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82년생 김지영>의 배우들②] 아버지 역 이얼 - 지금 나이의 얼굴이 좋다
“아마 ‘59년생 김영수’ 정도 되지 않을까요.” 이얼 배우는 김지영의 아버지 영수의 얼굴을 그렇게 그려 보았다. 버스정류장의 치한을 피하려면 ‘네가 몸조심해야 한다’고 하고, 딸은 시집 가면 그만이라고 하고, 아들이 좋아하는 빵은 알아도 딸의 식성은 모르는 아버지. 지영의 아버지이자 가부장제 사회 안에서 나고 자라고 사고하고 행동했던 중년의 남자. 영수
글: 이화정 │
사진: 백종헌 │
2019-11-13
-
[스페셜1]
[<82년생 김지영>의 배우들①] 어머니 역 김미경 - 딸 이라는 이름의 ‘동지’
“금 같은 내 새끼. 옥 같은 내 새끼….” 미숙(김미경)이 지영(정유미)을 부른 순간, 관객의 눈물샘도 터진다. 김미경 배우가 연기한 지영의 엄마 미숙은 영화 <82년생 김지영>의 클라이맥스를 책임지는 인물이다. 자신이 겪었던 억울함은 경험하지 말았으면 하는 마음에 금지옥엽 키운 딸이, 실은 ’허깨비’가 되어가고 있었다는 점을 알게 된 엄마의
글: 장영엽 │
사진: 최성열 │
2019-11-13
-
[스페셜1]
[스페셜] <82년생 김지영>의 배우들을 만나다 - 보통의 얼굴, 누구보다도 특별한 ①~⑥
배우의 발견. 영화 <82년생 김지영>의 가장 큰 매력은 이미 익숙한 배우들의 새로운 면모를 발견하고, 잘 알려지지 않은 배우들의 빛나는 순간을 확인할 수 있다는 데 있다. 이는 배우 출신인 김도영 감독의 캐스팅 원칙과도 맞닿아 있는 선택이었다. “마치 우리 주변에 정말로 있을 법한 사람, 진정성이 느껴지는 배우”를 찾던 김도영 감독은 대학
글: 씨네21 취재팀 │
사진: 씨네21 사진팀 │
2019-11-13
-
[스페셜1]
[한국영화 100년⑤] 한국영화 100년 미래 어젠다 연구에 대한 소회
단관 개봉으로 어렵게 6천여명의 관객과 만난 영화 <박화영>(감독 이환, 2018)은 사회적 약자의 처연한 쟁투를 하이퍼리얼리즘의 시선에서 포착했다는 평가와는 별개로 영화산업 생태계의 급격한 기울기를 증명하는 숱한 사례 중 하나로 잊히는 듯 보였다. 그런데 이 영화에 전혀 예상치 못한 사건이 들이닥쳤다. 극장 상영이 완전히 종료된 이후 느닷없이
글: 박우성 │
2019-11-06
-
[스페셜1]
[한국영화 100년④] 광화문 축제 총연출 맡은 한국영화 100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전시·공연분과 위원장 양윤호 감독, "모두가 재능기부하는 마음으로 참여했다"
-광화문광장에서 한국영화 축제를 연다는 것의 상징적인 의미가 있을 것 같다.
=그렇다. ‘한국영화 100년 기념식’에 들어갈 영화 관계자들의 축전 영상을 보았는데, 마지막 멘트가 똑같다. 모두가 “한국영화를 사랑해주신 관객 여러분 감사합니다”라고 말한다. 한국영화 100주년이 영화인들의 잔치이기도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한국영화를 보는 시민들, 국민들
글: 장영엽 │
사진: 백종헌 │
2019-11-06
-
[스페셜1]
[한국영화 100년③] 10월 26, 27일 열린 ‘한국영화 100년 기념 광화문 축제’ 현장 스케치
“한국영화 100년의 뿌리는 이제, 천년의 숲으로 갑니다.”(이장호 감독, 배우 장미희) 2019년 10월 27일, 최초의 한국영화가 개봉한 날로부터 100주년 되던 날, 서울 광화문광장에서는 <한국영화 100년 기념 음악회>가 열렸다. 한 세기 동안 대중의 사랑을 받았던 한국영화 수록곡을 다양한 뮤지션의 목소리로 들어보고, 한국영화의 ‘시간’
글: 장영엽 │
사진: 백종헌 │
2019-11-06
-
[스페셜1]
[한국영화 100년②] 한국영화 100년 국제학술대회 현장에 가다
10월 23일부터 25일까지 서울 충정로 LW 컨벤션센터에서 한국영화 100년을 기념하는 국제학술대회가 열렸다. ‘글로벌 한국영화 100년–사유하는 필름을 찾아서’는 한국영화를 연구하는 국내외 영화학자들이 모여서 각자 연구 내용을 발표하고 토론을 하는 자리였다. 셋쨋 날 라운드 테이블 토론에서 모더레이터를 맡은 박현선 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H
글: 임수연 │
2019-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