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인터뷰] 사랑과 시간이 개입하지 않는 삶은 없다, <머티리얼리스트> 셀린 송 감독
서사가 계급과 배경을 두고 사랑의 자격을 논하는 일은 현대적인 동시에 복고적이다. 결혼이 필수가 아닌 선택인 시대. 자본주의의 이해관계를 결혼의 성취에도 적용하다 보면 사랑이 모든 걸 이긴다는 낭만은 옛날이야기처럼 취급되곤 한다. 한데 고전도 크게 다르지 않다.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은 계급사회의 통혼 속에서 진정한 사랑을 발견하는 이야기
글: 정재현 │
2025-08-07
-
[스페셜2]
[기획] ‘물질만능주의자’가 아닌 <머티리얼리스트>
<머티리얼리스트>에 마돈나의 <Material Girl>이 등장하지 않아서 놀랐다. 지지난해 <바비>에 아쿠아의 <Barbie Girl>이 등장하지 않은 것과 비교해도 이쪽이 훨씬 신기하다. “우리는 물질만능의 세상에 살고, 나는 속물인 여자일 뿐이야”라는 <Material Girl>의 유명한 후렴구는
글: 정재현 │
2025-08-07
-
[스페셜2]
[기획] 정체성의 삼각형, <머티리얼리스트>로 돌아보는 셀린 송의 세계
장편 데뷔작 <패스트 라이브즈>로 세계적 주목을 받은 셀린 송 감독이 차기작 <머티리얼리스트>로 돌아왔다. 올해 5월엔 셀린 송의 희곡 <엔들링스>가 한국 초연 무대를 가졌다. 2024년과 2025년. 한국 관객은 동시대 가장 주목받는 한국 출신 감독의 작품을 연달아 감상하는 때 아닌 호황을 누리는 중이다. <머티리
글: 정재현 │
2025-08-07
-
[스페셜2]
[기획] 시네필이 사랑할 책방, 영화 전문 서점 겸 출판사 코프키노에 가다
같은 제목의 영화가 된 소설 <북샵>은 한 여자가 책방을 짓고, 지키는 이야기다. 그 끝에 공간과 함께 남은 것은 공간에 관한 말이다. “그 누구도 서점에서는 결코 외롭지 않다.” 작품을 매듭짓는 이 문장은 서울 중화동의 ‘시네필 책방’ 코프키노와 공명한다. 지난 1월 문을 연 이곳은 외롭고 싶지 않은 시네필들을 위한 자리를 표방하기 때문이다.
글: 남선우 │
사진: 최성열 │
2025-08-07
-
[스페셜2]
[특집] 타임슬립부터 게임 퀘스트까지, 공개를 앞둔 웹소설·웹툰 원작 시리즈 7선을 소개합니다
변우석은 몬스터의 위협으로부터 세상을 지키며 레벨 업해나가고, 신민아는 제국의 황후가 돼 아찔한 로맨스를 선보인다. 임윤아와 박지훈이 주방에서 가지각색의 요리를 선보이는 동시에 지성과 이준혁이 온 국민의 염원을 대리 충족할 예정이다. 공개를 앞둔 웹소설·웹툰 원작 시리즈 중 기대해도 좋을 일곱 작품을 엄선해 소개한다.
<나 혼자만 레벨업>
글: 정재현 │
2025-08-01
-
[스페셜2]
[인터뷰] 놀이기구를 탈 때 느낄 법한 공포와 긴장감을, <전지적 독자 시점> 김병우 감독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이 지난 7월23일 드디어 베일을 벗었다. 싱숑 작가가 쓴 원작 웹소설의 팬들부터 그렇지 않은 관객에게까지 오랜 관심을 받아온 대작답게 영화는 개봉 첫날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다. 그리고 그들이 전하는 감상의 초점은 대개 원작과의 비교에 맞춰져 있다. 각색 프로젝트가 맞닥뜨릴 수밖에 없는 숙명이다. 하지만 <더 테러
글: 남선우 │
사진: 최성열 │
2025-08-01
-
[스페셜2]
[특집] ‘백덕수’라는 현상, <데뷔 못 하면 죽는 병 걸림> <괴담에 떨어져도 출근을 해야 하는구나>
올해 4월, 프랜차이즈 카페 ‘이디야커피’ 앞에 펼쳐진 오픈런에는 몇 가지 특이 사항이 있다. 이 풍경을 들여다보기 위한 첫 번째 질문. 프랜차이즈 카페 이벤트에 오픈런이 드문 일일까? 그렇지는 않다. 오리지널 MD 상품을 얻기 위해 많은 사람이 문전성시를 이루는 모습은 시즌별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다만 이번 이디야커피가 내세운 것은 프랜차이즈
글: 이자연 │
2025-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