고공 행진에 나선 참이었다. 봉준호 감독은 런던 월드프리미어를 마치고 곧장 날아와 오전 9시 베를린 한가운데 자리한 호텔에 모습을
글: 김소미 │
2025-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