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TERVIEW]
[인터뷰] 기록은 기억보다 강하다, <1980 사북> 박봉남 감독
<1980 사북>은 강원도 정선 사북에서 1980년에 일어난 광부들의 항쟁과 이를 은폐하려 국가가 시행한 폭력적인 행태를 취재한 다큐멘터리다. 영화 <김대중><아이언 크로우즈>등 다큐멘터리 작업을 꾸준히 해온 박봉남 감독은 광부와 경찰, 국가 등 어느 한쪽에 서서 사건을 기록하는 대신 “사북 사건을 가장 객관적으로 깊이 있게
글: 조현나 │
사진: 최성열 │
2025-10-30
-
[INTERVIEW]
[인터뷰] 만나야 할 것들은 결국 만나진다, <만남의 집> 차정윤 감독
만나야 할 사람들은 만나진다. 여자 교도관과 수감자 사이의 이야기를 다룬 <만남의 집>은 담담하게 사람의 온기를 전한다. 차정윤 감독은 장편 데뷔작에서 데뷔작이라고 믿기 힘든 사려 깊은 시선과 원숙한 태도로 이들을 관찰한다. <만남의 집>은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게, 사연 대신 사람을 전하는 영화다. 과하지 않고 담담하게. 이 상투적인
글: 송경원 │
사진: 최성열 │
2025-10-30
-
[디스토피아로부터]
[정준희의 클로징] 당신의 은퇴를 향해 보내는 박수
나이가 들어서일까. 사라져가는 것들에 대한 아쉬움이 커진다. 지금보다 훨씬 어릴 때에도 그랬으니까 나이 탓은 아닐 거라고 스스로를 위로한다. 그런데 이 말 자체에 이미 문제가 있다. 일단 나이가 ‘탓’이 되어야 할 이유는 없다. 그리고 그걸 갖고도 스스로를 위로할 이유도 없다. 뭔가 방어적이다. 이를테면 나이가 든 ‘덕분’에 사라져가는 것들에 대한 아쉬
글: 정준희 │
2025-10-30
-
[후아유]
[WHO ARE YOU] 서툴지만 용감하게, <수학영재 형주> 배우 정다민
<수학영재 형주>의 16살 주인공 형주(정다민)를 뽑는 오디션 공고를 봤을 때, 배우 정다민은 마음이 동했다. “형주와 나에게 수학과 스케이트보드라는 공통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프로필이 없어 셀피 사진 한장과 보드를 타는 영상을 보냈고, 대면 오디션에서는 <세일즈맨의 죽음>이라는 정석적인 연기로 합격했다. 극 중 형주는 밴드 보컬
글: 이유채 │
사진: 백종헌 │
2025-10-30
-
[씨네21 리뷰]
[리뷰] 영견(靈犬)도 곧 충견(忠犬)이기에 가능했다, <굿 보이>
흔히 고양이를 영험한 동물로 꼽지만, 충실한 강아지 인디도 어느 날부턴가 불길한 기운을 느끼기 시작한다. 주인 토드(셰인 젠슨)의 건강 악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그의 곁에 의문스러운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피를 토하고 병원에 실려간 토드는 무슨 일인지 퇴원 직후 돌아가신 할아버지의 낡은 별장으로 향한다. 외진 숲속에서 자신의 눈에 아른거리는 흉측한 형상
글: 최현수 │
2025-10-29
-
[씨네21 리뷰]
[리뷰] 재료와 균형이 어우러진 한상차림처럼, <라리랑>
아내(정애화)와 아들(윤원준), 치매 노모(변중희)와 LA에 정착한 춘배(김종구)는 어느 날 한통의 전화를 받는다. 요양원에서 어머니를 오늘 데리러 가겠다고 하지만 설날 준비로 바빠 얼버무리고 만다. 오랜만에 얼굴을 비친 딸 윤희(이주우)와 사위(손문영)는 약속과 달리 한복을 입고 오지 않고, 아들이 느닷없이 멕시코계 여자 친구를 부르면서 춘배의 심기는
글: 이유채 │
2025-10-29
-
[씨네21 리뷰]
[리뷰] 낯선 역사의 내장까지 침투해 기억을 깨우는 카메라, <1980 사북>
“사북에서 나만 탈출했다.” <1980 사북>은 혼자 살아남았다는 한 남자의 죄책감 서린 목소리로 열린다. 1980년 4월, 저임금 착취와 어용노조의 폐해에 맞선 사북의 광부들이 항쟁을 벌였다. 유혈 사태는 노동자, 경찰, 노조원의 가족까지 폭력의 가담자와 피해자를 뒤섞어놓았다. 계엄군 투입 직전 사태는 일단락되었으나, 이후 시위에 참여한 광
글: 김소미 │
2025-10-29