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통신원]
[파리] 첫눈에 반한 <밀양>부터 한국영화와 인연 맺었죠
이창동 감독의 다섯 번째 영화 <시>가 지난 8월25일 프랑스에서 개봉했다. 프랑스 일반 관객의 영화에 대한 반응은 칸국제영화제와 마찬가지로 열광적이다. 개봉 당일 파리의 대규모 멀티플렉스 극장인 MK2 비블리오테크의 프린트 사고로 한나절 상영이 몽땅 틀어지는 사건에도 불구하고 첫날 관객 수는 지난 2007년 프랑스에서 개봉했던 감독의
글: 최현정 │
2010-09-08
-
[해외통신원]
[베이징] <탕산 대지진>의 감동이 대륙을 적신다
선선한 가을바람이 희미하게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하는 베이징. 하지만 극장가에서는 연일 뜨겁게 흥행 기록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지난 7월22일 개봉한 펑샤오강 감독의 <탕산 대지진>(After Shock)이 개봉 한달 만에 흥행 수익 6억위안을 돌파하며 기존 중국영화의 모든 흥행 기록을 새로 만들고 있는 중이다.
지진을 소재로 한 재난영화에
글: 안재민 │
2010-09-01
-
[해외통신원]
[도쿄] 정의의 전쟁 따윈 없다고
8월15일, 한국에선 나라를 찾은 광복의 날이 일본에선 깃발을 내린 패전의 날이다. 한국은 8월10일 간 나오토 총리가 한일 강제 병합 100주년을 맞아 발표한 사죄 담화문을 보도하며 한층 나아진 일본의 태도를 반겼지만, 사실 일본 내에선 무심한 반응 일색이었다. 오히려 비판의 목소리가 눈에 띄었고, TV에선 전쟁에서 목숨을 잃은 자국의 혼령을 추모하는
글: 정재혁 │
2010-08-25
-
[해외통신원]
[델리] 인도영화계에 새 별이 떳다
올 상반기 인도영화계가 거둔 가장 큰 수확을 꼽으라면 비크람아디티야 모트와네 감독을 발견한 일이라고 하겠다. 그는 데뷔작 <비상>(飛上, Udaan)으로 2010 칸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 공식 초청되어 7년 만에 인도영화가 칸에 입성했다는 기사를 연일 생성해내더니, 지난 7월16일 개봉하자마자 관객점유율 35~40%를 기록하며 인도 전
글: 신민하 │
2010-08-18
-
[해외통신원]
[몬트리올] 고전과 함께 한여름밤의 꿈을
올해 14회를 맞는 몬트리올판타지아영화제가 예년보다 더 알찬 프로그램으로 찾아왔다. 영화제는 세르비아 호러 필름을 집중 조명하는 섹션(올해 부천에서 상영된 <세르비안 필름>도 포함됐다!)과 켄 러셀 회고전 등 몬트리올의 장르 팬들을 위한 선물이 가득했다. 특히 켄 러셀 회고전에서는 대표작 <악령들>(The Devils) 상영과 함께
글: 윤혜경 │
2010-08-11
-
[해외통신원]
[로마] 난니 모레티의 여름 선물
“로마에 살지 않는 사람들은 나 같은 로마 사람을 시기한다. 좋은 영화도 많이 보고, 감독과의 대화에 직접 참여할 수 있고, 또 우연히 친구들도 만나면서 로마의 여름밤을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탈리아의 거장 난니 모레티가 개최하는 신인감독 초대전 빔비 벨리(Bimbi Belli)에 온 관객 마리아가 하는 말이다.
로마의 여름밤. 물을 사랑하는 로
글: 김은정 │
2010-08-04
-
[해외통신원]
[베를린] 독일에서 고향을 노래하다
2006년 혜성처럼 나타나 독일영화계를 술렁거리게 한 감독이 있다. 그는 데뷔작 <풀 메탈 빌리지>로 헤센영화상 등 독일의 각종 영화상을 휩쓸더니, 2007년에는 독일 신인 감독 등용문인 막스 오퓔스 최고상을 거머쥐었다. 막스 오퓔스상 역사상 최초의 아시아 여성 수상, 그것도 다큐멘터리 부문 최고상이었다. “유머가 넘치면서도 다층적이며, 우리도
글: 한주연 │
2010-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