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전주국제영화제]
JEONJU IFF #5호 [인터뷰] '우리와 상관없이' 유형준 감독, 흑백의 미로를 헤매다 보면
보이는 것도, 들리는 것도 온전히 믿을 수 없다. 영화의 1부도, 2부도 마찬가지다. 배우 화령(조현진)은 뇌경색으로 쓰러진 후 자신이 촬영한 영화에 관한 기억을 잃는다. 관계자들이 화령의 병문안을 와 영화에 관한 기억을 복기해 주지만 이들의 진술은 모두 다르다. 영화의 2부에 도달하면 영화의 우주는 몇 갈래로 나뉘어 더욱 관객을 혼란스럽게 만든다. <
글: 정재현 │
사진: 백종헌 │
2023-05-01
-
[2023 전주국제영화제]
JEONJU IFF #4호 [기획] 전주시네마프로젝트 10주년, 향후 10년의 청사진을 그리다
전주국제영화제의 간판 프로그램 전주시네마프로젝트(이하 JCP)가 출범 10주년을 맞았다. JCP는 전주국제영화제가 직접 국내외 독립·예술 장편영화에 제작·투자하여 새로운 작품을 선보이는 프로그램이다. 지난 10년간 33편의 작품이 JCP를 통해 만들어졌다. 국내에선 <산다>의 박정범 감독, 최근 <거미집>의 각본가로도 이름을 올
글: 이우빈 │
사진: 박종덕 │
2023-04-30
-
[2023 전주국제영화제]
JEONJU IFF #4호 [인터뷰] '우.천.사' 한제이 감독, 불확실하기에 깊어지는 사랑의 마음
때는 1999년, 지구 종말론이 곳곳에서 흘러나오던 불안의 시대. 태권도 국가대표전을 준비하는 주영(박수연)과 소년원 학교 출신인 예지(이유미)는 ‘가정 프로젝트'라는 청소년 사회화 프로그램을 통해 같은 집에서 지내게 된다. ‘담쟁이' 넝쿨처럼 서로를 기대어 자라나는 두 소녀는 아무것도 확신할 수 없는 종말의 시대에서 유일하게 다음을 약속하고 사랑을 속삭인
글: 이자연 │
사진: 백종헌 │
2023-04-30
-
[2023 전주국제영화제]
JEONJU IFF #4호 [인터뷰] '킴스비디오' 김용만 대표, ‘킴스비디오’엔 무언가 특별한 게 있다
뉴욕 이스트빌리지 시네필들의 성지, 킴스비디오를 아는가. 이곳은 쿠엔틴 타란티노와 스파이크 리의 단골 비디오 대여점이자 코엔 형제가 600달러의 연체료를 저당 잡힌 대여점이었다. 1986년 개업 이래 10개의 체인 지점이 생길 정도로 성업한 킴스비디오는 비디오 문화의 쇠퇴로 2008년 폐업을 결정한다. 킴스비디오의 단골이었던 두 감독 데이비드 래드먼과 애
글: 정재현 │
사진: 박종덕 │
2023-04-30
-
[2023 전주국제영화제]
JEONJU IFF #3호 [스코프] ‘J 스페셜 클래스’ 백현진과 박해일이 회상하는 <경주> 이야기
제24회 전주국제영화제의 '올해의 프로그래머'로 나선 백현진은 배우·음악가·미술가 등 경계를 넘나드는 예술 활동을 선보여왔다. "예술의 본질만 골몰하다 그 안에 갇히기보다, 인간의 이야기를 하고 싶은 욕망에 집중"할 거라는 그는 ‘J 스페셜: 올해의 프로그래머' 섹션을 통해 자신의 예술 세계와 지향점을 담은 7편의 영화를 선별했다. 큐레이션 리스트에
글: 이자연 │
사진: 백종헌 │
사진: 박종덕 │
2023-04-29
-
[2023 전주국제영화제]
JEONJU IFF #3호 [스코프] 마스터 클래스 '토리와 로키타' 다르덴 형제 감독, 타인이 되기 위한 노력
제24회 전주국제영화제의 포문을 연 개막작 <토리와 로키타>는 아프리카에서 벨기에로 건너온 이민자 아이들의 숭고한 우정을 다룬다. 개막작 선정과 함께 처음으로 한국을 찾은 장 피에르 다르덴, 뤽 다르덴 감독은 4월 28일 <토리와 로키타> 상영 이후 관객과의 만남을 가졌다. 이번 ‘마스터 클래스'는 윤가은 감독이 진행을 맡았고, 질
글: 이자연 │
사진: 백종헌 │
사진: 박종덕 │
2023-04-29
-
[2023 전주국제영화제]
JEONJU IFF #3호 [기획] KAFA 40주년 특별전, 황정민, 김태리, 손석구… 스타들의 초기 단편 만날 기회
제24회 전주국제영화제가 올해 KAFA(한국영화아카데미) 개교 40주년을 맞아 ‘KAFA 40주년 특별전’을 개최한다. 1984년 영화진흥위원회에서 설립한 KAFA는 허진호(9기), 봉준호(11기), 최동훈(15기) 감독 등 국내외에서 활발히 활동 중인 감독들을 양성해낸 영화 전문 교육 기관이다. 총 40편의 단편영화를 상영하는 ‘KAFA 40주년 특별전’
글: 정재현 │
2023-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