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소미의 편애의 말들]
[김소미의 편애의 말들] 자기혐오의 끝
오늘날 할리우드의 성 상품화를 비판하고 광고 속 지나치게 포토숍된 스타들의 얼굴에 동조하지 않는 일은 쉽다. 페미니즘을 응원하는 입장을 취하면서 더 교묘한 이미지 권력을 구축하는 시장 논리가 오히려 이를 돕고 있기도 하다. 획일화된 기준을 의심하는 것이 당대의 주류적 존재 방식으로 자리 잡았고, 동시대 여성들 대다수는 이제 자신이 사회가 요구하는 외모의
글: 김소미 │
2025-02-20
-
[슬픔의 케이팝 파티]
[복길의 슬픔의 케이팝 파티] 어떻게 널 두고 나 가나, (젝스키스, 1998)
나는 줄곧 K팝의 즐거움을 예찬하고 있다. 동시에 나는 줄곧 K팝의 유해함도 지적하고 있다. 그러니 K팝에 대한 내 입장은 “사랑받아야 마땅하나, 해로우니 멀리하자”로 요약할 수 있다. 그런데… 하… 이게 무슨 말인지 이해할 수 있는 사람? 실컷 매혹당한 뒤에 칼로 허벅지를 찌르자는 말인가? 아침엔 사랑하고 저녁엔 미워하자는 건가? 대체… 뭔가? 나는 줄
글: 복길 │
2025-02-27
-
[도서]
씨네21 추천도서 - <요괴 나라 대만 1 : 요귀신유권>, <요괴 나라 대만 2 : 괴담기몽권>
허징야요 글 장지야 그림 김영문 옮김 글항아리 펴냄
“전설에 따르면 하늘과 땅이 생성될 때 모든 물이 모여서 바다가 되었다. 아득하고도 푸르게 넘실대는 해양 속에 거대한 물고기 한 마리가 있었는데 아무도 그 이름은 모른다.” <요괴 나라 대만>의 ‘총론’은 이런 문장으로 시작한다. 대만섬이 어떤 신화적 작용으로 만들어졌는지를 논하며 시작해 산
글: 이다혜 │
2025-02-18
-
[도서]
씨네21 추천도서 - <어두운 바다의 등불이 되어 세트(1~4)>
연산호 지음 비채 펴냄
웹소설은 제목이 중요하다고들 한다. 제목만 봐도 어떤 이야기인지 ‘기대’할 수 있게 만들어야 독자의 ‘유입’이 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제목 낚시가 중요하다고 하고, 특정 단어가 반복적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인기 있는 키워드는 그 시기의 웹소설 트렌드를 고스란히 반영한다. ‘나 혼자’, ‘악녀’ , ‘복수’ 같은 단어들은 그렇게 한
글: 이다혜 │
2025-02-18
-
[도서]
씨네21 추천도서 - <서울 오아시스>
김채원 지음 문학과지성사 펴냄
소설집을 덮으면서 그림자들이 걸어가는 소리를 들었다. 소설 속 인물의 명확한 생김새가 아니라 희미한 그림자 발소리다. 다행히 그림자는 혼자가 아니라 그 옆과 뒤를 다른 이가 함께 걷는다. 그러니까 그 소리는 조용하지만 수런수런대기도 한다. 김채원 소설집 <서울 오아시스>에는 여덟편의 단편소설이 실려 있다. 등단작
글: 김송희 │
2025-02-18
-
[도서]
씨네21 추천도서 - <남자는 왜 친구가 없을까>
맥스 디킨스 지음 이경태 옮김 창비 펴냄
정확히 이 책의 도발적인 제목처럼 생각한 것은 아니지만, 남자 친구에게 가졌던 비슷한 의문이 있다. 왜 그는 10대 때 만난 사람만 친구로 여기는가. 한 부서에서 일하며, 일주일에 세번 술잔을 기울임에도 그 사람은 직장 동료지 친구는 아니라고 하는 그에게 “고등학교 친구들은 1년에 두번 만나고, 회사 동료는 일
글: 김송희 │
2025-02-18
-
[도서]
씨네21 추천도서 - <씨네21>이 추천하는 2월의 책
<남자는 왜 친구가 없을까> - 맥스 디킨스 지음 이경태 옮김 창비 펴냄
<서울 오아시스> - 김채원 지음 문학과지성사 펴냄
<어두운 바다의 등불이 되어 세트 (1~4)> - 연산호 지음 비채 펴냄
<요괴 나라 대만 1 : 요귀신유권>, <요괴 나라 대만 2 : 괴담기몽권> - 허징야요 글
글: 씨네21 취재팀 │
2025-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