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특집] 다시 돌아온 미쟝센을 환영해! - 미쟝센의 친구들이 전하는 환영 인사
4년의 공백을 깨고 미쟝센단편영화제(이하 미쟝센영화제)가 다시 열린다는 소식에 여러 영화인들이 메시지를 보냈다. 기쁨과 안도감, 애정과 설렘 등 여러 감정이 묘하게 뒤섞인 환영사들이었다. 한 배우는 미쟝센에서 받은 상금을 차마 쓰지 못하고 고이 간직했다가 감독 결혼식 때 축의금으로 돌려주었다고 말했고, 모 감독은 기대와 달랐던 시상 결과에 실망해 시상식
글: 씨네21 취재팀 │
2025-10-17
-
[스페셜2]
[특집] 산업과 연계해 미래 계획하기 - 딥 포커스: What’s Next? 한국영화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제언
21회 미쟝센영화제의 변화 중 하나는 토크 프로그램 ‘딥 포커스’가 새롭게 론칭됐다는 것이다. ‘창작자 토크’와 ‘인더스트리 토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인더스트리 토크 ‘딥 포커스: What’s Next? 한국영화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제언’은 올해 영화제의 슬로건이기도 한 ‘What’s Next?’라는 질문으로 포문을 열며 한국영화계의 흐름을 진단
글: 조현나 │
2025-10-17
-
[스페셜2]
[특집] 영화가 깃드는 공간의 마법 - 딥 포커스: <극장의 시간들> 특별상영 & 창작자 토크
지난 9월 열린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관람해 화제가 된 영화 <극장의 시간들>이 미쟝센영화제에서도 관객을 만난다. 미쟝센이 꾸린 담론의 장인 ‘딥 포커스’ 프로그램의 특별상영작으로 선정되었기 때문이다. 씨네큐브 25주년을 기념해 영화와 영화관의 존재 방식을 탐구한 이 단편 앤솔러지는 세개의 단편이 묶인 94분 남짓의 작품
글: 남선우 │
2025-10-17
-
[스페셜2]
[특집] 미쟝센은 언제나 넥스트 제너레이션을 향해, 우문기 감독이 들려주는 개막 특별 영상 <뉴 제네레이션 미쟝센 키드>제작기
어느 아침 아직 꿈속을 헤매는 딸(우주우)에게 아빠(우문기)가 낭보를 전한다. “미쟝센이 부활했대!” 미쟝센인지 미센쟝인지 알 바 아니고 오늘 유치원을 갈지 말지가 훨씬 중요한 딸은 어느새 등원은 잊고 미쟝센영화제의 지난 역사를 돌아보는 아빠의 인형극에 빠져든다. <족구왕>의 우문기 감독이 제21회 미쟝센영화제의 개막 특별 영상 <뉴 제
글: 정재현 │
사진: 최성열 │
2025-10-17
-
[스페셜2]
[특집] 짧은 영화, 깊은 이야기 - 미쟝센단편영화제개막 특별 영상과 토크 등 오프라인 행사
제21회 미쟝센영화제는 새로운 출발과 함께 의미 있는 토크 행사를 준비했다. 미쟝센영화제가 상영하는 영화들은 짧지만 토크에서 다뤄지는 화두는 이름처럼 깊고 뚜렷하다. 먼저 ‘딥 포커스: <극장의 시간들>&창작자 토크’는 단편영화로 두각을 드러낸 뒤 장편영화를 연출하는 경로를 밟은 이종필, 윤가은, 장건재 감독이 자신들의 경험과 창작자로서의 고
글: 씨네21 취재팀 │
2025-10-17
-
[스페셜2]
[기획] ‘다시 출발점!’ 미쟝센 부루마불 - 미쟝센의 통계, 기록, 그리고 TMI
미쟝센영화제는 지난 20여년간 수많은 감독과 배우들이 직접 영화를 선정하고 시상해왔다. 그 덕분에 새로운 신인감독을 계속해서 배출해낼 수 있었고, 또 관객들이 단편영화에 가까워질 수 있는 장을 마련했다. 미쟝센의 역사를 여러 통계와 기록, 사소한 정보를 중심으로 재구성해봤다.
제1회 미쟝센단편영화제 ‘장르의 상상력展’ 심사위원
‘비정성시’ 이현승,
글: 김현수 │
2025-10-16
-
[스페셜2]
[기획] 미쟝센이 낳은 데뷔작 - 역대 상영 감독의 장편 데뷔작 포스터 모음
1회 원신연, 장건재, 노동석. 2회 김한민. 3회 나홍진, 윤종빈 이경미, 김종관. 4회 변성현, 이수진, 손원평 등. 미쟝센영화제가 19회까지 달려오는 동안 190여명의 감독들이 빛나는 단편에서 장편 데뷔까지의 레이스를 힘차게 내달렸다. 작가의 탄생을 알리는 독립영화부터 만인에 회자된 천만 영화까지, 미쟝센영화제의 상상력에서 걸어나온 감독들의 행보는 크
글: 김소미 │
2025-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