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Skip to contents]
http://image.cine21.com/resize/IMGDB/still/2003/1107/medium[X230,135]." alt="" class="thumb"/> [스페셜1] 관객 천만 시대 어떻게 볼 것인가 [2] 관객 수 1천만 시대를 맞이한 영화인들의 표정은 어떨까. 김미희(좋은영화 대표), 김혜준(영화진흥위원회 사무국장), 이승재(LJ필름 대표), 최용배(청어람 대표)씨 등이 함께 자리한 2월18일(수) 좌담회는 <실미도>와 <태극기 휘날리며>에 관한 축하의 말로 시작했지만 한국영화의 병폐와 숙제에 대해서는 거침없는 토로가 터져나왔다. 쉬지 글: 이영진 │ 2004-02-27
  • [스페셜1] 관객 천만 시대 어떻게 볼 것인가 [1] 한국영화 사전에 불가능이란 없는 것인가. 마침내 실미도의 원혼들이 1천만명의 관객을 극장으로 불러들였다. <실미도>가 2월19일 전국에서 1003만3천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꿈의 기록’으로 여겨지던 1천만 고지를 넘어선 것이다. 투자배급사인 (주)플레너스 시네마서비스에 따르면, 2003년 12월24일 전국 300여개 스크린에서 포문을 연 지 58 글: 이영진 │ 2004-02-27
  • [스페셜1] <태극기 휘날리며>의 CG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2] 3. 개미처럼 밀려들던 피난민 빠져나가기 위해 아우성치는 피난민들 사이로 보이는 육중한 증기기관차의 외형은, 무기력한 군중과 대비되어 더욱 강조된다. 이 장면을 촬영하기 위해 기관차 모형을 실제 크기로 제작했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실제의 기관차는 완벽하게 처음부터 끝까지 제작된 것이 아니었다고 한다. 사람들의 움직임이 디 글: 오정연 │ 2004-02-26
  • [스페셜1] <태극기 휘날리며>의 CG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1] “저렇게 많은 사람을 다 불러모았단 말이지?” 오랜만에 극장 나들이에 나선 장년층은 <태극기 휘날리며>의 군중장면을 보고서 ‘경기’를 일으킬 법하다. 실제 이 장면들은 인사이트 비주얼이 컴퓨터그래픽으로 만들어낸 페이크다. CG를 담당한 강종익 감독은 한국전쟁의 스케일을 보여준 중공군의 개입장면에 애착이 가장 많이 가지만 처음에 등장하는 종로거리 글: 오정연 │ 2004-02-26
  • [스페셜1] 홍콩에 대륙의 바람이 분다 [6] 자석 같은 마력을 지닌 젊은 그녀 >> 황진진(Wong Chun-chun) ▲ 성룡이 출연한 진목승 감독의 <뉴 폴리스 스토리>(사진 위). 한동안 연출 일선에 떠나 있던 그는 홍콩에서 큰 인기를 얻은 <쌍웅>(사진 아래)으로 연출에 복귀했다. 홍콩 영화계의 신성이라고 할 수 있는 황진진은 지난해 완성한 글: 이성욱 │ 2004-02-20
  • [스페셜1] 홍콩에 대륙의 바람이 분다 [5] 홍콩의 차세대 작가와 감독들 1990년대 중반 이후 젊고 새로운 영화인들이 지속적으로 등장했지만, 이들은 홍콩 영화계 전체의 방향을 근본적으로 재설정할 수 있을 만큼의 역량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 그 하나의 이유는 아마도 홍콩 영화산업이 그 역사 전체를 통틀어, 그리고 그 황금기였던 80년대에 특히 노동자-서민계층의 감수성과 기층 정서에 강하게 지배되어 글: 이성욱 │ 2004-02-20
  • 섹션명

    연재 종료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