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씨네21 리뷰]
<미드90> 스케이트보드를 타며 새로운 세계를 경험한다
“내 방에 들어가면 죽는다”는 말을 남기고 형(루카스 헤지스)이 집을 나서자마자 스티비(서니 설직)는 형의 방으로 뛰어들어간다. 그곳은 각종 CD, 믹스테이프, 멋진 패션 아이템으로 가득한 신세계다. 닌자거북을 졸업할 나이가 된 스티비의 동경은 곧 동네의 스케이트보드 타는 형들에게로 향한다. 스티비는 스케이트보드 숍을 기웃거리다 루벤(지오 갈리시아)과 말
글: 이주현 │
2019-09-25
-
[씨네21 리뷰]
<양자물리학> 양자물리학에서는 말이죠!
유흥업계의 화타 이찬우(박해수)는 실력 있는 프로듀서 성은영(서예지)과 사업파트너가 되며 성공에 한 발짝 더 가까워진다. 그러나 자신의 클럽에서 목격한 인기 가수의 마약 스캔들이 정재계 인사로까지 번져나가며 찬우는 거대한 게이트에 휘말리게 된다.
검찰과 언론, 경찰과 청와대의 팽팽한 줄다리기 속에서 자신을 지켜줄 사람은 찬우 자신뿐이다. 비밀을 간직한
글: 박정원 │
2019-09-25
-
[씨네21 리뷰]
<와인스타인> 하비 웨인스타인의 몰락과 미투 운동이 촉발된 계기를 정돈된 필치로 담아낸 기록영화
전세계에 미투 운동을 촉발시킨 할리우드의 거물 제작자 하비 웨인스타인의 몰락을 조명하는 다큐멘터리. 수많은 오스카상과 거액의 돈을 벌어들이며 25년여간 미국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최고의 영향력을 발휘하던 웨인스타인은, 어떻게 역사에 길이 남을 성범죄자로 전락하게 되었나. 영화는 웨인스타인에게 성폭력을 당했던 이들의 증언을 비롯해 미라맥스, 웨인스타인 컴퍼
글: 장영엽 │
2019-09-25
-
[스페셜1]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 추천작④] <찬실이는 복도 많지> <윤희에게> <시네마 동키> <나는 집에 있었지만…> <크라비 섬>
<찬실이는 복도 많지>
김초희 / 한국 / 2019년 / 96분 / 한국영화의 오늘: 비전
예술영화가 존재의 이유이자 삶의 모든 것이었던 여자의 인생 2막을 코믹하게 그렸다. “시집은 못 가도 영화는 찍고 살 줄 알았던” 영화 프로듀서 찬실(강말금)은 평생의 작업적 동반자라고 믿었던 감독이 술자리에서 폭음 도중 돌연사하는 바람에 졸지에 직업
글: 김소미 │
2019-09-25
-
[스페셜1]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 추천작③] <레미제라블>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 <아저씨 x 아저씨> <리틀 조> <어느 영화감독의 고군분투기>
<레미제라블> Les Miserables
레주 리 / 프랑스 / 2019년 / 102분 / 오픈 시네마
마티외 카소비츠의 <증오>(1995)가 25년 만에 되살아난 것 같은 영화. 프랑스 파리 외곽 몽페르메유를 배경으로, 지역을 관할하고 있는 부패한 경찰과 종교, 인종에 따라 조직과 구역을 나누어 공생하는 각종 범죄 조직이 빈민가
글: 김현수 │
2019-09-25
-
[스페셜1]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 추천작②]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 <니나 내나> <마리암> <#존 덴버> <미스터 존스>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
김동령, 박경태 / 한국 / 2019년 / 115분 / 한국영화의 오늘: 비전
기지촌의 여성과 공간에 천착해온 김동령, 박경태 감독이 <거미의 땅>(2012)에 이어 다시금 같은 주제, 다른 이야기를 시도한다. <거미의 땅>에도 등장했던 의정부 미군 기지촌에서 살아온 박인순씨가 <임신한
글: 이주현 │
2019-09-25
-
[스페셜1]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 추천작①] <쏘리 위 미스드 유> <배신자> <파이어 윌 컴> <야구소녀> <커밍 홈 어게인>
<쏘리 위 미스드 유> Sorry We Missed You
켄 로치 / 영국 / 2019년 / 100분 / 아이콘
‘아이콘’은 부산국제영화제가 올해 처음 선보이는 섹션으로, 지역 구분을 뛰어넘어 거장 감독의 신작들을 소개할 예정이다.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을 필두로 모흐센 마흐말바프, 아그네츠카 홀란드, 올리비에 아사야스, 브루노 뒤몽,
글: 장영엽 │
2019-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