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인터뷰] 용서할 수 없는 것들에 대한 투쟁, <도주> 아다치 마사오 감독
아다치 마사오란 이름의 무게는 쉽사리 가늠할 수 없다. 눈썹까지 하얗게 센 1939년생 노인, 1960~70년대 일본 영화미학의 최전선을 이끌었던 전위 영화계의 기수, 1974년부터 1997년 국제 지명수배를 통해 체포되기까지 팔레스타인 해방 투쟁에 참여했던 행동가. 이처럼 수많은 수식과 이력이 따라붙는 아다치 마사오 감독이지만 그의 역사는 20세기에서 끝
글: 이우빈 │
2025-07-31
-
[스페셜2]
[인터뷰] 역사의 풍화를 막기 위해, <도주> 고바야시 산시로 총괄프로듀서
<도주>의 총괄프로듀서를 맡은 고바야시 산시로는 2006년에 설립한 영화 제작·배급사 우즈마사(UZUMASA)를 통해 아다치 마사오 감독과 연을 이어오고 있다. 두 사람의 만남은 일본 핑크영화의 대부 와카마쓰 고지 감독을 통해 시작됐다. 고바야시 프로듀서는 1970년대에 다수의 핑크영화에 출연했던 연극계 출신의 배우이기도 하다. 이러한 배경
글: 이우빈 │
사진: 최성열 │
2025-07-31
-
[스페셜2]
[기획] 투쟁으로서의 <도주>
일본 영화계의 가장 기이한 인물. 1939년생의 노장 아다치 마사오 감독이 만든 신작 <도주>(2025)가 7월19일과 20일 인디스페이스에서 관객을 만났다. <도주>는 올해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되며 화제에 오르기도 했던 작품이다. 이번 상영회는 자주영화상영회와 <도주>의 제작·배급사 우즈마사가 공동주최한 ‘제3회 자
글: 이우빈 │
2025-07-31
-
[스페셜2]
[특집] 높은 천고가 주는 자유로움과 호방함 - 전주 전주영화종합촬영소를 가다
서울, 부산과 함께 전주는 언제나 영화 도시를 꼽을 때 빠지지 않는다. 해마다 전주국제영화제가 개최되는 5월이 되면 영화의 거리는 기대에 부푼 관객들로 인산인해다. 영화 도시라는 명성에 맞게 전주는 지방자치단체 중 가장 먼저 영화 스튜디오를 설립했다. 2008년 4월에 개관한 전주영화종합촬영소는 316평 규모의 J1 스튜디오와 240평 규모의 J2 스튜
글: 최현수 │
사진: 백종헌 │
2025-07-25
-
[스페셜2]
[특집] 현장 효율성을 최적화하다 – 안성 디마종합촬영소에 가다
2009년 경기도 안성시에 설립된 디마종합촬영소는 프로듀서들 사이에서 믿고 가는 곳으로 통한다. 600평대의 초대형 스튜디오부터 300평대 중형, 100평짜리 소형 스튜디오까지 다양한 크기의 세트 공간을 갖췄고 활용도가 높은 야외 촬영장, 샤워실이 포함된 VIP룸과 온돌방 등 숙박시설까지 있어 장기 촬영에도 무리가 없다. 무엇보다 비교적 합리적인 대관
글: 이유채 │
사진: 최성열 │
2025-07-25
-
[스페셜2]
[특집] 버추얼 파워로 움직일 미래형 제작소 – 대전 스튜디오큐브 탐방기
대전시 유성구에 위치한 스튜디오큐브는 ‘최초’, ‘최대’라는 수식어가 어울리는 스튜디오다. 국내 최초로 중대형 스튜디오들을 집적한 시설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2017년에 설립한 공공촬영시설이다. 공간 크기는 670평부터 1138평까지 다양하며, 실내 수상 촬영이 가능한 수조 스튜디오도 갖추고 있다. 최근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버추얼 스튜
글: 이유채 │
사진: 최성열 │
2025-07-25
-
[스페셜2]
[특집] 진정한 의미의 ‘스튜디오’가 필요하다
“한국의 스튜디오들이 제대로 돌아가질 않는다.” 복수의 영화계 관계자에 따르면 국내 영화산업에 흉흉한 소문이 돌고 있다. 당연한 결과일 수도 있다. 올해와 내년 기준 주요 투자배급사의 영화 제작 편수가 10여편대로 긴축됐고, 극장업계가 존폐의 위기에 빠져 있는 등 영화업계의 불황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찍는 영화가 없다는 것은 스튜디오의 가동률이 낮다는
글: 이우빈 │
2025-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