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셜1]
[한국영화 빅프로젝트⑨] <입술은 안돼요>(가제) 조은지 감독 - 앙상블과 말맛이 만드는 재미
“의지를 태우고 있다.” 지난해 블랙코미디영화 <카센타>와 옴니버스 <오늘, 우리>로 극장을 찾았던 배우 조은지가 올해는 감독으로 출사표를 낸다. 지난해 6월부터 약 3개월간 한여름을 통과하며 촬영을 마친 <입술은 안돼요>(가제)는 작품 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유명 작가 현(류승룡)의 일상을 따라가며 전처 미애(오나라)
글: 김소미 │
사진: 최성열 │
2020-03-12
-
[스페셜1]
[한국영화 빅프로젝트⑧] <킹메이커: 선거판의 여우> 변성현 감독 - 실제 인물과 닮지 않은, 하지만 진짜 같은
<킹메이커: 선거판의 여우>(이하 <킹메이커>)는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이하 <불한당>)으로 한국영화 팬덤의 역사를 새로 쓴 변성현 감독과 조형래 촬영감독, 한아름 미술감독 등 주요 스탭들, 무엇보다 주연배우 설경구가 다시 뭉쳐 만든 작품이다. 배우뿐만이 아니라 변성현 감독 앞으로도 ‘불한당원’들의 간식
글: 임수연 │
사진: 오계옥 │
2020-03-12
-
[스페셜1]
[한국영화 빅프로젝트⑦] <자산어보> 이준익 감독 - 나이를 초월한 우정
<자산어보>에는 요란한 사건도 자극적인 상황도 없다. 그저 깊고 아름다운 관계가 있을 뿐이다. ‘벗을 깊이 알면 내가 깊어진다’는 한줄 문구에 도달하는 과정을 그린 이 영화는 정약전과 그의 제자 창대의 관계를 그린 속 깊은 드라마다. “솔직히 긴박한 상황과 자극, 스펙터클에 매달리는 최근 상업영화의 흐름에 역행하는 영화인데 비슷한 영화가 넘쳐나
글: 송경원 │
사진: 최성열 │
2020-03-12
-
[스페셜1]
[한국영화 빅프로젝트⑥] <반도> 연상호 감독 - 좀비물, 여전히 보여줄 게 많다
<부산행>(2016)은 더이상 새로울 게 없어 보이는 좀비물에서 여전히 보여줄게 남아 있다는 걸 증명한 영화다. 연상호 감독의 진가는 이렇게 익숙한 듯 보이는 것에서 새로운 요소를 발견하고 그걸 다시 재미있게 풀어낼 줄 아는 태도에 있다. 다소 아쉬운 결과를 남긴 <염력>(2017) 이후 연상호의 세계는 한층 넓어지고 견고해지는 중이
글: 송경원 │
사진: 최성열 │
2020-03-12
-
[스페셜1]
[한국영화 빅프로젝트⑤] <영웅> 윤제균 감독 - 할리우드 못지않은 라이브로 승부한다
윤제균 감독은 한 시간 정도 진행된 인터뷰 중 ‘진정성’이라는 단어를 15번 언급했다. 쉽게 덧붙인 표현은 아니다. <댄싱퀸>(2012) 때 함께한 정성화가 공연에 초대해 접하게 된 뮤지컬 <영웅>을 다섯번 봤고, 다섯번 모두 눈물을 흘렸다는 윤제균 감독은 “이 영화를 왜 만들었는지 관객이 진심을 알아봐주지 않을까 하는 믿음”으로 촬
글: 임수연 │
사진: 오계옥 │
2020-03-12
-
[스페셜1]
[한국영화 빅프로젝트④] <앵커> 정지연 감독 - 여자 기자와 앵커 분리하기
“드라마를 찍어도 이상하게 날이 서 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화과로 출강했던 인사이트필름의 신혜연 대표는 당시 학생이었던 정지연 감독의 단편들을 보고 이렇게 생각했다. 그가 졸업작품을 위해 썼던 <앵커>의 초안을 읽고 리뷰를 하는 과정에서 신 대표는 상업 장르영화로의 가능성을 봤다. <앵커>는 서울독립영화제 특별상을 수상하고 베를린
글: 임수연 │
사진: 최성열 │
2020-03-12
-
[스페셜1]
[한국영화 빅프로젝트③]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가제) 홍원찬 감독 - 밤의 도시에서 펼쳐지는 추격전
황정민, 이정재, 박정민이 ‘킬러’와 ‘추격’을 앞세운 범죄 액션 드라마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가제)에서 만났다. 데뷔작 <오피스>(2014)에서 직장 생활의 애환을 호러 장르 문법으로 풀어냈던 홍원찬 감독이 연출을 맡은 두 번째 연출작으로, 현재 방콕에서 극비리에 촬영 중이다. 사전에 시나리오조차 공개하지 않은 탓에 방콕에 있는
글: 김현수 │
2020-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