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씨네21 리뷰]
[리뷰] 화해와 갈등의 무한 평행, 밴드 한번 만들기 참 어렵다! <극장판 뱅드림! 잇츠 마이고!!!!! 후편: 노래하자, 우리가 될 수 있는 노래 & 필름 라이브>
소심한 고교생 토모리(요미야 히나)를 비롯한 5명의 소녀가 밴드를 결성하고자 한다. 가장 큰 걸림돌은 소요(고히나타 미카) 등 멤버 몇명이 이전에 꾸렸던 밴드 ‘CRYCHIC’의 과거다. 새 밴드를 만들 것인지, 이전의 밴드를 지킬 것인지 문제로 이들은 끊임없이 갈등한다. 그렇게 먼 길을 헤매던 이들은 결국 자신들이 있을 곳, 새로운 밴드 ‘MyGO!!
글: 이우빈 │
2025-06-25
-
[씨네21 리뷰]
[리뷰] 여백을 채우는 공통의 기억, <바다호랑이>
“이제 여러분들은 이 세트장에서 한편의 영화를 같이 작업하게 될 겁니다.” 첫 대사부터 극중극을 연상시키는 <바다호랑이>는 연극무대와 같은 공간에서 만들어졌다. 영화는 세월호 참사 현장에서 희생자 시신을 수습한 민간 잠수사 고 김관홍씨의 이야기를 그린 김탁환 작가의 소설 <거짓말이다>를 원작으로 삼았다. 김관홍 잠수사를 모델로 한
글: 남선우 │
2025-06-25
-
[씨네21 리뷰]
[리뷰] 그의 정원은 결코 도피처가 아니었다, <모네의 수련. 물과 빛의 마법>
물과 빛의 마술사이자 서양미술사에서 중요한 화파 중 하나였던 인상주의의 창시자. 프랑스의 화가 클로드 모네는 자신의 말년에 지베르니 생가에 있는 수련 정원을 그리는 데 골몰한다. 모네가 백내장을 앓으며 번뜩이던 시력을 점차 잃어가던 시기에 그는 250여점에 달하는 수련 연작을 제작한다. 캐나다의 논픽션 작가 로스 킹의 저서 <광기의 마법: 클로드
글: 최현수 │
2025-06-25
-
[씨네21 리뷰]
[리뷰] 엇갈린 시간과 각도로 사랑을 배운다는 것. 구조와 관능이 공존한다, <레슨>
영어를 가르치는 경민(정승민)과 피아노를 가르치는 영원(이유하)은 물물교환식 과외를 진행하면서 서로에게 점차 이끌린다. 경민에겐 3년차 연인 선희(전한나)가 있지만 결혼이란 과제 앞에서 관계가 표류 중인 모양새다. 나아가려는 여자와 머뭇거리는 남자, 그 앞에 나타난 낯선 상대는 어떤 식으로든 서로를 향한 ‘레슨’이 되어줄 것이다.
경계 지대에 놓인 관
글: 김소미 │
2025-06-25
-
[씨네21 리뷰]
[리뷰] 인생에 불순물이 좀 섞여줘야 면역력도 커지는 법이지, <후레루.>
햇볕이 직선으로 내리쬐는 작은 시골 마을. 함구증 증세를 보이는 초등학생 오노다 아키는 다른 친구들과 쉬이 섞이지 못한다. 어느 날 같은 반 소부에 료, 이노하라 유타와 장난스레 뒤섞이다가 고슴도치 같기도, 강아지 같기도 한 후레루를 마주한다. 후레루는 예부터 섬마을에 전해내려온 전설의 동물. 후레루만 있으면 사람들이 서로 말을 하지 않아도 속마음을 전
글: 이자연 │
2025-06-25
-
[씨네21 리뷰]
[리뷰] 재개봉 영화 <미치광이 피에로>
1989년, 장뤼크 고다르의 9번째 영화 <미치광이 피에로>가 필름 복원을 거쳐 미국에서 재상영된 순간. 영화평론가 조너선 로젠봄은 <시카고 리더>에 당대 주류영화를 향한 질책을 경유해 고다르를 향한 흠모를 남긴다. “끝없는 장난기, 하지만 그것이 의존하는 과부하의 미학은 대부분의 현대영화들의 단순화된 과잉 살상과는 아무런 관련이
글: 김소미 │
2025-06-18
-
[씨네21 리뷰]
[리뷰] 목가적 풍경과 평온한 얼굴로 대마초라는 금기를 깨다, <풀>
“안녕, 그동안 너의 이름을 선뜻 부르지 못했어. 너에 대해 무지했지.” 대마를 ‘풀’이라 부르며 오래된 친구를 소개하듯 시작하는 다큐멘터리 <풀>은, <재춘언니> 등으로 노동자의 파업 현장을 기록해온 이수정 감독의 신작이다. 의사였던 권용현은 공황장애에 CBD가 효과가 있음을 스스로 경험하고 아픈 이에게 대마초를 건넸다가 징역형을
글: 김송희 │
2025-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