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비평]
매혹의 대상으로 역사를 바라보는 <김군>이 가진 힘에 대하여
‘엄숙주의에 대한 거부와 반발심.’ 영화의 제작진이 인터뷰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엄숙주의에 반대하는 것이 영화 <김군>의 중요한 제작 목적이었던 것 같다(<씨네21> 1206호 기획 기사). 광주민주화운동에 관한 ‘도 넘은 왜곡’에 대한 반발이 아닌, 엄숙주의에 대한 반발이라니. 이러한 발언은 광주 시민의 편에 선 영화 속 입장과도
글: 김소희 │
2019-06-05
-
[씨네21 리뷰]
<글로리아 벨> 50대의 싱글 여성 글로리아
2013년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폴리나 가르시아), 각본상, 심사위원상을 수상한 <글로리아>(2013)의 미국판 리메이크. 원작 감독인 세바스티안 렐리오가 직접 메가폰을 잡아 산티아고의 밤거리를 방황했던 글로리아를 로스앤젤레스로 데려왔다. 50대의 싱글 여성 글로리아(줄리언 무어)는 부족할 게 없는 삶을 산다. 이혼했지만 전남편과 가끔
글: 김소미 │
2019-06-05
-
[씨네21 리뷰]
<하나레이 베이> 슬픔이 빚어낸 눈부신 환상과 마주하다
“난 이 섬을 받아들이려고 했지만 이 섬은 날 받아들이지 않으려고 하는 것 같다. 난 그것마저 받아들여야 하나?” 사치(요시다 요)는 아들이 하와이 하나레이 해변에서 서핑 중 커다란 상어에게 물려 목숨을 잃었다는 전화를 받는다. 아들의 시체를 직접 확인하고 화장까지 마친 그는 아들의 유류품을 전하는 지인들에게 내키지 않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10
글: 임수연 │
2019-06-05
-
[씨네21 리뷰]
<닥치고 피아노!> 피아니스트이자 래퍼, 천재 혹은 괴짜, 칠리 곤잘레스
피아니스트이자 래퍼, 천재 혹은 괴짜. 캐나다 출신의 뮤지션 칠리 곤잘레스는 굶주린 육식동물처럼 피아노를 치고 랩을 쏟아낸다. 본명은 제이슨 벡. 3살 때부터 피아노를 배웠고, 10대 때부터 형과 함께 음악을 만들었다. 참고로 그의 형은 <겨울왕국> <앤트맨> 등의 영화음악감독 크리스토프 벡이고, 아버지는 캐나다 최대 건설회사의 설립
글: 이주현 │
2019-06-05
-
[씨네21 리뷰]
<기생충> 한국 최초의 칸국제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
한국 최초의 칸국제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 슈퍼돼지를 구하려는 산골 소녀의 모험담을 펼친 넷플릭스 오리지널 <옥자>(2017) 이후 2년 만에 선보이는 봉준호 감독의 신작으로, 그의 7번째 장편영화다. <기생충>에는 매사에 ‘계획’을 언급하는, 야무지다면 야무지고 어설프다면 어설픈 한 가족이 등장한다. 구성원 전원이 백수인 기택(송
글: 김소미 │
2019-06-05
-
[씨네21 리뷰]
<고질라: 킹 오브 몬스터> 주파수로 초거대 괴수들을 조종한다
괴수전담기관 모나크의 과학자 엠마(베라 파미가)는 2014년 고질라로 인해 초토화된 샌프란시스코에서 아들을 잃는다. 이후 남편 마크(카일 챈들러)는 은둔에 들어갔지만 엠마는 연구를 지속한 끝에 거대 괴수와 소통할 수 있는 장치, 오르카를 개발한다. 하지만 오르카를 노린 테러집단에 딸 매디슨(밀리 바비 브라운)과 함께 납치되고, 테러집단은 오르카를 이용해
글: 송경원 │
2019-06-05
-
[스페셜1]
[제72회 칸국제영화제 결산⑧] <시빌> 쥐스틴 트리에 감독 - 서로를 움직이게 하는 인물들의 이야기
쥐스틴 트리에 감독의 <시빌>은 창작욕에 불타던 한 여자가 글의 소재로 삼기 위해 다른 사람의 인생을 들여다보다가 오히려 자신의 어두운 과거와 대면하게 되는 이야기다. 심리치료사를 그만두고 글을 쓰려는 시빌(버지니아 에피라)은 자신을 찾아온 환자 마고(아델 엑사르코풀로스)에게서 깊은 영감을 받는다. 시빌은 치료의 목적을 넘어 마고의 삶을 집착에
글: 김현수 │
2019-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