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씨네스코프]
마음만은 넉넉했던 그때로, <아이스케키> 촬영현장
백열전구 불빛이 새어나오는 좁은 방에서 어린 아들과 엄마가 다툼을 벌이고 있다. 아버지 이름이 무엇인지 다그치는 아들과 그게 무슨 필요가 있느냐며 화를 내는 엄마. 큰소리 끝에 아들과 눈싸움을 벌이던 엄마는 얇은 홑이불을 뒤집어쓰고 돌아눕고 만다. 전남 여수시 화정면 백야도에서 밤을 새워 막바지 촬영을 하고 있는 <아이스케키>의 한 장면이다.
사진: 손홍주 │
글: 김현정 │
2006-06-19
-
[씨네스코프]
레이싱 카, 느린 삶의 미덕을 깨닫다, <카> 트레일러
레이싱계의 스타 라이트닝 매퀸(오언 윌슨)은 화려한 스포트라이트와 우승만을 꿈꾸는 패기만만한 경주차다. 매퀸은 숙원과도 같았던 피스톤컵 챔피언십에 참가하려던 중 외딴 도로에서 길을 잃고 생전 처음보는 낡은 촌구석에 들어선다. 매퀸의 성격과는 하나도 맞지 않는 그곳은 불과 20년 전까지만 해도 많은 길손들이 찾고 붐볐던 66번 국도. 고속도로가 생기면서
글: 박혜명 │
2006-06-15
-
[씨네스코프]
구미호들 재주 한번 보실래요? <구미호 가족> 촬영현장
구미호들이 서커스를 한다. 화려한 복장의 첫째(박시연)와 아들(하정우)이 무대 중앙으로 걸어나온다. 마술상자의 장막을 걷으면 고양이처럼 웅크린 막내(고주연)가 묘한 웃음을 짓는다. 전북 군산시 금동 공터에 자리잡은 서커스 천막은 <구미호 가족>의 촬영현장이다. 300개가 넘는 이벤트 라이트와 백열전구, 샹들리에의 양초가 형형색색의 빛을 뿜어낸
사진: 이혜정 │
글: 김수경 │
2006-06-12
-
[씨네스코프]
도박판을 통해 바라보는 세상, <타짜> 촬영현장
“그렇지. 그거.” 100여명의 취재진이 물러가는 동안 조승우와 유해진을 붙잡고 한참 상의하던 최동훈 감독. 결국 만족스러운 미소를 흘린다. 현장에서 제작진들이 ‘시연의 왕자’라고 부를 만큼, 최 감독은 연기 시범에 능하다. 진짜 타짜들이 주로 사용한다는 고난이도 기술 ‘밑장 빼기’도 능숙하게 선보일 정도다. 단, 배우가 똑같이 자신의 연기를 재연하기를
사진: 손홍주 │
글: 이영진 │
2006-06-12
-
[씨네스코프]
플레이! 지옥의 문이 열린다, 3D 호러 게임 영화화한 <사일런트 힐>
1999년 2월. 일본의 게임 제작사 고나미가 3D 어드벤처 게임을 하나 출시했다. 별 기대없이 게임을 구입한 사람들은 플레이스테이션에 디스크를 넣고 플레이 버튼을 눌렀고, 즉시 전세계 수백만 게임광들이 소스라치게 비명을 지르며 잔혹한 모험에 빠져들었다. <레지던트 이블>이라는 제목으로 영화화된 <바이오 하자드>와 쌍벽을 이루는,
글: 김도훈 │
2006-06-05
-
[씨네스코프]
불꺼진 아파트, 그곳에선 무슨 일이? <아파트> 촬영현장
강풀의 만화에서처럼 비가 조금 흩날리던 5월18일 목요일 오후. 부산 동서대학교의 <아파트> 세트에 도착하자마자 어두운 힘이 감지되었다. 아니나 다를까 안병기 감독이 다크 서클을 눈 밑에 부여잡고 세트에 들어선다. “너무 어려워. 이번 영화가 제일 힘든 것 같아.” 예상했던 일이다. 10고가 넘도록 시나리오를 수정하고, 촬영 가능한 아파트를 찾아
사진: 손홍주 │
글: 김도훈 │
2006-06-05
-
[씨네스코프]
소년은 어떻게 도둑이 되었나, <도둑소년> 촬영현장
교복을 입은 소년의 등에 땀이 밴다. 서늘한 복도와 달리 창문을 꼭꼭 닫은 교실 안은 조명이 쨍하게 내리쬐는 한여름이다. 방학 같은 한적한 일요일, 경기도 구리시 동구동 인창중학교 2학년 7반 교실에서는 이스트만 코닥 지원작 <도둑소년>이 촬영 중이다. “병준이 나왔다.” 출연을 기다리는 중학생 민철과 정일은 모니터에 잡힌 병준을 보며 키득거
글: 김수경 │
사진: 이혜정 │
2006-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