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비평]
<결혼 이야기>가 섬세하게 쌓아올린 시간의 힘에 대하여
<결혼 이야기>는 집요할 만큼 ‘대칭적인 하나의 짝’으로 구성된 영화다. 전반적으로 결혼과 이혼이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은 물론이고, 니콜(스칼렛 요한슨)과 찰리(애덤 드라이버)라는 주인공들이 그러하며, LA와 뉴욕이라는 배경 또한 대립적으로 비친다. 가족드라마인 동시에 매력적인 법정 영화인 이 영화에서 찰리가 만나는 두명의 남자 변호사
글: 박정원 │
2020-03-12
-
[후아유]
<호흡> 김대건 - 연기 그 이상의 움직임
처음엔 이 배우가 그 배우인지 서둘러 알아보지 못했다. <호흡>의 민구는 감히 그 심정을 헤아려보려는 시도조차 미안하고 주저될 만큼 지옥 같은 바닥을 경험해본 남자다. 아들의 수술비를 마련하려는 정주(윤지혜) 부부에게 12년 전 유괴당했던 민구는 이후 인생이 완전히 무너진다. 교도소에서 나와 청소업체 직원으로 취직한 그가 정주와 재회하는 것이
글: 임수연 │
사진: 최성열 │
2019-12-26
-
[디스토피아로부터]
얼굴들
최근 열린 두 전시, 노원희의 <얇은 땅 위에>와 윤석남의 <벗들의 초상을 그리다>는 흥미롭게 대조적이었다. 노원희 그림의 등장인물들은 대개 얼굴이 없다. 윤곽은 있되 이목구비가 있어야 할 자리는 비어 있다. 소설 <82년생 김지영>을 읽고 영감을 받아 그렸다는 <무기를 들고>에서 여자들은 텅 빈 얼굴을 한 채
글: 오혜진 │
사진: 박지연 │
2019-12-25
-
[김혜리의 영화의 일기]
[김혜리의 영화의 일기] 이별의 기술
*<결혼 이야기>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1936년생 사회주의자 켄 로치 감독은 2010년대 자본주의의 작동 방식과 신종 착취를 따라잡는 데에 게으르지 않다. <미안해요, 리키>는 금융위기 이후 급격히 늘어난 모바일 앱 기반 호출 서비스와 임시직 경제(gig economy)가 만든 노동 환경을 주시한다. 리키(크리스 히친)는 자유롭고
글: 김혜리 │
2019-12-25
-
[영화비평]
<디에고> <세나: F1의 신화> <에이미>를 통해 본 아시프 카파디아의 작품 세계
나폴리팀의 크리스마스 파티, 디에고가 구석 테이블에 침묵을 지키며 앉아 있다. 항상 축제의 중심에서 좌중을 장악하던 이전과 상반된 모습이다. 사운드가 페이드아웃되고 디에고가 공허한 눈빛으로 바닥을 응시한다. 혼자만 다른 시공간에 존재하는 듯이. 1990년 월드컵에서 이탈리아가 아르헨티나에 패배한 이후 급변한 디에고의 상황이 단적으로 드러난 숏이다. 미디어
글: 조현나 │
2019-12-25
-
[씨네21 리뷰]
<고흐, 영원의 문에서> 고흐의 생애에서 폴 고갱과 만남을 시작점으로 삼아 그 이후의 시간을 담는다
작은 카페에서 미술 작품을 전시 중이던 빈센트(윌럼 더포)는 전시 중단을 통보받는다. 유명 화가들과 단체전을 기획해 전시 허가를 받았으나, 실상은 그의 개인전이었던 탓이다. 이게 다 협업을 약속한 화가들의 변심으로 벌어진 일이다. 카페 주인은 ‘단 한명’만 그림을 보고 갔다고 강조하며 비꼰다. 곧 알게 되겠지만, 그 단 한 사람은 훗날 빈센트와 짙은 우정
글: 김소희 │
2019-12-25
-
[씨네21 리뷰]
<와일드라이프> 경제적인 문제를 겪는 한 가족의 이야기
1960년 몬태나주의 한 마을. 자넷(캐리 멀리건), 제리(제이크 질렌홀) 부부와 아들 조(에드 옥센볼드)는 이곳에서의 새로운 삶에 적응하려 애쓴다. 제리는 골프클럽에 취직해 성실하게 일하던 중 갑작스럽게 해고를 통보받는다. 고객과 지켜야 할 선을 넘었다는 것이 이유다. 제리가 직장을 잃자, 자넷은 바닥난 재정을 메우기 위해 애쓴다. 자넷은 주민을 대상으
글: 김소희 │
2019-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