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씨네스코프]
사실적 카메라로 중계하는 9·11의 비극, <플라이트 93>
2001년 9월11일에 어떤 식으로든 카메라를 들이대는 것은 정치적이고 윤리적이며, 미학적인 논쟁의 한가운데로 뛰어드는 일이었다. 게다가 할리우드가 9·11을 다루기 위해 버려야 할 것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 맹목적인 영웅주의와 성급한 흑백논리, 무책임한 호기심…. 할리우드 재난영화의 단골메뉴를 배제하고 진실만을 담아낸다는, 이른바 ‘미션 임파서블’에
글: 오정연 │
2006-07-24
-
[씨네스코프]
구하라, 마법이 사라져가는 세상을! <게드전기>
<게드전기>의 시작은 25년 전인 198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미야자키 하야오는 장편 데뷔작으로 어슐러 르 귄의 판타지 소설 <어스시의 마법사>를 염두에 두고 있었다. 하지만 르 귄은 강경한 태도로 거절을 거듭했고, 미야자키는 이후 자신이 만든 모든 작품들에 <어스시의 마법사>를 연상시키는 자그마한 각주들을 심어놓는
글: 김도훈 │
2006-07-17
-
[씨네스코프]
<전설의 고향-쌍둥이 자매 비사> 촬영현장
서늘한 공기가 팔뚝에 오스스 소름을 돋운다. 후텁지근한 초여름 날씨가 감쪽같이 자취를 감춘 이곳은 파주 헤이리에 자리한 아트서비스 스튜디오. <전설의 고향-쌍둥이 자매 비사>(이하 <전설의 고향>)의 촬영이 한창 진행 중이다. 세트를 내려다보고 있는 조명만이 유일한 불빛인 가운데, 어둠에 일제히 얼굴을 묻은 스탭들은 얼어붙은 듯 말이
사진: 손홍주 │
글: 최하나 │
2006-07-17
-
[씨네스코프]
사람 삼키는 괴물 집과 아이들의 대결, <몬스터 하우스>
귀신들린 집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사춘기에 접어든 소년 디제이는 길 건너에 있는 앞집이 영 꺼림칙하다. 괴팍한 영감 네버크래커가 살고 있는 그 집 근처만 가면 뭐든지 사라져버리기 때문이다. 부모님이 집을 비운 할로윈 전날, 디제이는 친구들과 놀다가 그 집이 배구공을 삼켜버리는 장면을 목격한다. 그 집은 살아 있는 괴물인 몬스터 하우스였던 것이다. 그
글: 김도훈 │
2006-07-10
-
[씨네스코프]
유괴가 유괴를 부른다, <잔혹한 출근> 촬영현장
유괴범의 아이가 유괴된다는 특이한 설정의 <잔혹한 출근>(게이트픽쳐스 제작) 촬영현장 공개가 6월17일 남양주종합촬영소에서 있었다. 김태윤 감독의 장편 데뷔작인 <잔혹한 출근>에는 김수로가 사채에 쫓겨 유괴를 저질렀다가 자신의 딸이 유괴당했다는 것을 알게 된 샐러리맨 동철로 출연한다. 꼭짓점댄스로 월드컵 응원 인기몰이를 한 탓일까,
사진: 이혜정 │
글: 이다혜 │
2006-07-10
-
[씨네스코프]
우리 애들 건들면 죽는다, <뚝방전설> 촬영현장
“이제 에어컨 좀 켜!” 유난히 더웠던 지난 6월22일 오후. <뚝방전설>의 촬영현장이었던 홍익대 근처 지하 바 ‘비키니 버진’이 후끈 달아올랐다. 시나리오상의 장소 이름은 ‘바 오르가슴’. 끈적끈적한 상호명에 걸맞게 야릇한 포즈를 묘사한 네온사인이 바 한쪽에서 쉴새없이 반짝거린다. 미술 스탭들이 심혈을 기울여 만든 것이라 한다. 40평 남짓
사진: 이혜정 │
글: 장미 │
2006-07-10
-
[씨네스코프]
씨름판에서 댄스를! <천하장사 마돈나> 촬영현장
“이번엔 상추쌈 말고 그냥 소금장에 찍어 먹어.” “젓가락 말고 집게로 집어먹는 걸로 가자.” ‘운동부 회식 금지’라는 플래카드를 붙여놓은 인천의 한 고깃집. 홀에 나란히 방석 깔고 앉아 배우들과 무전기로 타전하는 이해영, 이해준 감독의 지시를 듣고 있다보니, 무슨 요리 프로그램 촬영장에 와 있는 것 같다. “몰라요∼”로 유명한 개그맨 문세윤을 비롯해
글: 이영진 │
사진: 손홍주 │
2006-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