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매트릭스> 3부작 메가토크 [5] - 진중권이 말한다
철학하는 블록버스터의 철학하기
“어떤 인간이 사악한 과학자에게 수술을 받았다. 그 사람의 두뇌가 육체에서 분리되어 두뇌를 계속 살아 움직이게 해줄 영양분이 가득 담긴 통 속에 옮겨졌다. 신경조직은 그대로 초과학적 컴퓨터에 연결되어 (…) 모든 것이 완벽히 정상적인 듯이 보이는 환각을 일으키도록 한다고 하자. 사람들, 사물들, 하늘 등등이 모두 있어
글: 진중권 │
2003-11-14
-
[스페셜1]
영화아카데미 20년 [1]
한국영화 르네상스, 여기서 싹텄다
한국영화아카데미가 20년을 맞았다. 1984년 남산 영화진흥공사 건물(현 영화감독협회)의 구석진 방에서 출발한 영화아카데미는 이제 누구도 무시할 수 없는 지위를 획득하고 있다. 올해까지 배출한 296명의 영화인 중 대다수가 충무로 현장을 바쁘게 누비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햇수로 20년 영화아카데미의 역사는 곧 한
글: 이영진 │
글: 문석 │
2003-11-07
-
[스페셜1]
영화아카데미 20년 [2]
학생들을 깨우친 영화의 '어른' 들
“촬영을 나가서 무심코 카메라를 땅바닥에 놓았는데, 유영길 촬영감독님이 막 화를 내는 거예요. 영화 하는 놈이 이것밖에 못하냐고. 영화를 한다는 것에 대한, 아카데미를 다닌다는 것에 대한 자부심을 심어주시려 했던 것 같아요.”(박기용 감독·3기)
교수진이 취약하다는 점은 현재까지도 영화아카데미의 가장 큰 문제
글: 이영진 │
글: 문석 │
2003-11-07
-
[스페셜1]
영화아카데미 20년 [3] - 졸업생들이 회고하는 영화아카데미 ①
영화아카데미의 졸업생들은 아카데미를 다니던 1년 또는 2년을 ‘내 인생에서 가장 기억나는 시간’으로 기억한다. 영화아카데미 출신 5명의 영화인이 회고하는 ‘나는 왜 영화아카데미에 갔는가’, 또는 ‘아카데미에서 나는 무엇을 배웠나’, 혹은 ‘아카데미는 현장 생활에 어떤 도움을 줬나’.
미운정 고운정 다 들었다
조근식 | 13기·<품행제로>
글: 이영진 │
글: 문석 │
2003-11-07
-
[스페셜1]
영화아카데미 20년 [4] - 졸업생들이 회고하는 영화아카데미 ②
아카데미 5수생의 합격비법
박경목 | 16기·단편 <그녀>, 중편 <후회해도 소용없어> 연출
나는 영화아카데미를 다섯번 만에 들어왔다. 그것은 아카데미 20년 역사에 전무후무한 일일 것이다. 대부분 세번 정도의 시도에 들어오거나 아니면 그 정도에서 그만둬버리기 때문일 거다. 이런 면에서 나는 바보이면서 일면 쓸데없이 집요한 놈
글: 이영진 │
글: 문석 │
2003-11-07
-
[스페셜1]
영화아카데미 20년 [5] - 영화광 정성일이 `질투심으로` 날리는 충고
(매우 비통한 이야기지만) 나는 영화아카데미를 다니지 못했다. 영화아카데미는 내가 대학을 졸업하던 해에 개교했지만, 나는 그때 소년 가장이었다. 나는 취직을 했고, 정말 한없이 부러운 심정으로 내 친구들을 그저 물끄러미 쳐다보았다. (지금도 그러하지만) 난 그때 진정한 영화광이란 결국 영화를 만드는 마지막 계단에 올라야 한다는 트뤼포의 말을 신봉하고
글: 정성일 │
2003-11-07
-
[스페셜1]
순간 포착! <영어완전정복> 포토코멘터리 [1]
순간 포착! 영어완전정복에 이런 일이?
‘조선의 9급공무원’ 나영주가 난생처음 영어학원을 다니면서 겪게 되는 일을 로맨틱코미디라는 포장지로 감싼 영화 <영어완전정복>. 이 영화의 촬영장에는 촬영감독인 김형구 감독 외에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는 인물이 있었으니 그건 이강산 조명감독의 폴라로이드 카메라였다. 그는 촬영 틈틈이 조리개를 열어 현장의
글: 권은주 │
2003-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