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ST]
[LIST] 김지안이 말하는 요즘 빠져있는 것들의 목록
<파수꾼>
최근 하루에 한편의 영화, 혹은 시리즈를 최대한 챙겨 보고 있다. 얼마 전엔 <파수꾼>을 봤는데 배우들의 자연스러운 분위기가 고스란히 담겨 있어서 놀랐다. 주연배우님들이 경력 초창기 시절이었음에도 너무 대단한 연기력을 보여주시더라.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상황이나 기분에 맞춰서 장르를 선택해 보려는
글: 씨네21 취재팀 │
사진: 오계옥 │
2025-03-24
-
[Culture]
[오수경의 TVIEW] 협상의 기술
”말 한마디에 천냥 빚도 갚는다”는 속담이 있다. 이걸 적용하자면 JTBC 드라마 <협상의 기술>은 “말 한마디에” 1조5천억원의 이익과 손실이 오가는 살벌한 세계를 보여준다. ‘흰머리’여서, 혹은 ‘백번 생각하는 사람’이라는 의미로 ‘백사’라는 별명이 붙은 전설의 협상 전문가 윤주노(이제훈)는 산인그룹에 쌓인 부채를 해결하기 위해 M&
글: 오수경 │
2025-03-21
-
[REVIEW STREAMING]
[OTT 리뷰] <협상의 기술> <컨트롤 프릭> <플랑크톤 더 무비>
<협상의 기술>
JTBC/ 12부작 / 연출 안판석 / 출연 이제훈, 김대명, 성동일, 장현성 / 공개 3월8일
플레이지수 ▶▶▶▶ | 20자평 – 멜로 없이도 명불허전 안판석 월드
산인그룹 인수합병(M&A) 팀장 윤주노(이제훈)가 백사라고 불리는 데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백발 때문으로 알려졌지만 실은 백번 생각하고 움직여
글: 이유채 │
글: 김경수 │
글: 이자연 │
2025-03-21
-
[씨네스코프]
[씨네스코프] ‘아시아영화간 대화’가 일어나는 장소 ‘홍콩’, 제18회 아시아필름어워즈 현장
아시아영화를 하나로 묶는 아시아필름어워즈가 지난 3월16일 홍콩 시취센터에서 18번째 시상식을 열고 한국과 홍콩, 일본, 중국, 인도 등 다양한 지역에서 온 영화에 상을 수여했다. 어느 한 지역에 쏠리지 않고 여러 방향으로 트로피가 뻗어나갔다는 점이 올해 시상식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최우수작품상 수상작부터가 인도영화 <우리가 빛이라 상상하
글: 배동미 │
2025-03-21
-
[해외통신원]
[베를린] 키스 재럿의 전설을 소환하다, <쾰른 75> 베를린국제영화제 이어 독일 전역 개봉
올해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첫선을 보인 영화 <쾰른 75>가 독일 전역에서 개봉했다. 영화의 배경은 1975년 쾰른, 이 도시엔 재즈피아니스트 키스 재럿의 공연이 예정돼 있다. 하지만 이 작품의 주인공은 키스 재럿이 아니라 18살의 공연 기획자 베라(말라 엠데)다. 베라는 모범적인 학교생활을 이어가고 졸업 후 안정적인 직업을 얻길 강요하는 부모의
글: 한주연 │
2025-03-24
-
[국내뉴스]
극장가에 봄은 언제 오는가 - 한국영화 흥행작 부재, 2월 관객수 전년 대비 52% 감소… 매출은 반토막
2월의 극장가 실적은 예상보다 처참했다. 지난 3월19일 영화진흥위원회가 발표한 2025년 2월 영화산업결산에 따르면 2월에 극장을 찾은 관객은 2024년 같은 기간 대비 52.2%(598만명) 줄어든 547만명, 매출액 역시 52%(575억원) 하락한 531억원을 기록했다. 2월 박스오피스 1위는 마블 영화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
글: 김소미 │
2025-03-21
-
[편집장이독자에게]
[송경원 편집장의 오프닝] 살민 살아진다 이어야 이어진다
살민 살아진다. 화제작 <폭싹 속았수다>의 여섯 번째 에피소드 제목이 가슴에 콕 박혔다. 내용 자체가 눈물샘 터지는 사연이기도 했지만 슬픔을 덮고 일상을 이어가기 위한 다짐 같은 말이라 더 가슴이 아렸다. 한탄의 말인지, 한숨의 모양인지, 그도 아니면 살고 싶은 해녀의 숨비소리인지 헷갈리는 저 무덤덤한 한마디. 그 아래로 눈물이 스며들어 고여
글: 송경원 │
2025-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