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뷰]
한국영화 100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 이장호·장미희 공동위원장, "젊은 세대와 선배 세대의 단절 해소할 방안 고심한다"
가장 공적인 ‘한국영화 100년 기념사업’을 전선에서 이끌 영화인, 이 상징적 위치에 추진위원회는 누구나 고개를 끄덕일 만한 이름을 추대했다. 이장호 감독과 배우 장미희가 그 주인공이다. <별들의 고향>(1974)으로 데뷔한 이래 한국 리얼리즘 영화를 이끌며 당시 예술성과 대중성을 고루 인정받은 이장호 감독은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초대 집행위원
글: 임수연 │
사진: 오계옥 │
2019-05-02
-
[후아유]
<미스 스티븐스> 릴리 라인하트 - 친근한 옆집 소녀처럼
<미스 스티븐스>의 마고는 시종일관 신경 쓰이는 존재다. 액션도 크고, 리액션도 큰 마고는 “어떻게 선생님이 망가진 차에 학생들을 태우냐”며 스티븐스(릴리 레이브)에게 당돌하게 말하고, 선생님에게 묘하게 끌리는 빌리(티모시 샬라메)에게 그가 레즈비언인 거 같다고 쑥덕댄다. 동시에 연극대회를 망친 후 “이렇게 될 줄 이미 알고 있었다는 게 더 속
글: 임수연 │
2019-05-02
-
[스페셜2]
[제11회 오키나와국제영화제②] <똥파리> 양익준 감독 - 한국과 일본 현장 모두 경험하는 일이 도움 된다
올해 오키나와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되는 유일한 한국영화는 양익준 감독의 <똥파리>다. 개봉 10주년을 기념해 영화제쪽에서 스페셜 스크리닝 섹션에 <똥파리>를 특별 초청한 것이다. 양익준 감독은 오키나와에서도 ‘<똥파리>의 감독’으로 여전히 사랑받고 있었다. 관객과의 대화가 끝난 뒤 관객으로부터 편지를 받았다거나 인터뷰를 진행한
글: 이주현 │
2019-05-02
-
[스페셜2]
[제11회 오키나와국제영화제①] <맛있는 가족> 후쿠다 모모코 감독
<맛있는 가족>은 새로운 가족의 모습을 제시하는 전복적이면서도 발랄한 일본영화다. 어머니의 두 번째 기일을 맞아 고향 섬마을에 간 딸은 어머니의 원피스를 곱게 차려입은 아버지를 마주하는데, 이제부터 어머니가 되겠다는 아버지는 남자와 결혼하겠다는 선언까지 해버린다. <맛있는 가족>은 일본의 주목받는 젊은 감독 후쿠다 모모코의 첫 장편영
글·사진: 이주현 │
2019-05-02
-
[스페셜2]
[제11회 오키나와국제영화제] 오키나와에는 웃음이, 영화에는 평화가 깃든다 ① ~ ②
4월 18일부터 21일까지 열린 제11회 오키나와국제영화제(Okinawa International Movie Festival, 이하 오키나와영화제)에 다녀왔다. 오키나와섬 전체를 ‘웃음과 평화’로 물들이려는 오키나와영화제의 의지를 곳곳에서 읽을 수 있었다. 더불어 일본 젊은 감독의 에너지를 느낄 수 있는 영화도 만났고, 유일한 한국영화 초청작인 &l
글·사진: 이주현 │
2019-05-02
-
[스페셜2]
<파업전야> 만든 장산곶매 사람들이 다시 말하다 - 이용배(제작), 장동홍(연출), 공수창(작가), 김동범(배우)
‘노동자의 참상을 너무 잘 그렸다’는 이유가 ‘크나큰’ 죄명이 됐다. 1980년대 말, 노태우 정권하에서 온갖 고초 속에 태어난 금기의 영화. 동성금속의 단조반원 한수(김동범)가 비인간적인 노동환경을 경험하면서 각성하고, 마침내 스패너를 들면서 끝나는, 안치환의 절절한 음색이 선도하는 <철의 노동자>가 울려퍼지는 마지막 장면이 곧 현실의 노동자
글: 이화정 │
사진: 백종헌 │
2019-05-02
-
[스페셜2]
<하트스톤> 구두문두르 아르나르 구드문드손 감독, “그 시절엔 모든 것이 가능했다”
-한국 관객 대부분에게 아직은 미지의 감독일 당신을 소개하게 돼 기쁘다. 처음에는 배우로 아이슬란드영화계에 뛰어든 것으로 알고 있는데, 데뷔작의 메가폰을 잡기까지 어떤 궤적을 거쳐왔는지 소개해주기 바란다.
=짧은 시간 아마추어 배우로 생활한 뒤에 느낀 것이 나는 다른 사람의 연기를 디렉팅하는 일이 더 적성에 맞는다는 사실이었다. 이후 개념미술과 시나리
글: 김소미 │
2019-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