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연가시> 숙주, 어디까지 조종 가능한가
FICTION
숙주를 조종해 물속에 뛰어들어 자살하게 하는 연가시가 한창 화제가 될 때, 영화는 인간이 숙주가 됐다는 가정하에 사건을 전개한다. 어디까지가 실제로 가능한 이야기인가.
FACT
“연가시는 인간이 아닌 곤충을 숙주로 삼지만, 인간을 숙주로 삼아 조종하는 기생충들이 실제로 있기에 허황된 이야기가 아니다. 메디나충은 물과 접촉할 확률이 높
글: 이예지 │
글: 디지털미디어팀 │
2016-03-08
-
[스페셜1]
<에이리언>, 인간의 몸에서 유충 기르기
관련기사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이학박사 정재승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연구교수, 입자물리학자 이종필
단국대학교 의학대학 교수, 기생충학자 서민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공학박사 노준용
부산대학교 물리교육학과 교수, 양자물리학자 김상욱
글: 이예지 │
글: 디지털미디어팀 │
2016-03-08
-
[스페셜1]
<기생수>, 기생수와 숙주의 공생
관련기사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이학박사 정재승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연구교수, 입자물리학자 이종필
단국대학교 의학대학 교수, 기생충학자 서민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공학박사 노준용
부산대학교 물리교육학과 교수, 양자물리학자 김상욱
글: 이예지 │
글: 디지털미디어팀 │
2016-03-08
-
[스페셜1]
<타임 패러독스> <시그널>의 시간여행
관련기사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이학박사 정재승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연구교수, 입자물리학자 이종필
단국대학교 의학대학 교수, 기생충학자 서민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공학박사 노준용
부산대학교 물리교육학과 교수, 양자물리학자 김상욱
글: 송경원 │
글: 디지털미디어팀 │
2016-03-08
-
[스페셜1]
<스타워즈>의 라이트세이버
관련기사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이학박사 정재승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연구교수, 입자물리학자 이종필
단국대학교 의학대학 교수, 기생충학자 서민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공학박사 노준용
부산대학교 물리교육학과 교수, 양자물리학자 김상욱
글: 송경원 │
글: 디지털미디어팀 │
2016-03-08
-
[스페셜1]
<인터스텔라> 속 과학이론
관련기사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이학박사 정재승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연구교수, 입자물리학자 이종필
단국대학교 의학대학 교수, 기생충학자 서민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공학박사 노준용
부산대학교 물리교육학과 교수, 양자물리학자 김상욱
글: 송경원 │
글: 디지털미디어팀 │
2016-03-08
-
[스페셜1]
<이터널 선샤인> 속 기억 삭제, 실제로 가능한가?
에 1천만 관객이 몰리는 시대, 이 뇌과학자 정재승, 입자물리학자 이종필, 기생충학자 서민, 컴퓨터공학자 노준용, 양자물리학자 김상욱 등 다채로운 분야의 과학자들을 만났습니다. 흔치 않은 기회이니만큼 그간 궁금했지만 물어보지 못한 과학적 사실에 대해 물어보았습니다.
관련기사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이학박사 정재승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글: 정지혜 │
글: 디지털미디어팀 │
2016-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