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위터 스페이스]
[트위터 스페이스] 배동미·남선우의 TGV, <문재인입니다> 이창재 감독과의 대화
※ 스페이스는 트위터의 실시간 음성 대화 기능입니다. ‘배동미·남선우의 TGV’는 개봉을 앞둔 신작 영화의 창작자들과 함께 작품에 대해 대화를 나누는 코너입니다. 스페이스는 실시간 방송이 끝난 뒤에도 다시 듣기가 가능합니다.
주인공이자 관객, 문재인 전 대통령
개봉 사흘째인 5월12일 낮, 문재인 전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극장을 찾아 다큐멘터리영
글: 배동미 │
2023-05-19
-
[편집장이독자에게]
[이주현 편집장] 영화제의 빛과 그림자
세계 영화인들의 대축제, 제76회 칸영화제가 5월16일 개막했다. ‘과거의 오늘’을 상기시켜주는 SNS는 지난해 이맘때 내가 칸에 있었음을 친절하게 알려준다. 칸영화제 역사상 처음으로 시도된 온라인 티켓 예매 시스템에 적응하느라 애먹었던 기억도, <헤어질 결심> <슬픔의 삼각형> <클로즈>를 보고 나온 뒤 벅차고 설레고 행
글: 이주현 │
2023-05-19
-
[스페셜2]
[기획] ‘슬픔의 삼각형’, 신랄한 무질서의 해학, 뒤집으면 보이는 것들
2022년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 <슬픔의 삼각형>은 문제적 영화다. 루벤 외스틀룬드 감독은 스스로 함정에 빠진 백인 남성의 초상을 통해 시스템의 부조리와 위선을 파헤쳐왔다. 이른바 부조리 3부작의 마지막 작품인 <슬픔의 삼각형>은 “이 우스꽝스러운 시대에 우리가 마땅히 누려야 할 영화”라 평하기에 손색이 없다. 물론 영화제 수상이
글: 송경원 │
2023-05-19
-
[스페셜2]
[기획] 에드워드 호퍼의 작품과 공존하는 영화들
“호퍼는 항상 이야기하기 직전에 있다.” 미국 시인 존 업다이크의 말을 변용하자면 호퍼의 그림은 언제나 내러티브의 단초를 품고 있다. 영화 장면과 비슷한 종횡비, 외로움을 발명하는 탁월한 시선이 더해진 그의 그림에 많은 영화감독들이 열광한 것은 새삼 당연한 일처럼 보인다. 1930~50년대 필름누아르 작가들은 호퍼의 그림 속에서 우울의 그림자를 부풀렸고,
글: 김소미 │
2023-05-19
-
[스페셜2]
[기획] 호퍼의 여인들을 어떤 이름으로 부를 것인가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에는 신원 미상의 여성 인물들이 자주 등장한다. 대중에게 친숙한 이미지로 호퍼의 1927년작 <자동판매기 식당>(Automat) 속 홀로 앉은 여인을 들 수 있다. 유리막 안에 전시된 음식을 동전을 넣어 주문하는 자동판매기 식당은 1920년대 미국 도시 문화의 고유한 풍경이다. 커피잔을 들어올리는 여인은 정작 커피 자체에는
글: 박선 │
2023-05-19
-
[스페셜2]
[기획] 국내 첫 개인전과 함께 다시 마주하는 에드워드 호퍼 작품 속 여성들
4월20일부터 8월20일까지,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에서 한국 첫 에드워드 호퍼 개인전인 <에드워드 호퍼: 길 위에서>가 열린다. 호퍼의 리얼리즘은 일상을 기묘하게 바라보도록 하는 빛과 색채, 현대 도시의 우울증을 포착하는 구도로 감탄을 자아낸다. 그 형식과 깊이 면에서 시대 불변의 힘을 보여주는 동시에 해석에의 역동을 요구하는 작가라는 점에
글: 씨네21 취재팀 │
2023-05-19
-
[스페셜2]
[인터뷰] 도시가 죽음을 애도하는 방식, 폐막작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 김희정 감독
중학교 교사인 도경(전석호)은 현장학습에서 물에 빠진 반 학생을 구하다 갑작스러운 죽음을 맞이한다. 홀로 남게 된 그의 아내 명지(박하선)는 집 안 곳곳에서 도경의 기억을 맞닥뜨리고, 슬픔의 그늘에서 벗어나고자 폴란드 바르샤바로 향한다. 김애란 작가의 동명 단편소설을 원작으로 한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는 사회적 사고 이후 남겨진 유가족의 슬픔
글: 이자연 │
사진: 백종헌 │
2023-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