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에이리언>, 인간의 몸에서 유충 기르기
관련기사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이학박사 정재승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연구교수, 입자물리학자 이종필
단국대학교 의학대학 교수, 기생충학자 서민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공학박사 노준용
부산대학교 물리교육학과 교수, 양자물리학자 김상욱
글: 이예지 │
글: 디지털미디어팀 │
2016-03-08
-
[스페셜1]
<기생수>, 기생수와 숙주의 공생
관련기사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이학박사 정재승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연구교수, 입자물리학자 이종필
단국대학교 의학대학 교수, 기생충학자 서민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공학박사 노준용
부산대학교 물리교육학과 교수, 양자물리학자 김상욱
글: 이예지 │
글: 디지털미디어팀 │
2016-03-08
-
[스페셜1]
<타임 패러독스> <시그널>의 시간여행
관련기사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이학박사 정재승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연구교수, 입자물리학자 이종필
단국대학교 의학대학 교수, 기생충학자 서민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공학박사 노준용
부산대학교 물리교육학과 교수, 양자물리학자 김상욱
글: 송경원 │
글: 디지털미디어팀 │
2016-03-08
-
[스페셜1]
<스타워즈>의 라이트세이버
관련기사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이학박사 정재승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연구교수, 입자물리학자 이종필
단국대학교 의학대학 교수, 기생충학자 서민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공학박사 노준용
부산대학교 물리교육학과 교수, 양자물리학자 김상욱
글: 송경원 │
글: 디지털미디어팀 │
2016-03-08
-
[스페셜1]
<인터스텔라> 속 과학이론
관련기사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이학박사 정재승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연구교수, 입자물리학자 이종필
단국대학교 의학대학 교수, 기생충학자 서민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공학박사 노준용
부산대학교 물리교육학과 교수, 양자물리학자 김상욱
글: 송경원 │
글: 디지털미디어팀 │
2016-03-08
-
[스페셜1]
<이터널 선샤인> 속 기억 삭제, 실제로 가능한가?
에 1천만 관객이 몰리는 시대, 이 뇌과학자 정재승, 입자물리학자 이종필, 기생충학자 서민, 컴퓨터공학자 노준용, 양자물리학자 김상욱 등 다채로운 분야의 과학자들을 만났습니다. 흔치 않은 기회이니만큼 그간 궁금했지만 물어보지 못한 과학적 사실에 대해 물어보았습니다.
관련기사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이학박사 정재승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글: 정지혜 │
글: 디지털미디어팀 │
2016-03-08
-
[스페셜1]
“과학은 지식이 아니라 태도 혹은 방법이다”
“과학자는 상식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이다.” 과학자는 어떤 사람들인가에 대한 질문에 김상욱 교수는 갈릴레오의 이야기를 꺼냈다. 눈앞에 보이는 사실이나 여론에도 불구하고 지구가 돈다고 이야기할 수밖에 없는 실험적 사실들이 있었기에 갈릴레오는 그것을 말할 수밖에 없었다. 이때 사실을 발견한 것만큼 중요한 건 그걸 이야기할 수 있는 용기라는 것이다. 카이스트에
글: 송경원 │
사진: 백종헌 │
2016-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