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2]
[기획] 영화가 좋아서, <씨네21>이 좋아서 – 배우 이준혁과 전소니가 들려주는 영화를 애정한다는 것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이 <파벨만스>에서 말했듯 인생과 영화는 다르다. 비루한 오늘은 촬영으로 보정하는 데에 한계가 있고, 끊어진 인연은 편집으로 이어 붙일 수 없다. 연기와 연출은 살다 보면 언젠가 들통나기 마련이다. 하지만 사랑하면 닮는다고 했던가. 어떤 이들은 영화를 너무 사랑한 나머지 자신의 인생도 영화와 같기를 바란다. 급기야 경애의 대
글: 정재현 │
2025-04-03
-
[스페셜2]
[기획] 이 장면이 완성되기까지 - 강제규 감독이 말하는 <쉬리> 비하인드 더 신
“특수효과는 <쉬리>의 또 다른 열쇠가 될 거라 생각했다. 총격전에서 벌어지는 스파크 하나에도 정두환 기사님과 엄청나게 많은 테스트를 했다. 테스트만 하는 데 6개월이 걸렸다. 예를 들어 어떤 총기가 어떤 포지션에 있을 때 어떤 색깔, 어떤 모양으로 불꽃이 튀는지 계속해서 확인했다. 거의 과학 실험실이나 마찬가지였다. <쉬리>의 특수
글: 이자연 │
2025-04-02
-
[스페셜2]
[인터뷰] <쉬리>는 달랐다 - 26년 만에 극장을 찾은 <쉬리> 강제규 감독
- 개봉 26년 만에 재개봉을 한다. 그동안 온라인에서 <쉬리>를 보기 어려웠던 이유는 무엇인가.
이에 대한 역사가 워낙 길다. 오래전 삼성영상사업단이 영화사업과 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를 철수하면서 삼성영상사업단이 투자배급을 맡았던 <쉬리>도 영향을 받게 되었다. 담당자가 없어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던 거다. <쉬리
글: 이자연 │
사진: 오계옥 │
2025-04-02
-
[스페셜2]
[기획] 대한민국 최초의 블록버스터, 1999년 극장가의 뉴 스탠더드, <쉬리>
뉴 밀레니엄을 코앞에 둔 1999년. 기대와 설렘, 음모와 루머가 희한하게 뒤섞이던 시절, 한반도 분단의 비애와 현실성 높은 총격전은 당시 <타이타닉>이 가지고 있던 최대 관객수 226만명의 기록을 경신하며 621만명이라는 최종 성적을 거둔다. 희망, 가능성, 기대 등등 <쉬리>를 대체할 단어는 오직 그런 것들이었다. 한국영화가 나아
글: 이자연 │
2025-04-02
-
[스페셜2]
[인터뷰] “좋은 작품이 지속적으로 만들어지는 선순환구조를 위하여” - 강유정 더불어민주당 의원
강유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의원실 앞에는 ‘한국영화를 사랑하는 제22대 국회의원 강유정’이라는 명패가 붙어 있다. 업계 현안을 전하기 위해 그를 찾아온 영화인들이 선물한 것이라고 한다. 더불어민주당 내 유일의 문화예술 비례대표이자 평론가로 오래 활동해온 그를 향한 기대가 슬레이트를 형상화한 푯말에 어려 있다. 그에게 영화상영관 입장권 부과금 이슈를 비롯해
글: 남선우 │
사진: 오계옥 │
2025-03-28
-
[스페셜2]
[특집] 내 푯값은 어디로 가나요? - 할인 유무·할인 종류에 따른 영화 티켓값 경우의 수
극장에 가면 영화 한편을 보기 위해 무심코 결제하는 티켓. 그렇다면 관객이 지불한 티켓 금액은 도대체 누가 가져가는 걸까? 문득 예매 창을 들여다보다 이런 호기심을 한번쯤 품어본 관객이 있을 것이다. 원래 이뤄져야 할 산업 구조에서 정가를 지불한 티켓값은 과연 얼마나 배급사와 제작사에 돌아가는지. 혹은 할인 프로모션을 적용한 티켓은 어떻게 산업 관계자들에게
글: 최현수 │
2025-03-28
-
[스페셜2]
[특집] 할인해드렸는데 비싸졌습니다. - 영화표 값과 할인 이슈의 타임라인
2000년대 중반, 한국영화의 제작과 멀티플렉스 기반의 극장산업이 부흥할 무렵부터 극장 3사(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의 영화표 할인과 무료 티켓 문제 등은 계속하여 제기돼왔다. 주로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를 통해 이뤄진 영화계와 멀티플렉스간 갈등의 역사를 간략한 타임라인으로 정리했다.
2007년
대형 멀티플렉스 3사인 CGV, 롯데시네
글: 이우빈 │
2025-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