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영화평론③] 우수상 당선자 김병규 - 만나야 할 영화와 자연스럽게 만나기를
‘판타지’라는 필명으로 블로그 활동을 해온 김병규 당선자는 시네필 사이에서는 꽤 알려진 필자다. 작가영화들에 대한 깊은 이해와 원숙한 글쓰기를 해온 그는 현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공연영상창작학부 영화전공에 재학 중인 학생이기도 하다. 중학생 시절부터 영화에 대한 글을 쓰기 시작했지만 특별히 ‘평론’이란 목적을 가지고 쓴 건 아니라고 했다. 그저 영화에 응
글: 송경원 │
사진: 오계옥 │
2018-09-12
-
[스페셜1]
[영화평론②] 우수상 김병규 작품비평 요약 - 멈춤과 움직임
샤오쓰가 주사를 맞기 위해 양호실에 도착하면 실내에는 대여섯 명 정도의 소년이 프레임 여기저기에 놓여 있다. 누군가는 의자에 앉아서, 누군가는 창문이나 시력검사표 옆에 멈춰 서 있다. 왜 이들이 이런 자세로 화면에 자리 잡고 있는 걸까. 개연성의 맥락으로는 단순히 샤오쓰와 마찬가지로 주사를 맞으려고 기다리는 학생들이라고 생각하면 충분하다. 하지만 자연스러
글: 김병규 │
2018-09-12
-
[스페셜1]
[영화평론①] 우수상 김병규 이론비평 요약 - 액체적 영화에 관하여
구스 반 산트의 두 편의 영화, <엘리펀트>(2003)와 <라스트 데이즈>(2005)에선 한 가지 기묘한 효과가 반복된다. 그 효과가 나타나는 장면들의 시각적 구성을 요약하면 이런 식이다. ‘한 남자가 홀로 걸어가고 카메라는 그의 뒤를 따라간다.’ 두 장면이 제시되는 상황이나, 카메라가 따라가는 인물들에게 별다른 공통점이 있는 것은
글: 김병규 │
2018-09-12
-
[스페셜1]
영화의 옆, 평론의 자리를 만들다 ① ~ ⑦
<씨네21> 영화평론상이 어느덧 23회를 맞았다. 비평의 쓸모를 고민하는 목소리에 응답하듯 새로운 물결은 한번의 쉼 없이 이어지고 있다. 올해 우수상으로 당선된 김병규·홍은미 수상자의 활동이 좁아져 가는 비평의 자리를 한층 넓혀줄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기쁜 마음으로 이들의 글을 소개하는 한편 축하하는 마음으로 올해 여름 한국영화 세편에 대
글: 씨네21 취재팀 │
2018-09-12
-
[해외통신원]
[LA] 텔룰라이드영화제서 공개된 데이미언 셔젤, 알폰소 쿠아론 감독 신작
뜨거웠던 여름이 끝났다. 전년 대비 약 14.2% 흥행 수입이 상승한 8월을 뒤로하고, 지금 할리우드는 내년 오스카 레이스의 주자가 누가 될지 일찌감치 점치느라 바쁘다. 베니스국제영화제, 토론토국제영화제, 그리고 콜로라도에서 열리는 텔룰라이드영화제에서 공개된 신작들 때문인데, 보통 9월부터 연말 사이에 개봉하는 영화들이 오스카 시상식을 비롯한 각종 시상식
글: 안현진 │
2018-09-11
-
[내 인생의 영화]
정세랑 소설가의 <아이, 토냐> 미워하기 좋은 여자를 미워하지 않기로 한다
감독 크레이그 질레스피 / 출연 마고 로비, 세바스천 스탠, 앨리슨 제니 / 제작연도 2017년
봄에 <아이, 토냐>를 보았는데, 볼 때는 매끄러운 영화라 생각했지만 여름을 지나 가을에 이르기까지 마음속에 잔여물이 남았다. 어쩐지 아주 오래 이 영화를 생각할 것 같다.
1994년 당시 초등학생이었기에 한창 신문 스크랩이 숙제였고, 스포츠
글: 정세랑 │
2018-09-11
-
[TView]
[TVIEW] <아는 와이프> 개성마저 덮어버리는 개념녀에 대한 환상
고생하는 아내를 두고 새 인연을 꿈꾸던 남편이 뒤늦게 후회하는 이야기들이 있다. 일정 양식이 반복되고 교훈과 결말, 극을 통해 얻는 쾌락도 정해진 보수적인 이 드라마들은 주로 여성 시청자를 염두에 두고 설계된다. 시간여행이나 신비한 힘의 개입으로 운명을 되돌리는 설정이 드라마 시청자에게 무리 없이 받아들여지는 최근 몇년 동안은 여러 쌍의 부부들이 과거로
글: 유선주 │
2018-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