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씨네21 리뷰]
<브이아이피> 남한으로 귀순한 그는 여전히 범죄를 멈추지 않는다
김광일(이종석)은 연쇄살인마다. 젊은 여성만 골라 강간하고, 피해자가 정신적 충격을 받고 괴로워하는 모습을 보고 즐거워하며, 잔혹하게 살해한다. 문제는 그가 북한의 비밀 계좌를 관리하는 고위 관료의 아들이라는 것이다. 외교적 필요에 의해 미국 CIA와 한국 국가정보원(이하 국정원)의 도움을 받아 남한으로 귀순한 그는 여전히 범죄를 멈추지 않는다. 사건을
글: 임수연 │
2017-08-23
-
[내 인생의 영화]
김신형의 <라라랜드> 일요일에 만나요
감독 데이미언 셔젤 / 출연 라이언 고슬링, 에마 스톤 / 제작연도 2016년
모든 것의 시작은 <캐롤>(2015)이었다. 개봉한 평일 이른 시간부터 매진 행렬을 이어가더니 관객으로부터 ‘캐롤마당’이란 별칭까지 얻었고, 몇주가 지나도 그 열기는 쉽게 사그라지지 않았다. 아마도 전국에서 가장 적은 수의 좌석을 가진 극장 중 하나일 이곳(KT&
글: 김신형 │
2017-08-23
-
[김혜리의 영화의 일기]
[김혜리의 영화의 일기] 라스트 우먼 스탠딩
※<레이디 맥베스>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레이디 맥베스>의 윌리엄 올드로이드 감독은 미장센으로 우선 주인공을 감금한다. 캐서린(플로렌스 퓨)은 코르셋과 크리놀린에 한번 갇히고 채도 낮은 가구와 계단, 창틀이 그리는 네모 안에 다시 담긴다. 집 안에는 책 한권, 오락거리 하나 없다. 영화 후반 캐서린의 뒷모습은 실내에 홀로 있는 여
글: 김혜리 │
2017-08-23
-
[스페셜2]
<밤섬해적단 서울불바다>를 함께 만든 사람들
<밤섬해적단 서울불바다>는 전복적이다. 권용만, 장성건이 결성한 펑크 밴드 밤섬해적단의 행보를 따라가는 이 독특한 다큐멘터리는 사진작가 박정근이 국가보안법위반으로 기소를 당한 사건까지 두루 엮어 커다란 질문을 던진다.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을 자유는 없는가. 싫은 걸 싫다고 말할 자유는 없는가. 밤섬해적단은 사회부조리를 거대한 농담으로 맞받아친
글: 송경원 │
사진: 백종헌 │
2017-08-23
-
[스페셜2]
<더 테이블> 임수정 - 시간이 만든 자유로움
2016년 5월 30일 어둠이 깔린 서울 체부동. 한산한 골목에 위치한 카페는 일찌감치 <더 테이블>의 오픈 세트장으로 변신해 있었다. 이날은 비 내리는 장면을 위해 살수차까지 동원됐는데, 마지막 촬영을 앞둔 스탭들은 차분하고 익숙하게 손발을 맞춰나갔다. 초록색 카디건을 단정히 걸친 임수정의 표정에도 여유가 있었다. “어제는 <시간이탈자&
글: 이주현 │
2017-08-23
-
[스페셜2]
<더 테이블> 한예리 - 언제든 흔들림 없이
은희는 거짓말쟁이다. <최악의 하루>(2016)에서 사소한 거짓말을 하다 만나는 남자들을 한자리에 모아버린 그는 <더 테이블>에서는 전문 결혼사기꾼으로 등장한다. “행사는 두번 있는 거예요. 상견례 한번, 식장 한번.” 머리를 야무지게 하나로 묶은 단정한 차림을 하고, 엄마 역할을 해줄 동업자에게 자신의 가짜 역사를 늘어놓으면서도 눈
글: 이예지 │
2017-08-23
-
[스페셜2]
<더 테이블> 정은채 - 순간에 집중하기
같은 공간도 그 공간에 누가 들어서느냐에 따라 분위기와 온기가 달라진다. 지난해 5월 26일 <더 테이블>의 기상도는 정은채가 만들어낸 경진이라는 인물의 마음의 동세를 좇아 시시각각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새초롬하면서도 다부지고, 강한 듯하면서도 여릿한 경진의 얼굴이 카메라앵글에 클로즈업으로 맺혀 있다. 여사여사한 세상사를 눈앞에 두고서도 호락호
글: 정지혜 │
2017-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